[목요광장] 염라대왕을 만나거든…

  • 오피니언
  • 목요광장

[목요광장] 염라대왕을 만나거든…

  • 승인 2024-12-18 17:14
  • 신문게재 2024-12-19 18면
  • 심효준 기자심효준 기자
유동하 충남경찰청 안보수사과장
유동하 논산경찰서장
논산에는 구전되는 이야기가 하나 있다. 사람이 저승에 가면 반드시 염라대왕을 만난다. 대왕은 망자에게 이승에서의 죄를 묻기 전에 "개태사의 쇠솥, 관촉사의 은진미륵 그리고 강경의 미내다리를 보았느냐?"고 물어본다. 만약 모두 보았다고 답하면 지옥에서의 형량을 반으로 깎아준다고 한다. 지옥에서의 하루는 인간세계의 수십, 수백 년에 해당한다고 한다.

불교의 계율을 하나 어길 때마다 10년의 형이 과해지고 저승에서 하루가 10년이라고 가정해 보자. 하나의 계율을 위반하면 이승에서의 3만 년이 넘는 형을 살게 된다. 그중 반을 깎아준다니 빨리 가봐야 하지 않겠는가?



논산에 부임하고 두 달 남짓 되었을 때 관촉사에 방문해 혜광스님에게 인사드렸다. 스님에게 졸랐더니 '관촉사사적기'라는 책을 주셨다. 차한잔 보시 받은 후 가람내 은진미륵을 보게 되었다. 불현듯 의문이 들어 여쭈었다. "주지스님, 은진미륵의 좌측 볼에 검버섯 같은게 있는데 왜 그런가요?". 그러자 담담한 답변이 날아왔다. "나라가 어려우면 은진미륵이 땀을 흘린다"고 하셨다. 그러면서 "나라가 평온해지면 다시 은진미륵의 피부가 하얗게 돌아온다"는 설명도 해주셨다.

관사로 돌아와 스님이 주신 책을 펼쳐보았다. 관촉사는 967년 고려 광종때 혜명스님이 착공하여, 1006년 목종 때 완공하였다. 무려 39년이나 소요되었다. 은진미륵이 땀을 흘린 기록은 여러 곳에서 나온다.



고려말 우왕 8년 1382년에는 관촉사에서는 용화회가 개최되었고, 목은 이색이 석조미륵보살입상을 두고 시를 지었다. 그중 마음에 와닿는 구절이 몇 군데 있다. '아출아출용종지(我出我出湧從地). 내 내간다 내 나간다며 땅속에서 솟았다네. 시시유한경군신(時時流汗警君臣). 때로는 땀 흘려 군신을 경계도 시키는데.'

조선 영조 19년 1743년에는 관촉사사적비를 세우는데 내용 중 은진미륵의 땀 이야기가 또 나온다. '국가가 태평하면 온몸이 빛나고 윤택하며 상서로운 기운이 서리고, 재앙과 난리가 있으면 온몸에서 땀을 흘리고 손에 쥔 꽃에 색이 없어지는데, 조정에서 관리를 파견하여 축문을 올려 재앙을 없애고 나라와 백성이 편안하기를 도모했다'는 기록이 있었다.

개태사(開泰寺)는 고려 왕건이 후삼국 통일의 마지막 전장이었던 황산벌에서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왕실의 절을 짓게 하였다. 개태는 태평함을 연다는 뜻이고, 그 뒷산 천호산은 하늘이 보호하여 전쟁에서 승리를 가져다 준 곳이라는 뜻이다. 그곳의 쇠솥은 크기로 보아 수백 명이 먹을 수 있는 국을 끓이는 용기였을 것이다.

그 유명한 해인사의 팔만대장경은 고려 고종의 명을 받아 개태사의 주지인 수기(守其) 스님이 제작한 것이었다. 그는 고려대장경의 교정작업을 총괄하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의 불심과 불력은 누구도 넘보지 못할 수준이었던 것이었다.

미내교(渼奈橋)는 조선 영조 7년인 1731년에 민간인들이 지은 다리이다. 미내다리는 화강암으로 건립된 3개의 아치형 돌다리이다. 한양과 호남의 요로에 위치하였던 돌다리로 당시 토목기술의 극치를 보여준다.

염라대왕의 전설이 논산지역에 왜 생겼을까 생각해보면 은진과 연산 그리고 강경의 자랑거리를 으시대고 싶어서 이야기를 만들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다.

자 이제 미리미리 염라대왕을 만날 일을 대비해 두자. 주말에 연산의 개태사, 은진의 관촉사, 강경 미내다리를 보러 가야 하지 않겠는가? 그리고 인증사진을 찍어 SNS에 미리미리 올려두자. 갑자기 대왕이 '봤다는 것을 증명하라'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나는 올해가 가기 전 은진미륵전에 축문을 올려야겠다.

/유동하 논산경찰서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화성시, 거점도시 도약 ‘2040년 도시기본계획’ 최종 승인
  2.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3.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4.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5.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1.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2.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3.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4.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7대 광역시 중 두번째
  5. "르네상스 완성도 높인다"… 대전 동구, '주요업무계획 보고회'

헤드라인 뉴스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일본 와카사철도, 대전서 희망찾기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일본 와카사철도, 대전서 희망찾기

일본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돗토리(鳥取)현의 철도회사 전무가 폐선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대전을 찾아왔다. 인구가 감소 중으로 철도마저 폐지되면 안 된다는 절박한 심정에서 한국을 찾았다는 그는 윤희일 전 경향신문 도쿄특파원을 '관광대사'로 임명하고, 돗토리현 주민들에게 철도는 무척 소중하다며 지역 교류를 희망했다. 24일 오후 5시 30분 대전시 중구 베니키아호텔 대림 회의실에서는 야베 마사히코(矢部雅彦) 와카사철도 전무가 참석한 가운데 관광대사 위촉식이 개최됐다. 윤희일 전 경향신문 기자는 한국의 대표적인 철도마니아이면서, 일본 특..

국내기업 10곳 중 7곳 이상 "처벌·제재로는 중대재해 못줄여"
국내기업 10곳 중 7곳 이상 "처벌·제재로는 중대재해 못줄여"

국내 기업 10곳 중 7곳 이상이 정부의 노동 안전대책에 우려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됐다. 처벌과 제재 중심의 정책으로는 중대재해 예방이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국내 기업 262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새 정부 노동안전 종합대책에 대한 기업 인식도 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9월 발표된 노동안전 종합대책과 관련해 기업들의 인식과 애로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노동안전 종합대책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 중 73%(222곳)가 정부 대책이 '중대재해 예방에..

충청권 국회의원 전원, ‘2027 충청U대회 성공법’ 공동 발의
충청권 국회의원 전원, ‘2027 충청U대회 성공법’ 공동 발의

충청권 여야 국회의원 27명 전원이 ‘2027 충청 유니버시아드대회’(U대회) 성공 개최를 위한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개정안을 공동 발의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의원은 25일 국제경기대회 조직위원회가 대회 운영에 필요한 기부금품을 직접 접수·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일부개정법률안을 공동으로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현행 제도에서는 조직위원회가 기부금품을 접수할 때 절차가 복잡해 국민의 자발적인 기부 참여가 제한되고, 국제경기대회 재정 운영에 있어 유연성이 낮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 대전시청에 뜬 무인파괴방수차와 험지펌프차 대전시청에 뜬 무인파괴방수차와 험지펌프차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