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전국 아파트 입주 기대감 뚝… 대전 27.1p, 세종 21.5p 빠져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새해 전국 아파트 입주 기대감 뚝… 대전 27.1p, 세종 21.5p 빠져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사업자 대상 조사 결과
전국 입주전망지수 68.4 기록… 2년만 최저
충남·충북·제주 등 3곳 유일하게 상승 전망
"탄핵 정국 여파 거래절벽 현상 지속 예상"

  • 승인 2025-01-14 15:37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입주전망지수
2025년 1월 입주전망지수 표. 사진=주산연 제공.
경기침체 우려와 탄핵정국 여파로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미분양 아파트도 1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며 부동산 시장 침체 현상이 두드러지는 분위기다.

14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주택 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68.4로 전달(88.6)보다 20.2포인트 급락했다. 입주전망지수는 아파트를 분양받은 사람이 정상적으로 잔금을 내고 입주할 수 있을지를 예상하는 지표다.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해 산출하며 지수가 100 이하면 입주 경기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우세하고, 100 이상이면 그 반대다.

전국적으로 보면, 1월 지수는 2023년 1월(59.4) 이후 2년 만에 최저치를 보였다. 입주전망지수가 가장 높았던 서울은 12포인트 줄어든 88.0으로 나타났고, 인천(64.2), 경기(63.8)도 각각 22포인트, 21.9포인트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충청권을 보면, 대전의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61.1을 기록해 전달(88.2)보다 27.1포인트 줄었다. 세종은 78.5로 전달(100)대비 21.5포인트 감소했다.



충북과 충남은 선전했다. 충북은 81.8로 서울에 이어 두 번째, 충남은 80.0으로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전망 수치를 보였다. 전국에서 입주전망지수가 오른 곳은 충북(6.8포인트), 충남(6.7포인트), 제주(3.9포인트) 등 3곳에 그쳤다.

주산연 관계자는 "강도 높은 대출 규제로 매수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경기침체 우려와 계엄과 탄핵정국에 따른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며 입주전망지수가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며 "빠르게 위축되고 있는 주택시장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시의적절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이뿐 아니라 12월 전국 입주율은 69.7%로 전달보다 0.7%포인트 소폭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은 79.9%로 전월(82.3%)보다 2.4%포인트 감소했고, 대전 및 충청권은 75.3%로 전달(72.9%)보다 소폭 상승했다.

미입주 원인으로는 잔금대출 미확보(34.0%), 기존주택매각 지연(32.1%), 세입자 미확보(17.0%), 분양권 매도 지연(9.4%) 순으로 조사됐다.

주산연 관계자는 "매수심리가 얼어붙어 상당한 거래량 감소가 예상된다"며 "탄핵 정국이 마무리되기까지 거래절벽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2025년 1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
2025년 1월 입주전망지수 표. 사진=주산연 제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울공항 인근 도심 상공 전투기 곡예비행... 안전불감증 도마
  2.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3.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4. AI 시대 모두가 행복한 대전교육 위해선? 맹수석 교수 이끄는 미래교육혁신포럼 성료
  5. [기고] 전화로 모텔 투숙을 강요하면 100% 보이스피싱!
  1. 충남도 "해양생태공원·수소도시로 태안 발전 견인"
  2.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논산여자상업고 글로벌 인재 육성 비결… '학과 특성화·맞춤형 실무교육'
  3. 충남교육청 "장애학생 취업 지원 강화"… 취업지원관 대상 연수
  4.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 조직위, 준비상황보고회 개최
  5. "도민 안전·AI 경쟁력 높인다"… 충남도, 조직개편 추진

헤드라인 뉴스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대전의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납세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세무서가 3곳에 불과해 세무서 신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대전 유성구갑)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전시의 2024년도 주요 세목별 신고인원은 2019년 대비 부가가치세 17.9%, 종합소득세 51.9%, 법인세는 33.9% 증가했다. 또 대전의 2023년도 지역내총생산(GRDP)은 54조원으로, 전년 대비 3.6% 성장해 전국 17대 시·도 중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납세 인원 역시 2019..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