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엄동설한 굴물회, 하루키도 먹어봤을까?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엄동설한 굴물회, 하루키도 먹어봤을까?

  • 승인 2025-01-15 17:43
  • 수정 2025-01-16 08:54
  • 신문게재 2025-01-16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50115_104045050
청양과 대전은 위치상 닮은 구석이 있다. 각각 충남과 남한의 중간쯤에 자리잡고 있다. 대전은 대중교통을 이용해도 통영, 목포, 강릉 등 얼마든지 당일치기가 가능하다. 서울에서 부산, 통영, 목포라. 생각만 해도 아득하다. 청양도 충남권 어디든 부담없이 다니며 맛있는 음식을 찾아 먹을 수 있다. 겨울은 뭐가 별미일까. 물메기탕도 있지만 단연 굴이 으뜸이다. 정력에 좋다는 굴을 사랑한 카사노바는 유명하지만 다작으로 유명한 발자크도 하루에 굴을 100개나 먹어치웠다고 한다. 그리고 아버지가 좋아했던 굴. 우리 식구는 보령 천북 굴단지를 찾았다.

보령 사는 언니 후배가 알려줬다는 식당으로 들어갔다. 굴물회와 굴밥을 시켰다. 그런데 멀찍이 우리와 마주한 식탁에 자리잡고 있는 사람이 낯이 익었다. 나는 언니 귀에 대고 소곤거렸다. "저 아저씨 이상벽 닮지 않았어?" 슬쩍슬쩍 훔쳐보던 중 말소리가 들렸다. 딱 그 양반이었다. 방송에선 싱글벙글 웃음 가득한 표정인데 실제론 무표정해서 생소했다. 나는 호기심을 이기지 못하고 일어났다. 굴무침과 굴밥을 먹는 그들 근처에서 볼일 있는 것처럼 어슬렁거렸다. 아는 척하면 반겨줄까? 어머, 이상벽 선생님 아니세요? 어쩌고저쩌고. 나는 아무 말도 못하고 돌아와 미리 나온 반찬만 지벙지벙 했다. 순간 이상벽 씨 가족 옆 식탁에서 가스 불이 활활 타고 있는 게 보였다. 빈 무쇠 팬이 불에 달궈져 연기가 나기 시작했다. "부, 부, 불이다! 저기요…." 내가 큰소리로 말하자 언니가 내 팔을 툭 치며 지청구를 줬다. "손님들 놀래라고." 언니는 조용히 팔을 들고 주인에게 사인을 보냈다.



드디어 굴물회가 나왔다. 시뻘건 국물에 채썬 사과, 오이, 당근과 굴이 어우러져 먹음직스러웠다. 한 수저 푹 떠서 먹자마자 입안이 얼얼했다. 이가 시려울 정도로 차가웠다. 물회는 내가 먹자고 우긴 건데. 예전에 엄마, 아버지와 맛있게 먹었던 굴물회를 꼭 먹고 싶었다. 지나간 시절의 추억을 소환하고 싶었던 게다. 나는 슬슬 눈치를 보며 탱글한 굴만 건져먹었다. 언니, 오빠도 아무 말 없이 먹기만 했다. 미식가 무라카미 하루키는 생굴 위에 위스키를 뿌려 호로록 먹은 뒤 굴즙까지 마셨을 때의 행복을 만끽했는데. 소주라도 부어 먹을 것 그랬나? 물회를 간신히 먹고 뜨뜻한 굴밥으로 언 위장을 녹였다. 나는 옆 테이블의 두툼한 굴파전을 보면서 입맛을 다셨다.

우리가 먹고 나올 때까지 이상벽씨 일행은 얘기꽃이 한창이었다. 보령해저터널을 지나 안면도로 향했다. 바다냄새를 맡고 싶어 꽃지해수욕장까지 갔다. 서해바다에서 부는 비릿한 바람을 폐부 깊숙이 마셨다. 할미 할아비 바위 아래 드문드문 사람들이 보였다. 나 혼자 신나게 백사장으로 내려가 할미 할아비 바위를 향해 걸었다. 칼바람이 뺨을 후려쳤다. 물이 빠진 갯벌에 박힌 바위에 따개비가 다닥다닥 붙어 있었다. 온통 조개 껍데기 투성이라 걸을 때마다 버석거렸다. 한 할머니가 옹송그리고 앉아 깐 굴 한 바가지를 앞에 놓고 팔고 있었다. 1만 5천원이란다. 할머니 얼굴이 얼어서 빨갰다. 삶의 최전선에서, 내란을 모의한 쫄보 윤석열을 지키겠다며 성조기까지 흔드는 노인들과 굴 한 바가지를 파는 할머니를 생각했다. 저 굴을 캐는데 얼마나 걸렸을까. 지갑을 꺼내 열어보니 3천원뿐. 다행히 부모와 함께 온 듯한 청년이 굴을 샀다. 주차장에 가보니 오빠가 배탈이 나서 화장실에 갔다고. 결국 사달이 난 모양이었다. 설마 노로 바이러스? 하늘이 금세 잿빛으로 변하면서 눈발이 날렸다. 차안에서 언니랑 오빠를 기다리는데 라디오에서 김세영의 '밤의 길목에서'가 흘러나왔다. 내 마음도 밤의 길모퉁이에 서 있는 것처럼 암담했다. 내가 미쳤지, 엄동설한에 물회라니.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미추홀구, ‘시 특색 가로수길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4.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5.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1. 대전상의, 청양지회-홍성세무서장 소통 간담회 진행
  2.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3. 이장우 시장 맞은 충남대병원, "암환자 지역완결형 현대화병원 필요" 건의
  4.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5. 공공사업 낙찰 규모 계룡건설산업 연말에 1위 탈환할까

헤드라인 뉴스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민선 8기 대전시가 도시 체질을 완전히 개선하며 'NEXT대전' 만들기에 집중하고 있다. 근대도시를 거쳐 철도 중심 도시와 과학도시를 거치면서 150여만명의 인구가 살아가는 대전에 공간은 물론 산업과 문화 구조를 변화시키며, 미래 일류도시로 나아가고 있다. 대전시는 기존에 갖고 있던 대덕특구를 기반으로 한 과학도시에서 6대 전략 산업 'ABCD+QR(나노·반도체, 바이오, 우주, 국방, 양자, 로봇·드론)'을 중심으로 육성하면서 기술 사업화에 초석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를 뒷받침 할 수 있게 안산, 교촌, 원촌, 장대도첨, 탑립·..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