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엄동설한 굴물회, 하루키도 먹어봤을까?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엄동설한 굴물회, 하루키도 먹어봤을까?

  • 승인 2025-01-15 17:43
  • 수정 2025-01-16 08:54
  • 신문게재 2025-01-16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50115_104045050
청양과 대전은 위치상 닮은 구석이 있다. 각각 충남과 남한의 중간쯤에 자리잡고 있다. 대전은 대중교통을 이용해도 통영, 목포, 강릉 등 얼마든지 당일치기가 가능하다. 서울에서 부산, 통영, 목포라. 생각만 해도 아득하다. 청양도 충남권 어디든 부담없이 다니며 맛있는 음식을 찾아 먹을 수 있다. 겨울은 뭐가 별미일까. 물메기탕도 있지만 단연 굴이 으뜸이다. 정력에 좋다는 굴을 사랑한 카사노바는 유명하지만 다작으로 유명한 발자크도 하루에 굴을 100개나 먹어치웠다고 한다. 그리고 아버지가 좋아했던 굴. 우리 식구는 보령 천북 굴단지를 찾았다.

보령 사는 언니 후배가 알려줬다는 식당으로 들어갔다. 굴물회와 굴밥을 시켰다. 그런데 멀찍이 우리와 마주한 식탁에 자리잡고 있는 사람이 낯이 익었다. 나는 언니 귀에 대고 소곤거렸다. "저 아저씨 이상벽 닮지 않았어?" 슬쩍슬쩍 훔쳐보던 중 말소리가 들렸다. 딱 그 양반이었다. 방송에선 싱글벙글 웃음 가득한 표정인데 실제론 무표정해서 생소했다. 나는 호기심을 이기지 못하고 일어났다. 굴무침과 굴밥을 먹는 그들 근처에서 볼일 있는 것처럼 어슬렁거렸다. 아는 척하면 반겨줄까? 어머, 이상벽 선생님 아니세요? 어쩌고저쩌고. 나는 아무 말도 못하고 돌아와 미리 나온 반찬만 지벙지벙 했다. 순간 이상벽 씨 가족 옆 식탁에서 가스 불이 활활 타고 있는 게 보였다. 빈 무쇠 팬이 불에 달궈져 연기가 나기 시작했다. "부, 부, 불이다! 저기요…." 내가 큰소리로 말하자 언니가 내 팔을 툭 치며 지청구를 줬다. "손님들 놀래라고." 언니는 조용히 팔을 들고 주인에게 사인을 보냈다.



드디어 굴물회가 나왔다. 시뻘건 국물에 채썬 사과, 오이, 당근과 굴이 어우러져 먹음직스러웠다. 한 수저 푹 떠서 먹자마자 입안이 얼얼했다. 이가 시려울 정도로 차가웠다. 물회는 내가 먹자고 우긴 건데. 예전에 엄마, 아버지와 맛있게 먹었던 굴물회를 꼭 먹고 싶었다. 지나간 시절의 추억을 소환하고 싶었던 게다. 나는 슬슬 눈치를 보며 탱글한 굴만 건져먹었다. 언니, 오빠도 아무 말 없이 먹기만 했다. 미식가 무라카미 하루키는 생굴 위에 위스키를 뿌려 호로록 먹은 뒤 굴즙까지 마셨을 때의 행복을 만끽했는데. 소주라도 부어 먹을 것 그랬나? 물회를 간신히 먹고 뜨뜻한 굴밥으로 언 위장을 녹였다. 나는 옆 테이블의 두툼한 굴파전을 보면서 입맛을 다셨다.

우리가 먹고 나올 때까지 이상벽씨 일행은 얘기꽃이 한창이었다. 보령해저터널을 지나 안면도로 향했다. 바다냄새를 맡고 싶어 꽃지해수욕장까지 갔다. 서해바다에서 부는 비릿한 바람을 폐부 깊숙이 마셨다. 할미 할아비 바위 아래 드문드문 사람들이 보였다. 나 혼자 신나게 백사장으로 내려가 할미 할아비 바위를 향해 걸었다. 칼바람이 뺨을 후려쳤다. 물이 빠진 갯벌에 박힌 바위에 따개비가 다닥다닥 붙어 있었다. 온통 조개 껍데기 투성이라 걸을 때마다 버석거렸다. 한 할머니가 옹송그리고 앉아 깐 굴 한 바가지를 앞에 놓고 팔고 있었다. 1만 5천원이란다. 할머니 얼굴이 얼어서 빨갰다. 삶의 최전선에서, 내란을 모의한 쫄보 윤석열을 지키겠다며 성조기까지 흔드는 노인들과 굴 한 바가지를 파는 할머니를 생각했다. 저 굴을 캐는데 얼마나 걸렸을까. 지갑을 꺼내 열어보니 3천원뿐. 다행히 부모와 함께 온 듯한 청년이 굴을 샀다. 주차장에 가보니 오빠가 배탈이 나서 화장실에 갔다고. 결국 사달이 난 모양이었다. 설마 노로 바이러스? 하늘이 금세 잿빛으로 변하면서 눈발이 날렸다. 차안에서 언니랑 오빠를 기다리는데 라디오에서 김세영의 '밤의 길목에서'가 흘러나왔다. 내 마음도 밤의 길모퉁이에 서 있는 것처럼 암담했다. 내가 미쳤지, 엄동설한에 물회라니.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4.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5.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1.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4.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5.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헤드라인 뉴스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거점국립대 9곳 모두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상과 달리 평가에 따라 일부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거나 차등 지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여기에 일반 국립대와 사립대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건의까지 속출하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전날인 18일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한 국회 예결위 예산소위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한 '국립대학 육성' 사업비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