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시평] 생각하는 AI, 심심한 뇌

  • 오피니언
  • 중도시평

[중도시평] 생각하는 AI, 심심한 뇌

원구환 한남대 기획조정처장

  • 승인 2025-01-21 17:27
  • 신문게재 2025-01-22 18면
  • 김흥수 기자김흥수 기자
2023082801010014786
원구환 한남대 기획조정처장
얼마 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정보기술 전시회인 CES를 다녀왔다. 2025년 CES는 몰입(Dive in)이라는 주제로 열렸는데, 인공지능(AI)은 가장 핵심적 키워드였다. 인공지능이 모빌리티, 로봇, 스마트 홈, 디지털 헬스와 어떻게 융합되는지를 한눈에 볼 수 있었다. 이제 인공지능은 우리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가 된 듯하다. 또 다른 핵심 주제어는 단연 대한민국(KOREA)이었다. 역대 최대 규모인 1031개사 참여해 혁신상 전체의 47.8%인 219건을 수상하며 2년 연속 국가별 비중 1위를 달성했다, 중소기업이 받은 혁신상이 130개이고, 이 중 벤처 및 창업기업이 125개였다. 최고 혁신상(총 34건)도 우리 기업 9개사가 15건을 수상하며 1위를 기록했다.

인공지능을 바탕으로 한 기술혁신은 상상을 현실화하고 있다. 번거로운 문진형 검사 없이 스마트폰만 쳐다봐도 불안이나 우울 등 정서장애를 진단해 준다. 스마트링을 끼고 있으면 혈압이 높다고 알려준다. 냉장고에 탑재된 인공지능이 "날씨도 흐린데, 따뜻한 국물 요리 어떠세요?"라고 먼저 메뉴를 추천한다. 의류 청정기는 "오늘은 실외 미세먼지가 나쁨입니다. 미세먼지 코스로 겉옷을 깨끗하게 관리해 보세요"라고 이야기한다. 내가 고민하기도 전에 인공지능이 해결책까지 먼저 제시해 준다. 인간은 생각할 필요 없이 인공지능이 제시한 선택지에 따라 행동하면 된다.

AI가 먼저 상황을 파악하고 예측해 해결책을 제시하니 사람은 생각하려 하지 않는다. 이런 문제점에 대한 우려를 2024년 영국 옥스퍼드대학 출판부가 올해의 단어로 '뇌 부패(brain rot)'를 선정했다. 매끄럽게 번역되지 못한 느낌이지만, 뇌 부패, 뇌 썩음 등으로 번역되고 있다. 골자는 사소하고 의미가 없는 온라인 콘텐츠를 과도하게 소비하면서 사람의 지적 상태가 악화된다는 것이다. 디지털 과소비로 인한 뇌 기능의 저하는 집중력을 떨어뜨리고, 깊이 있는 일을 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것이다. 뇌 부패는 문해력(文解力)과도 직결되는데, 문해력의 사전적 의미는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뜻한다. 인간이 최초의 문자를 만들고 글을 읽고 쓰기 시작한 시점이 5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5000년이 지난 지금 인간이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낮아질 수 있다는 점이다.

온라인상의 이야기다. 스승의 날 선생님이 학생에게 편지를 받는다. "선생님은 고지식하셔서 저희가 배울 점이 많습니다"는 내용이다. 이것은 선생님을 향한 존경의 표현인가? 아닌가? 고지식은 순수 우리말로 성질이 외곬으로 곧아 융통성이 없다는 뜻인데, 학생이 쓴 편지의 내용은 아마도 지식이 높다(高)는 뜻으로 생각한 듯하다. 또, 수업 중 사건의 '시발점'을 설명하는데 한 학생이 선생님이 욕하셨다고 항의하기도 한다. 이부자리를 별자리로 이해하거나, 족보를 족발보쌈 세트로 이해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문해력은 비단 학생들만의 문제는 아니다. 가정통신문에 우천시 취소라는 안내문에 "우천시는 어디에 있는 시(市)인가요?"라고 반문하기도 하며, '중식 제공'이란 안내에 우리 아이는 중식 대신 한식을 제공해 달라고 요청하기도 한다.



문해력이 낮아지는 원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유튜브와 같은 디지털 매체를 지나치게 과소비한다는 점이다.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과몰입은 디지털 기기에 대한 의존과 문해력의 저하를 초래하고, 우리의 지적 역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여기에 인공지능으로 무장한 각종 디지털 기기가 스스로 판단해서 해결책을 제시해 준다면, 사람의 뇌 기능은 저하될 수밖에 없다. AI가 제공하는 정보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인간의 관점에서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문해력이 강조되는 이유이다. 스스로 생각하는 인공지능 시대, 사람의 지적 노력과 역량 제고가 필요하다. /원구환 한남대 기획조정처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건사고] 해수욕장서 30대 물에빠져 숨져… 인명·재산 피해 속출
  2. 대전보훈청, 광복 80년 기념 보훈음악회 성황리 마무리
  3. 세종시 '첫마을 3단지' 12세대 공급...18일 1순위 접수
  4. 대전 전세사기 피해자 1천명당 2명 '전국 최고'… 금융기관 커넥션 드러나나
  5. [편집국에서] 모두의 AI
  1. 대전0시축제 패밀리테마파크 방문객 53만명, 흥행 견인
  2. 최교진 신임 교육부 장관 후보자 새 정부 교육정책 관심
  3. 내신 1.0등급 합격 학과 2년 연속 의약학계열… 이공계 최상위권 부재
  4. [홍석환의 3분 경영] 나만 생각하는 사람
  5. [직장인밴드대전] "대상은 생각도 못 했는데 너무 기뻐요"

헤드라인 뉴스


[직장인밴드대전] 뜨거운 열정으로  `전국대회` 자리매김

[직장인밴드대전] 뜨거운 열정으로 '전국대회' 자리매김

'2025 전국직장인 밴드 대전'이 0시 축제 피날레 무대를 장식하며 중부권을 넘어 국내 대표 직장인밴드 음악경연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중도일보가 주관한 '전국직장인 밴드 대전'은 0시 축제 마지막 날인 16일 오후 7시 대전시 중구 우리들공원 특설무대에서 화려한 막을 올렸다. 이날 대회에는 3000여명의 관객들이 찾아 시원한 고음과 폭발적인 샤우팅, 강렬한 전자 사운드, 헤드뱅잉와 같은 멋진 퍼포먼스를 마음껏 즐겼다. 올해로 2회째를 맞는 대회에는 대전은 물론 서울, 부산, 제주 등 전국에서 모인 12팀의 직장인 밴드팀이 참여해..

대전0시축제 패밀리테마파크 방문객 53만명, 흥행 견인
대전0시축제 패밀리테마파크 방문객 53만명, 흥행 견인

대전문화재단이 운영하며 대전0시축제의 핵심 공간으로 자리잡은 패밀리테마파크에 방문객 53만여 명이 다녀가며 '명실상부한 흥행 견인차'역할을 톡톡히 했다. 옛 충남도청사에 조성된 패밀리테마파크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복합 문화놀이터로, 가족 단위 방문객들로 연일 붐볐다. 특히 꿈씨과학실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천국립중앙과학관 등과 협력해 마련된 과학 체험공간으로, 달 탐사 VR 체험과 우주탐험 콘텐츠가 큰 인기를 끌었다. 옛 도청사 주차장을 활용해 한밭수목원을 축소한 듯 조성된 공간인 꿈돌이 정원도 아기자기한 정원 풍경과 야간..

대전 전세사기 피해자 1천명당 2명 `전국 최고`… 금융기관 커넥션 드러나나
대전 전세사기 피해자 1천명당 2명 '전국 최고'… 금융기관 커넥션 드러나나

정부가 전세사기 피해자로 인정한 전국 3만 400건 중 대전에서 인구대비 피해건수가 가장 많은 가운데, 지역에서 50년 남짓 신뢰를 쌓은 금융기관 임직원들이 조직적으로 개입한 정황이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전세사기에 악용된 깡통 다세대주택이 쉽게 지어질 수 있었던 근본 원인에 전세사기 전문 건설업자들에게 금융기관의 부정대출이 있었다는 것이 재판에서도 규명될지 주목된다. 국토교통부는 6월 기준 피해자들의 신청을 받아 심의 후 전세사기피해자 등으로 인정한 사건 전체 3만400건 중에 대전에서 접수된 사건은 3569건에 이른다고 밝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엑스포시민광장 물놀이장 마지막 운영 날…‘북적북적’ 대전엑스포시민광장 물놀이장 마지막 운영 날…‘북적북적’

  • 2025 전국직장인밴드대전 흥행성공…전국대회 자리매김 2025 전국직장인밴드대전 흥행성공…전국대회 자리매김

  • 통행 방해하는 인도 위 쓰레기 통행 방해하는 인도 위 쓰레기

  • 천 개의 마음 모여 완성한 대형 태극기 천 개의 마음 모여 완성한 대형 태극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