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MZ세대 핫플레이스 시청역 6번 출구, 1위는 편의점

  • 경제/과학
  • 지역경제

대전 MZ세대 핫플레이스 시청역 6번 출구, 1위는 편의점

시청역 6번 출구 10, 20대 MZ세대 333만원으로 증가
유동인구도 2024년 9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상승 확대
1위는 편의점 가장 많이 찾아... 요리주점, PC방 등 순

  • 승인 2025-03-17 16:51
  • 신문게재 2025-03-18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MZ플레이스
대전 주요 골목마다 MZ세대 상권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MZ세대는 198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초반 사이에 태어난 세대를 뜻하는데, 가치와 경험 소비, SNS를 통한 정보 공유하고 있다. MZ 세대가 몰리는 상권은 미래 시장과 직결되는 만큼 시장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17일 빅데이터 플랫폼 '소상공인 365'에 따르면 대전 서구 둔산1동 시청역 6번 출구 인근 상권은 MZ 핫플레이스로 꼽힌다. 해당 상권 면적은 13만 7115m²로 지역 주요 상권이 포함됐다. 이들 상권 곳곳은 같은 지역이라도 위치에 따라 MZ세대들이 선택하는 업종과 매출, 유동인구가 제각각이다. 플랫폼이 꼽은 해당 상권은 점진적인 매출 증가와 10·20대들의 유동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2024년 12월 기준 10·20대 MZ세대 매출은 333만원의 매출을 올리며 전월보다 5.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령대 별로는 10대 19만원, 20대 314만원이다.



성별과 연령대별 유동인구도 증가 중이다. 유동인구는 잠재적인 고객으로 분류된다. 우선 10대 남성 2024년 9월 2580명에서 매월 늘어나기 시작해 그해 12월 2884명까지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10대 여성도 2280명에서 2599명까지 확대됐다. 20대도 2024년 9월부터 매월 한 차례도 줄지 않고 연속 상승 중이다. 20대 남성 유동인구는 2024년 9월 3017명에서 2024년 12월 3706명으로 증가했으며, 20대 여성 유동인구도 이 기간 3192명에서 4074명으로 4000명대를 돌파했다.

10·20대 MZ 세대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곳은 편의점이었다. 이어 요리 주점, PC방, 약국, 서점, 문구·회화용품 소매업, 전자게임장, 빵·도넛, 버거 등의 순이다. 연령대 별로는 10대의 1위는 PC방이었으며, 편의점, 전자 게임장, 문구·회화용품 소매업, 버거 등이 뒤를 이었다. 20대는 편의점에서 소비를 가장 많이 했고 PC방과 전자 게임장, 호텔·리조트 등에서 매출이 발생했다. 성별로는 자주 찾는 곳이 순서만 다를 뿐 대부분 일치했다. 남성과 여성 모두 1위는 편의점이었다. 남성은 이어 2순위로 요리주점을, 여성은 주유소를 선택했다. 이어 약국과 서점, PC방 등의 순서의 차이는 있었으나 대부분 비슷한 양상이었다. 플랫폼은 해당 MZ 핫플레이스 상권 지수를 성장성과 안정성이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구미, 주민안전 무시한 보행자 보도정비공사 논란
  2. 안양시, 평촌신도시 정비 ‘청신호’ 가속
  3. 영천, '신성일기념관 개관 기념' 고향사랑기부 이벤트
  4. "아산페이 안 쓰면 손해"-연말까지 18% 할인 연장, 법인 10% 연장 할인
  5. 아산소방서, 전통사찰 화재 예방훈련
  1. 천안시, 청소년유해환경 개선 합동점검·단속 및 캠페인
  2. 삼성디스플레이, 취약가정에 1억5천만원 후원
  3. 아산시 음봉어울림도서관, '시선 너머의 이야기' 전시
  4. 천안법원, 음주 측정 거부한 50대에 '징역형'
  5. 천안법원, 지인 간 법적소송에서 위증한 혐의 50대 남성 무죄

헤드라인 뉴스


"지역사랑상품권 지방비 최소분담률, 재정여건 따라 차등해야"

"지역사랑상품권 지방비 최소분담률, 재정여건 따라 차등해야"

국가 예산을 지원하는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발행 시 자치단체가 부담하는 ‘지방비 최소 분담률’은 재정 여건에 따라 차등해야 한다는 평가 결과가 나왔다. 또 이미 보편화 됐지만, 운영자금이나 이자 수입 등 자치단체의 자금 관리가 여전히 미흡하다는 문제점도 제기했다.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해 11월 14일 공개한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및 관리체계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9월 기준 지역사랑상품권을 발행하고 있는 자치단체는 모두 190곳(광역 17곳 중 11곳, 기초 226곳 중 179곳)으로 집계됐다. 상품권 발행액은..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자동차와 반도체 분야 관세율을 포함한 한미 간의 무역 협상이 최종 마무리됐다.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와 우라늄 농축 및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포함한 양국의 안보 협상도 문서 형태로 공식화됐다. 대통령실과 백악관은 14일 오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양국의 관세·안보 협상에 대한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를 동시에 공개했다. 지난달 한미정상회담 직후 나올 예정이던 팩트시트 발표가 지연되면서 세부 내용에서 이견을 보이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지만, 이날 공개된 팩트시트에는 지난 정상회담 당시 발표된 내용이 고스란히 반영됐다..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교도소 이전사업이 8년째 진척을 보지 못하면서 대전시의 명확한 추진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됐다. 교도소 과밀화와 시설 노후 문제는 이미 한계를 넘었지만, 이전 사업이 장기간 답보 상태에 놓이며 후적지 개발 계획 역시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열린 대전시의회 제291회 정례회 도시주택국 행정사무감사에서 방진영 의원(더불어민주당·유성구2)은 "대전교도소는 수용률이 142.9%에 달해 전국 평균(122.1%)을 크게 웃돌고, 노후 시설로 국가인권위원회의 개선 권고까지 받..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