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 혼란한 시대에 길을 묻다: 입암과 '동몽선습'

  • 오피니언
  • 프리즘

[프리즘] 혼란한 시대에 길을 묻다: 입암과 '동몽선습'

민병찬 국립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 승인 2025-04-01 10:21
  • 신문게재 2025-04-02 19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민병찬
민병찬 국립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입암 민제인(1493~1549)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정치가로,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 우성산 기슭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희중(希仲), 호는 입암(立巖)이다. 그는 조선 중종과 명종 연간에 의정부 좌찬성을 지낸 고위 관료로 활동했으며, 학문과 정치 양면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입암은 대전 지역의 입향조 민충원의 증손으로, 조부 민수는 이조정랑, 부친 민구손은 성균관 전적을 지냈다. 그의 가문은 고려 중엽 중국에서 귀화한 여흥 민씨 시조 민칭도에서 시작되어, 학문과 덕행으로 명성이 높았다. 모친 언양 김씨 역시 명문가 출신으로, 입암은 학문과 도덕을 중시하는 가정환경에서 성장했다.

1543년 간행된 '동몽선습'은 입암의 교육 철학과 인간관을 집약한 대표 저술이다. 그는 사회가 도덕적으로 병들어 사람들이 본성을 잃고 짐승과 다를 바 없는 상태에 빠졌다고 비판하며, 이를 바로잡기 위해 책을 집필했다. 그는 인간이 중용의 도덕을 실천하지 못하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며, '동몽선습'을 통해 참된 인간성과 윤리 실천의 길을 제시하고자 했다.

입암은 "하늘과 땅 사이의 만물 중 사람이 가장 존귀하다"고 하며, 그 이유를 인간 관계의 기본 규범인 오륜(五倫)에서 찾았다. 오륜은 부모와 자식 간의 친애(부자유친), 임금과 신하 간의 의리(군신유의), 부부 간의 분별(부부유별), 어른과 아이 간의 질서(장유유서), 친구 간의 신뢰(붕우유신)를 의미한다. 그는 인간이 이 오륜을 알고 실천할 때 비로소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으며, 도덕 실천이야말로 인간을 고귀한 존재로 만들고 사회의 안정과 번영을 가능케 한다고 보았다.



'동몽선습'은 인간의 도리와 윤리적 규범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실천 방법을 제시하는 교육서였다. 그는 삼강(三綱)과 오상(五常)을 근간으로 인륜과 도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삼강은 임금과 신하, 부모와 자식, 부부 간의 관계에서 지켜야 할 질서인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을 뜻하며, 오상은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의 다섯 덕목으로 사람이라면 반드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인격 요소이다. 입암은 이 덕목들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근본이라 보았다.

'동몽선습'에는 "사람이 다섯 가지 도리를 알지 못하면 짐승과 다를 바 없다"는 구절이 있다. 그는 인간의 존엄성이 도덕적 실천에서 비롯되며, 각자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다할 때 사회가 조화롭게 유지된다고 믿었다. 예컨대 부모는 자식을 사랑하고, 자식은 부모에게 효도해야 하며, 임금은 의로워야 하고 신하는 충성해야 하며, 남편은 아내와 화목하고 아내는 유순해야 한다고 했다. 이는 인간 관계 속 상호 책임과 조화를 강조한 사상이다.

입암은 교육의 목적을 단순한 지식 습득이 아닌, 도덕적 인격 형성과 사회적 책임 실천에 두었다. 그는 학문을 통해 과거, 현재, 미래의 이치를 통달하고, 이를 마음속에 간직해 몸으로 실천하는 삶을 추구했다. '동몽선습'은 후학들에게 인간관계에서의 도덕 실천을 강조하며, 참된 교육을 통한 사회 개혁을 꿈꾸는 입암의 철학이 담겨 있다. 입암의 사상은 단지 윤리 규범을 제시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것이 실제 삶 속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고민한 실천적 철학이었다. 그는 인간관계에서 상호 존중과 책임을 기반으로 한 조화로운 사회를 이상으로 삼았고, 이러한 가르침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의미하다. 특히 사회적 갈등과 분열이 심화되는 현대에 있어, 그의 상호적 인간관계와 도덕 실천 중심의 교육 철학은 공동체 회복의 지침이 될 수 있다.

'동몽선습'은 전통 윤리와 도덕을 계승하면서도, 이를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방식으로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크다. 입암 민제인의 사상은 과거의 유물에 머무르지 않고, 오늘날 개인의 도덕적 성장과 공동체의 조화로운 발전을 위한 나침반이 될 수 있다. 그의 교육 철학은 지금도 변함없이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우리가 인간다운 삶을 살아가기 위해 되새겨야 할 소중한 유산이다. 민병찬 국립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4.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