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가장 필요한 대책. 사진=국토연구원 제공. |
3일 국토연구원이 '도로정책브리프'로 발표한 국토정책 이슈 발굴 일반국민 인식 조사에 따른 결과다. 이번 설문조사는 2025년 1월 21~24일까지 진행했고, 표본 크기는 1000명으로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69세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그 결과,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가장 필요한 대책을 묻는 1순위 답변으로는 '지역별 맞춤형 일자리 확충'이 27.1%로 가장 높았다. 이어 '수도권 집중 억제(25.8%)', '지방 생활 인프라 확충(23.2%)', '수도권 버금가는 지방대도시권 육성(8.6%)', '지역별 신사업 혁신생태계 구축(6.5%)', '지방 광역교통망 확충(5.3%)' 순이었다.
이와 별개로 1순위와 2순위의 응답을 통합해 살펴보면 결과 값이 달랐다. 결과를 보면, '지방 생활 인프라 확충'이 56.4%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뒤를 이어 '지역별 맞춤형 일자리 확충(49.1%)', '수도권 집중 억제(39.8%)', '수도권 버금가는 지방대도시권 육성(16.9%)', '지역별 신사업 혁신생태계 구축(16.5%)', '지방 광역교통망 확충(13.8%)', '비수도권 대학교육 강화(7.5%)' 순이었다.
이는 2순위에서 지방 생활 인프라 확충에 대한 답변이 두드러졌다는 분석이다. 수도권 억제와 지방 일자리 육성은 응답자의 가치관에 따라 필요성에 관한 판단이 구분되지만, 1순위 응답이 무엇인지와 무관하게 '지방 생활 인프라 확충'은 공통으로 2순위로 응답했기 때문이라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 |
국가 간선도로망 관리에 관해 가장 중요한 사항. 사진=국토연구원 제공. |
국가 간선도로망 관리 중요 사항을 두고는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대부분의 지역에선 '안전점검 및 성능개선 강화'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충청권인 대전·세종·충남·충북만 '노후 인프라 대규모 수선'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노후 인프라 대규모 수선' 비율 중에서 충청권은 60.4%로 가장 높았다.
국토연구원 관계자는 "국가 간선도로망 관리에서 인프라의 안전점검과 노후인프라 수선을 간선도로망 관리에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미뤄볼 때, 국민은 물리적 인프라의 직접적인 개선에 대한 투자에 더 강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 |
국가 간선도로망 관리 중요 사항에 관한 지역별 차이. 사진=국토연구원 제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