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 |
김 후보는 이날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5차 전당대회에서 이같이 결정됐다.
그는 최종 득표율 56.53%로 43.47%를 얻은 한동훈 후보를 제쳤다.
이번 최종 경선은 당원투표와 국민여론조사를 50%씩 반영했다.
김 후보는 당원투표 61.25%(24만6천519표)를 얻어 한 후보(38.75%, 15만5천961표)를 20%포인트 이상 크게 앞섰으며, 여론조사도 51.81%를 받아 한 후보(48.19%)보다 앞섰다.
김 후보는 수락연설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세력의 집권을 막기 위해서라면 어떤 세력과도 강력한 연대를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실상 얼마 전 대권 출마를 공식 선언한 한덕수 전 총리와 단일화를 염두해 둔 발언으로 들린다.
그는 또 "낡은 1987년 체제를 바꾸는 개헌을 추진하겠다. 정치와 사법, 선거제도를 개혁하겠다"며 "감사원이 선관위를 감사하고. 사전투표제도를 폐지하겠다.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을 폐지하겠다"고 제안했다.
정치권 안팎에선 이날 국힘 최종 후보 선출을 앞두고 반탄(탄핵반대)과 찬탄(탄핵찬성) 중 어느 쪽 후보가 경선에서 승리를 가져갈 지 관심이 쏠렸다.
김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을 반대해 온 반면 한 후보는 탄핵을 찬성해 왔다.
김 후보는 당원 투표에서 한 후보를 20%p 이상 크게 앞서 승리해, 결국 당심은 반탄 후보에 손을 들어준 것으로 해석된다.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줄곧 범보수 진영의 지지율 선두를 달려왔으며 지난달 9일 국민의힘에 입당해 대선 출사표를 냈다.
이로부터 한 달도 되지 않은 시점에 직전 여당이었던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됐다.
한편, 김 후보는 얼마 전 충청권을 방문한 자리에서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도 공약했다.
또 대전·세종·충청을 아우르는 광역경제권 조성도 약속한 바 있다.
그는 "국회의사당 세종 이전은 이미 여야 간 합의된 사안"이라며 "입법과 행정이 가까이 있어야 국정운영이 효율적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고 행정수도 완성 의지를 피력했다.
충청권 광역경제권 구상과 관련해선 "연구개발 인프라가 뛰어나며, 카이스트와 충남대 등 대학과 연구소가 밀집해 있다"며 "광역 급행철도 등을 통해 30분 이내로 연결하면 수도권을 능가하는 신성장축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