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환석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술응용센터 책임연구원 |
그렇다면 한의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항암 소재는 무엇일까? ChatGPT에 물어보니 인삼, 황기, 백복령, 반하, 백화사설초, 청호 등이 대표적이라고 한다. 하지만 나는 그중에서도 '옻(건칠)'이 항암 면역치료제로서 가장 주목할 만한 생약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한의 임상 현장에서는 '건칠단', '건칠고' 등 다양한 형태의 건칠 처방이 암 환자에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2000년대 초반, '넥시아(Nexia)'라는 이름으로 건칠을 활용한 말기 전이성 신장암 치료 증례 2건이 국제 학술지에 소개되면서 큰 주목을 받았고 이후 제조와 관련한 법정 분쟁도 있었다.
우리 연구팀은 종양면역 치료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1000여 종의 천연물 추출물을 스크리닝하던 중 건칠의 가능성을 다시 발견하게 됐다. 놀랍게도, 건칠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면역관문억제제의 표적인 PD-1과 CTLA-4를 차단하는 활성을 보였다. 참고로, PD-1을 차단하는 항체 치료제 '키트루다(Keytruda)'는 2023년 한 해 동안 43조 원에 달하는 매출을 기록했고, CTLA-4를 표적으로 하는 '옵디보(Opdivo)' 또한 연 매출 10조 원에 달했다. 건칠이 이와 유사한 면역기전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은 매우 흥미롭다. PD-1과 CTLA-4는 T세포 활성을 억제하는 면역관문 분자로, 암세포가 면역 회피 전략으로 이들을 활용한다는 사실은 2010년 이후 활발히 연구됐고 해당 분야의 공로로 제임스 앨리슨 교수와 혼조 타스쿠 교수는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하기도 했다.
2010년 이전의 항암제 연구는 대부분 암세포를 직접 사멸시키는 약물을 찾는 연구였으나 면역관문 차단제의 놀라운 효과가 보고되면서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암을 제거하는 종양면역 연구가 크게 활기를 띠고 있다. 그래서 종양면역 치료제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치료제라 3세대 항암제로 불리기도 한다. 한약의 항암 연구도 2010년대까지는 대부분 암세포를 직접 사멸하는 연구였으며 근래에 이르러 종양면역 연구를 시작하는 단계다.
나는 건칠의 항암 효과가 암세포 자체를 직접 공격하는 기전보다는,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종양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데 더 가깝다고 본다. 실제로 최근에 단국대 이상헌 교수 연구팀에서도 건칠이 T세포 기능을 활성화시켜 암을 억제함을 보고하기도 했다. 다만 면역세포가 잘 작동하는 종양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실제로 키트루다조차 전체 고형암 환자 중 치료 반응률이 15%에 그친다는 점은 이를 잘 보여준다. 건칠 역시 종양에 면역세포가 많이 분포한 환자군에서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임상시험이 진행된다면, 이러한 종양의 면역 환경 특성을 고려해 환자 선정이 이루어진다면 더 우수한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암에 효과적인 '만병통치약'은 존재하지 않는다. 암세포의 유전자 구성과 종양을 둘러싼 환경은 각기 다르기 때문에 약물 반응도 다르다. 다행히, 최근에는 환자의 암 유전체 분석이 쉬워졌고 기존 치료 데이터와 AI 기술을 접목하면 개인 맞춤형 치료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그 전략 중 하나로 '한의 종양면역치료법'이 포함되길 기대한다. 정환석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술응용센터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