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칼럼] 옻, 종양면역 치료제로서의 새로운 가능성

  • 오피니언
  • 사이언스칼럼

[사이언스칼럼] 옻, 종양면역 치료제로서의 새로운 가능성

정환석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술응용센터 책임연구원

  • 승인 2025-05-08 17:17
  • 신문게재 2025-05-09 18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clip20250508094855
정환석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술응용센터 책임연구원
시골에서 자란 나는 어릴 적 산과 들을 누비며 자연과 함께 성장했다. 그중에서도 산에 갈 때 가장 조심했던 것은 '옻'이었다. 옻나무에 스치기라도 하면 옻이 오를까 봐, 심지어 옻나무와 비슷한 붉나무 잎만 봐도 가까이 가기를 꺼리곤 했다. 옻이 오르는 것은 일종의 접촉성 피부염으로, 면역 과민 반응의 하나다. 한의학에서는 오래전부터 옻나무의 수지(樹脂)를 '건칠(乾漆)'이라는 약재로 사용해 왔다. 주로 혈행 개선, 어혈 제거 등의 목적으로 쓰이며 민간에서는 '옻닭'으로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다. 옻닭을 먹어본 사람이라면 국물에서 느껴지는 특유의 따뜻한 느낌을 기억할 것이다. 나 역시 다른 삼계탕보다 옻닭을 더 선호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한의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항암 소재는 무엇일까? ChatGPT에 물어보니 인삼, 황기, 백복령, 반하, 백화사설초, 청호 등이 대표적이라고 한다. 하지만 나는 그중에서도 '옻(건칠)'이 항암 면역치료제로서 가장 주목할 만한 생약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한의 임상 현장에서는 '건칠단', '건칠고' 등 다양한 형태의 건칠 처방이 암 환자에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2000년대 초반, '넥시아(Nexia)'라는 이름으로 건칠을 활용한 말기 전이성 신장암 치료 증례 2건이 국제 학술지에 소개되면서 큰 주목을 받았고 이후 제조와 관련한 법정 분쟁도 있었다.



우리 연구팀은 종양면역 치료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1000여 종의 천연물 추출물을 스크리닝하던 중 건칠의 가능성을 다시 발견하게 됐다. 놀랍게도, 건칠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면역관문억제제의 표적인 PD-1과 CTLA-4를 차단하는 활성을 보였다. 참고로, PD-1을 차단하는 항체 치료제 '키트루다(Keytruda)'는 2023년 한 해 동안 43조 원에 달하는 매출을 기록했고, CTLA-4를 표적으로 하는 '옵디보(Opdivo)' 또한 연 매출 10조 원에 달했다. 건칠이 이와 유사한 면역기전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은 매우 흥미롭다. PD-1과 CTLA-4는 T세포 활성을 억제하는 면역관문 분자로, 암세포가 면역 회피 전략으로 이들을 활용한다는 사실은 2010년 이후 활발히 연구됐고 해당 분야의 공로로 제임스 앨리슨 교수와 혼조 타스쿠 교수는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하기도 했다.

2010년 이전의 항암제 연구는 대부분 암세포를 직접 사멸시키는 약물을 찾는 연구였으나 면역관문 차단제의 놀라운 효과가 보고되면서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암을 제거하는 종양면역 연구가 크게 활기를 띠고 있다. 그래서 종양면역 치료제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치료제라 3세대 항암제로 불리기도 한다. 한약의 항암 연구도 2010년대까지는 대부분 암세포를 직접 사멸하는 연구였으며 근래에 이르러 종양면역 연구를 시작하는 단계다.



나는 건칠의 항암 효과가 암세포 자체를 직접 공격하는 기전보다는,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종양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데 더 가깝다고 본다. 실제로 최근에 단국대 이상헌 교수 연구팀에서도 건칠이 T세포 기능을 활성화시켜 암을 억제함을 보고하기도 했다. 다만 면역세포가 잘 작동하는 종양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실제로 키트루다조차 전체 고형암 환자 중 치료 반응률이 15%에 그친다는 점은 이를 잘 보여준다. 건칠 역시 종양에 면역세포가 많이 분포한 환자군에서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임상시험이 진행된다면, 이러한 종양의 면역 환경 특성을 고려해 환자 선정이 이루어진다면 더 우수한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암에 효과적인 '만병통치약'은 존재하지 않는다. 암세포의 유전자 구성과 종양을 둘러싼 환경은 각기 다르기 때문에 약물 반응도 다르다. 다행히, 최근에는 환자의 암 유전체 분석이 쉬워졌고 기존 치료 데이터와 AI 기술을 접목하면 개인 맞춤형 치료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그 전략 중 하나로 '한의 종양면역치료법'이 포함되길 기대한다. 정환석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술응용센터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의정부시, 시민 김지민 씨 저소득층에 성금 100만 원 전달
  2.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3. 인천 미추홀구, ‘시 특색 가로수길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4.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5. 대전상의, 청양지회-홍성세무서장 소통 간담회 진행
  1.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2. 공공사업 낙찰 규모 계룡건설산업 연말에 1위 탈환할까
  3. 이장우 시장 맞은 충남대병원, "암환자 지역완결형 현대화병원 필요" 건의
  4. 노사발전재단 충청중장년내일센터, '대전 기업 밋업데이' 개최
  5. 대청호 가을녹조도 하향추세…조류경보 '관심'으로

헤드라인 뉴스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침체를 겪는 대한민국 철강산업의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이른바, ‘K-스틸법’이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국가 경제의 탄탄한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충청 의원들이 대표 발의한 여러 민생법안들도 국회 문턱을 넘었으며, 여야 갈등의 정점인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도 국회 가결됐다. 국회는 이날 오후 본회의장에서 여야 합의로 상정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K-스틸법)에 대한 표결을 진행한 결과, 재석 의원 255명 중 찬성 245명, 반대 5명, 기권 5명으로 가결했다고 밝혔다. K-스틸..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