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차단 방역 활동 모습 |
충남 서산시에서 약 2만8000마리를 사육하는 육용오리 농장에서 H5형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15일 확진됐다. 정부는 긴급 방역 조치를 시행하고 위기경보 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 조정했다.
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것은 지난 4월 19일 충남 아산시 소재 토종닭 농장 확진 사례 이후 56일 만이다.
농식품부는 항원이 확인된 즉시 초동대응팀을 현장에 투입해 해당 농장 출입을 통제하고 살처분과 역학조사 등 방역 조치를 하고 있다.
정부는 같은 날 관계기관과 지자체가 참여한 방역대책 회의를 열고 현황을 공유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특히 이번 확진은 여름철에 드물게 발생한 사례로, 2003년 이후 전체 1366건 중 6월 발생 사례는 45건(3.3%)에 불과하다. 7월과 8월도 각각 4건(0.3%)과 0건으로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해당 농장은 도축장 출하 전 충남 동물위생시험소의 정밀검사 과정에서 확진이 확인됐다.
농식품부는 항원이 확인된 즉시 초동대응팀을 파견해 농장 출입통제와 살처분, 역학조사 등 방역을 실시했다.
지난 14일 오후 7시부터 24시간 동안 고병원성 AI 확산 방지를 위해 발생 농장과 같은 계열사의 사육 농장, 충남 내 오리농장과 관련 축산시설, 도축장, 차량 등을 대상으로 일시이동중지 명령을 내렸다.
농식품부는 고병원성 AI 추가 발생 방지를 위해 이날부터 AI 위기 경보 단계를 AI 긴급행동지침(SOP)에 따라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상향하고, 발생 지자체 등에 가축질병방역대책본부와 상황실을 가동하기로 했다.
또한, 정부는 감염 개체를 미리 발견,AI 확산 방지를 위해 16일부터 20일까지 AI 확산 방지를 위해 ▲충남 지역 오리농장 26곳과 발생 계열사(주원산 오리) 농장 85곳에 대한 일제 검사를 실시하고, 전국 가금농장을 대상으로 한 검사 주기를 단축한다.
이외에도 16일부터 22일까지 전국 일제 소독주간을 지정해 축산시설과 차량을 매일 소독하고, 서산 지역의 추가 발생을 막기 위해 인근 10㎞ 방역지역 내 전담관을 배치해 밀착 관리하며,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충남의 산란계 농장을 대상으로 알 운반 차량의 농장 진입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한 관계자는 "충남·북과 세종 지역에서 AI 발생이 집중됐고, 철새 북상 지연 등으로 바이러스가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다"며 "내 농장은 내가 지킨다는 책임의식을 갖고 사람과 차량 출입 최소화, 철저한 소독 등 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서산=임붕순 기자 ibs99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