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 중소기업 대출액 역대 최대... 연체율도 가파른 상승

  • 경제/과학
  • 지역경제

대전·충남 중소기업 대출액 역대 최대... 연체율도 가파른 상승

중소기업 대출 통계 집계하기 시작 후 가장 높은 수치 기록
연체율도 코로나19 당시보다 높은 수준으로 어려움 직면해
9월 예정된 대출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 만료도 위험 요소

  • 승인 2025-06-16 16:28
  • 수정 2025-06-16 17:25
  • 신문게재 2025-06-17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머리야
대전·충남 지역의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의 부채가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최고치로 치솟은 상황에서 연체율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이 깊어짐에 따라 은행에 빌린 돈을 갚지 못하는 이들이 늘고 있는 것인데, 코로나19 당시보다 더 높은 연체율로 어려운 경기 상황에 직면했다.

1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대전·충남 시중은행 중소기업대출액은 한은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7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확대됐다. 중소기업대출액은 지역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등이 모두 포함된 수치다. 우선 대전의 중소기업대출액은 3월 기준 23조 1253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매월 단 한 차례도 줄지 않고 상승하던 지역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2024년 8월 22조 9553억원에서 9월 22조 9049억원으로 주춤하는 듯했으나 추가적인 상승을 통해 2025년 2월 23조원을 돌파했다. 대출액이 최고치를 갈아치운 상황에서 대출연체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 3월 대전의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88%로, 2월(0.97)보다 0.09% 낮아졌지만, 여전히 높은 연체율을 기록 중이다. 2월 0.97%를 기록한 건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9년 12월 이후 최고치다. 또 코로나19로 경기 침체가 지속됐던 2020년 1월과 2월 각 0.66%, 0.72%다. 당시만 하더라도 연체율이 급격하게 치솟았으나, 현재는 이보다 높은 연체율을 나타내고 있다. 돈을 빌렸으나 갚지 못하는 이들이 늘어났다는 건 그만큼 한계에 내몰린 이들이 많다는 걸 의미한다. 높은 연체율이 지속되면 파산에 이르는 이들이 도미노처럼 불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충남도 상황은 어둡다. 충남의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3월 기준 26조 9003억원으로, 2007년 통계 집계 시작 이후 가장 높은 잔액을 기록했다. 대출액은 2024년 11월 26조 6024억원에서 12월 26조 5937억원으로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다 재차 늘어나며 27조원을 목전에 두고 있다. 매월 가파르게 상승하며 전체적인 몸집을 키워가는 모양새다. 불어나는 부채에도 연체율은 높은 편이다. 충남의 3월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51%로, 2월(0.50%)보다 0.01% 늘었다. 올 1월 0.57%로 역대 가장 높은 연체율을 기록한 뒤 소폭 줄어드는 듯했으나 재차 상승하며 부채 위험을 키워가는 중이다. 코로나19 당시인 2020년 1월과 2월 각각 연체율은 0.21%, 0.18%인 것과 비교하면 현재 연체율이 얼마나 크게 늘어난 상황인지를 알 수 있다.

9월 말 예정된 코로나19 당시 시행됐던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 만료도 줄도산 위험으로 꼽힌다. 2020년부터 4년간 연장된 해당 프로그램이 만기 되면 현재 급격하게 불어난 대출과 높은 연체율로 줄폐업할 가능성도 나온다.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연체율이 높다는 건 그만큼 돈이 회전되지 않아 수익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뜻과 같다"며 "대출 규모가 큰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빚을 갚기 어려워져 결국 문을 닫는 방향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2. 충남교육청, 교육공동체 함께하는 '책심(心)키움 마당' 운영
  3. 세종충남대병원, 410g 초극소 이른둥이 생존 화제
  4.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5. 충남도의회, 경로당 내 친환경 식재료 확대 방안 모색
  1. "양수발전소로 금산 미래 발전 이끈다"… 충남도, 민선8기 4년차 금산 방문
  2. 2026 세종시 지방선거 킥오프? 입후보 예정자 다 모여
  3. 내포∼세종 연결도로망 구축 청신호
  4. 장기요양기관 법령 이해도 높인다...경진대회 성료
  5. "대한민국 대표 치유·힐링 중심지로"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 2차 자문위원 회의

헤드라인 뉴스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대전과 세종, 충북을 통합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사업 추진이 본격화 됐다. 4일 국토교통부와 대전시에 따르면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급행철도인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했다. 민자적격성 조사는 정부가 해당 사업을 민간투자 방식으로 추진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절차다. 이번 통과는 CTX가 경제성과 정책성을 모두 충족했다는 의미로 정부가 민간 자본을 유치해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

내포 수년간 방치되던 공터, 초품아로… 충남개발공사 "연말 분양 예정"
내포 수년간 방치되던 공터, 초품아로… 충남개발공사 "연말 분양 예정"

내포신도시 건설 이후 수년간 방치됐던 공터가 '초품아(초등학교를 품은 아파트)'로 탈바꿈한다. 아파트 숲 속 허허벌판으로 남겨졌던 곳에 대규모 공사가 시작되면서 인근 주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5일 충남개발공사 등에 따르면 내포 RH-14블럭인 홍성군 홍북읍 신경리 929번지 일원에 'e편한세상 내포 에듀플라츠'를 건설 중이다. 공사를 총괄하는 시행사는 충남개발공사가, 시공사는 DL이앤씨가 맡았다. 총 세대수 727세대인 해당 아파트의 대지면적은 3만 8777.5㎡로 지하 2층~지상25층 규모, 10동이 들어설 예정이다. 세대구..

美 AI 버블 우려 확산에…코스피 올해 두 번째 매도 사이드카 발동
美 AI 버블 우려 확산에…코스피 올해 두 번째 매도 사이드카 발동

연일 신고점을 경신하던 코스피가 5일 인공지능(AI) 고평가 우려와 버블론 확산으로 지수가 크게 떨어지며 사이드카가 발동됐다. 이날 한국거래소는 오전 9시 36분 코스피 시장에 매도 사이드카를 발동했다. 올해 4월 7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로 인해 증시가 크게 출렁인 후 올해 두 번째 사이드카다. 오전 10시 30분에는 올해 처음으로 코스닥 매도 사이드카도 발동됐다. 코스피 사이드카는 코스피200선물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해 1분간 지속되는 경우, 코스닥은 코스닥 150선물지수가 6%, 코스닥..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돌아온 산불조심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