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KoCACA 아트페스티벌' 폐막...문화예술 도시 노크한 세종시

  • 정치/행정
  • 세종

'2025 KoCACA 아트페스티벌' 폐막...문화예술 도시 노크한 세종시

시민과 함께한 축제로 변모한 KoCACA 아트페스티벌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성공적인 행사
세종 예술단체, 전국에 역량 과시
금난새와 함께한 클래식 공연, 티켓 매진 기록

  • 승인 2025-06-22 07:46
  • 수정 2025-06-22 12:32
  • 이은지 기자이은지 기자
[붙임3] KoCACA아트페스티벌 폐막공연
금난새 지휘의 클래식 공연 모습. 사진=문화관광재단 제공.
세종시에서 선보인 '2025 KoCACA 아트페스티벌'이 6월 20일 7일간의 여정을 마치고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전국의 문화예술 관계자 2000여 명과 세종시민 5000여 명이 참여해 세종시를 문화예술의 중심지 도약으로 이끌었다. 'KoCACA 아트페스티벌'은 기존의 문화예술 종사자 중심의 네트워킹 행사에서 벗어나 시민과 함께하는 축제로 다가섰다.

'어반나잇-세종'이란 부대행사는 다양한 음식과 공연을 통해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냈고, 개막식에서는 100인의 시민 합창단과 최정원, 길병민의 사회로 김덕수패 사물놀이와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가 출연해 감동과 화합의 메시지를 전했다.

이번 페스티벌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했다. 전국에서 모인 참가자들로 인해 행사장 인근 숙박시설이 만실을 기록했으며, 2000만 원 상당의 식권이 지역 상권에서 사용돼 소상공인 매출 증대에 도움이 됐다. 또 모든 행사와 푸드마켓 운영 업체를 지역 업체로 한정해 지역과의 상생을 실현했다.



세종시 지역 예술단체들은 이번 페스티벌을 통해 전국에 숨겨진 역량을 알릴 기회를 가졌다. '안다미로아트컴퍼니'와 '퓨전국악그룹 풍류'는 'KoCACA 쇼케이스' 공식 초청작으로 선정돼 개막 무대에서 뜨거운 박수를 받았다.

세종시문화관광재단은 140여 개의 부스를 설치해 아트마켓을 운영하고, 공연장 연습실을 쇼케이스 공연장으로 활용하는 등 창의적인 기획으로 호응을 이끌어냈다. 지휘자 금난새와 함께한 몰입형 클래식공연은 티켓 오픈과 동시에 매진을 기록했다.

세종시문화관광재단 박영국 대표이사는 "이번 페스티벌은 전국의 문화예술계에 세종의 매력을 각인시킨 좋은 기회였다"며 "행사장을 찾아주신 전국의 문화예술관계자와 시민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전한다"고 밝혔다.
세종=이은지 기자 lalaej27@
[붙임2] KoCACA아트마켓
전국의 모든 공연단체 예술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성황을 이뤘다.
KakaoTalk_20250622_073631069
예술의전당 내부에서 선보인 코카카 아트 페스티벌. 사진=이은지 기자.
[붙임1] KoCACA아트페스티벌 개막식
폐막식 불꽃쇼 모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2. 청주시에 코스트코 입점한다
  3. 9월의 식물 '아스타', 세종호수·중앙공원서 만나보세요~
  4. 대산산단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에도 '대기업들은 효과 글쎄'
  5.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1.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경로당 활성화 지원사업' 맞춤형 프로그램 마무리
  2.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3.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4. 취약계층 아동에게 희망과 용기 전하다
  5. [대전 특수학교대란 긴급진단] 갈 곳 없는 아이들, 2029년만 기다리는 대전교육청

헤드라인 뉴스


메가충청스퀘어 조성사업,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메가충청스퀘어 조성사업,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대전 도심융합특구의 중심 사업인 '메가충청스퀘어'가 연내 청신호가 켜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대전 혁신도시에 자리한 '메가충청스퀘어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이 중요해지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사업은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연면적 22만 9500㎡, 지하 7층-지상 49층 규모로 컨벤션, 상업·주거시설, 호텔 등 주요 시설을 포함한 건물 2개 동을 짓는 사업이다. 대전역 동광장 일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대규모 복합 개발 프로젝트로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가 미국의 관세 조치로 피해를 입은 수출기업에 연말까지 13조60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자금을 공급한다. 대전·세종·충남의 경우 대미 수출기업은 1317곳으로 지역 전체의 30.2%를 차지하는 만큼, 상당수 기업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3일 관계부서 합동으로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美 관세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미국과 관세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15% 수준으로 낮췄지만, 수출 하방 요인이 여전해 이번 지원대책을 마련했다.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 여력과 자금력이..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 9월 11일 개최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 9월 11일 개최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이 9월 11일 열린다.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은은 3일 오후 브리핑을 통해 “이재명 정부 출범 100일을 기념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올해 7월 3일 취임 한 달 기자회견을 진행한 이후 70일 만에 열리는 두 번째 회견이다. 회견의 슬로건은 '회복을 위한 100일, 미래를 위한 성장'으로, 90분간 민생·경제와 정치·외교안보, 사회·문화 등 세 분야로 진행하며, 150여 명의 내외신 기자가 참석할 예정이다. 이 수석은 "이 대통령은 이번 회견에서 미래 성장을 위한 정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