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KoCACA 아트페스티벌' 폐막...문화예술 도시 노크한 세종시

  • 정치/행정
  • 세종

'2025 KoCACA 아트페스티벌' 폐막...문화예술 도시 노크한 세종시

시민과 함께한 축제로 변모한 KoCACA 아트페스티벌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성공적인 행사
세종 예술단체, 전국에 역량 과시
금난새와 함께한 클래식 공연, 티켓 매진 기록

  • 승인 2025-06-22 07:46
  • 수정 2025-06-22 12:32
  • 이은지 기자이은지 기자
[붙임3] KoCACA아트페스티벌 폐막공연
금난새 지휘의 클래식 공연 모습. 사진=문화관광재단 제공.
세종시에서 선보인 '2025 KoCACA 아트페스티벌'이 6월 20일 7일간의 여정을 마치고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전국의 문화예술 관계자 2000여 명과 세종시민 5000여 명이 참여해 세종시를 문화예술의 중심지 도약으로 이끌었다. 'KoCACA 아트페스티벌'은 기존의 문화예술 종사자 중심의 네트워킹 행사에서 벗어나 시민과 함께하는 축제로 다가섰다.

'어반나잇-세종'이란 부대행사는 다양한 음식과 공연을 통해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냈고, 개막식에서는 100인의 시민 합창단과 최정원, 길병민의 사회로 김덕수패 사물놀이와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가 출연해 감동과 화합의 메시지를 전했다.

이번 페스티벌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했다. 전국에서 모인 참가자들로 인해 행사장 인근 숙박시설이 만실을 기록했으며, 2000만 원 상당의 식권이 지역 상권에서 사용돼 소상공인 매출 증대에 도움이 됐다. 또 모든 행사와 푸드마켓 운영 업체를 지역 업체로 한정해 지역과의 상생을 실현했다.



세종시 지역 예술단체들은 이번 페스티벌을 통해 전국에 숨겨진 역량을 알릴 기회를 가졌다. '안다미로아트컴퍼니'와 '퓨전국악그룹 풍류'는 'KoCACA 쇼케이스' 공식 초청작으로 선정돼 개막 무대에서 뜨거운 박수를 받았다.

세종시문화관광재단은 140여 개의 부스를 설치해 아트마켓을 운영하고, 공연장 연습실을 쇼케이스 공연장으로 활용하는 등 창의적인 기획으로 호응을 이끌어냈다. 지휘자 금난새와 함께한 몰입형 클래식공연은 티켓 오픈과 동시에 매진을 기록했다.

세종시문화관광재단 박영국 대표이사는 "이번 페스티벌은 전국의 문화예술계에 세종의 매력을 각인시킨 좋은 기회였다"며 "행사장을 찾아주신 전국의 문화예술관계자와 시민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전한다"고 밝혔다.
세종=이은지 기자 lalaej27@
[붙임2] KoCACA아트마켓
전국의 모든 공연단체 예술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성황을 이뤘다.
KakaoTalk_20250622_073631069
예술의전당 내부에서 선보인 코카카 아트 페스티벌. 사진=이은지 기자.
[붙임1] KoCACA아트페스티벌 개막식
폐막식 불꽃쇼 모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망 20일 뒤 발견된 모자 왜?…사회 단절된 채 수개월 생활고
  2. 대전교육청 리박스쿨 이어 이번엔 극우 교원단체 '대한교조' 홍보 배정 논란
  3. 저스티스 유한 법무법인 첫 전환…전문성·법률서비스 강화
  4.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 외국인 관광객 유치 특례 추가
  5. 의대생 전원 돌아온다지만... 지역 의대 학사운영·형평성 논란 등 과제
  1. 유성선병원 대강당의 공연장 활용 의료계 의견 분분…"지역 밀착형vs감염병 취약"
  2. ‘민생회복지원금 21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3. 전재수 "해수부, 세종보다 부산이 더 효과" 발언에 충청권 '발끈'
  4. 대전.충남 행정통합 결실 위해선 초당적 협력 시급
  5. 지질자원연 탐해3호 서태평양 출항, 해저 희토류 정밀 탐사 시작

헤드라인 뉴스


정부세종청사 첫 국무회의 언제?… 이재명 정부는 다를까

정부세종청사 첫 국무회의 언제?… 이재명 정부는 다를까

오는 8월 청와대의 대국민 개방 종료와 함께 이재명 새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시선이 어디로 향할지 주목된다. 청와대는 새 정부 로드맵에 따라 7월 말 일단 문을 닫는다. 2022년 5월 첫 개방 이후 약 3년 만의 폐쇄 수순이다. 빠르면 9월경 종합 보안 안전과 시설물 등의 점검 과정을 거친 뒤 대통령실의 심장부로 다시 거듭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국정 운영을 시작할 시점이기도 하다. 청와대가 다시 수도 서울의 상징이자 중앙권력의 중심부로 돌아오는 과정이나 우려되는 지점은 분명하다. 수도권 초집중·과밀을 되레 가속..

이번엔 스포츠다!…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이번엔 스포츠다!…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대전시가 지역 대학생들과 협업해 새롭게 탄생시킨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를 시민들에게 공개했다. 15일 대전시에 따르면 오는 17일까지 대전시청 1층 로비에서 '2025 꿈씨패밀리 스포츠디자인 산학협력 프로젝트 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대전시 대표 마스코트인 '꿈돌이'와 '꿈씨패밀리'를 스포츠 테마로 재해석한 작품들로, 한남대학교 융합디자인학과와 목원대학교 시각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재학생 38명이 참여해 지난 한 학기 동안 완성한 결과물을 시민들에게 공개하는 자리다. 전시장에는 캐릭터별 등신대, 티셔츠·선캡 등 굿즈, 그리..

제2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임송자 화백… 특별상 김은희, 정의철 작가
제2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임송자 화백… 특별상 김은희, 정의철 작가

충청을 대표하는 미술상인 제23회 이동훈 미술상 본상 수상자로 임송자 화백이 선정됐다. 이동훈기념사업회는 15일 중도일보 4층 대회의실에서 진행한 제23회 이동훈미술상 수상 작가 심사 결과, 본상에 임송자 화백, 특별상에 김은희, 정의철 작가를 각각 수상자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훈 미술상은 대전·충청 미술의 토대를 다진 고 이동훈 화백의 예술정신을 기리고자 2003년 제정됐다. 대전시와 이동훈기념사업회가 공동 주최하며, 중도일보와 대전시립미술관이 주관한다. 본상은 한국 근·현대미술에 큰 업적을 남긴 원로 작가에게, 특별상은 대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 요란한 장맛비 요란한 장맛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