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골령골 민간인희생 상징물 '산딸나무꽃'…제4회 평화예술제에서 선봬

  • 사회/교육
  • 미담

대전 골령골 민간인희생 상징물 '산딸나무꽃'…제4회 평화예술제에서 선봬

26일 오후 7시 30분 대전민예총 위로 공연

  • 승인 2025-06-27 09:37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IMG_0895
6월 26일 오후 7시 30분 대전 동구 산내 골령골에서 1950년 6월 민간인 학살 희생자들을 위로하는 평화예술제 공연이 펼쳐졌다.  (사진=임병안 기자)
대전 골령골 주변에서 쉽게 관찰되나 눈여겨 보지 않아 존재를 잘 모르던 산딸나무 꽃잎이 이곳에서 자행된 민간인 학살 피해자를 위로하고 기억하는 상징물로 제시됐다. (사)대전민예총과 대전산내골령골대책회의는 6월 26일 오후 동구 산내 골령골 학살지에서 개최한 '제4회 평화예술제'에서 골령골 희생자들을 기억하는 상징 식물에 산딸나무를 생각하고, 하얀 꽃잎 모양의 뱃지를 제작해 이날 참여 시민들에게 나눠줬다. 산딸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 어디서나 비교적 잘 자라고 6월 상순경 흰색 순결한 꽃을 피우는데, 그 모양이 마치 십자가를 닮아 '희생'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다.

김성장 대전민예총 이사장은 "우리 주변에 분명 있으나 전에 보이지 않던 꽃이 더 잘 보이는 것, 기억한다는 것이 그런 의미가 있다"라며 "피어나지 못하고 서둘러 저버린 꽃들에 대하여 생각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설명했다.

IMG_0872
대전 동구 골령골 평화예술제에서는 시민들이 참여하는 걸게그림 색칠하기 등이 이뤄졌다.  (사진=임병안 기자)
이날 한 시간 남짓 진행된 평화예술제는 상여소리를 앞세워 이 땅의 희생자들을 안타까워하고 교훈을 담은 만장이 임시무대에 입장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시민들은 문화제 시작 전부터 현장에 마련된 참여 코너에서 유가족을 위로하는 붓글씨 쓰기 체험을 하고, 걸게 그림에 색칠을 도왔다. 마당극패 우금치 단원들이 탈을 쓰고 1950년 6월 27일부터 이곳에서 벌어진 학살을 재현해 망인들의 혼을 달랬다. 이어 맺힌 원한을 풀고 서로의 안녕을 기원하는 임창숙 선생의 해원상생춤이 무대에 오르고 김미숙 연주자의 해금 연주 그리고 성악가 문여진의 '천개의 바람이 되어', 가수 전강수의 '작은 산' 노래가 골령골에 메아리쳤다. 대전평화합창단의 아카펠라 공연에 이은 창작탈춤패 '그믓 넘차' 단원들이 흥겨운 몸짓 공연으로 평화예술제를 마쳤다.

여름 초입에 왔다./ 아니 끌려 왔다.// 그때는 아무것도 생각할 수 없었다./ 두려움은 모든 구멍을 막았다.// 그늘지고 외진곳 다시 보니 예쁘다./ 무섭다는 생각에 그때는 몰랐다.// 시간이 지나 골짜기로 들어오는 길./ 무덤이 되지 않았다면...// 여름 이야기하며 식구들과 함께 걷고 싶다. 김희정 시 '이제, 국가 차례이다'



KakaoTalk_202506217_093419849
산딸나무꽃 뱃지
정경희 대전민예총 사무국장은 "지난해 12월 계엄사태에 국민은 힘과 지혜를 모아 극복했듯이 이곳에서 벌어진 민간인 학살에 대한 아픔에 대해서도 우리가 힘이 있어야 극복하고 새로운 시대를 맞을 수 있다는 생각에서 오늘 평화예술제를 마냥 무겁지는 않도록 기획했고, 힘차게 나아가자는 메시지를 담고자 마지막 공연은 흥겹게 구성했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제75주기 제26차 피학살자 합동위령제를 대전 동구 낭월동 13번지 일대 산내 골령골에서 27일 오전 11시 30분부터 (사)대전산내사건희생자유족회와 제주4.3희생자유족회대전위원회가 주최해 개최된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법원, 유튜브 후원금 횡령 혐의 40대 여성 선고유예
  2. 캄보디아서 구금 중 송환된 한국인 70%, 충남경찰청 수사 받는다
  3. 천안시, 직원 대상 청렴·반부패 추가교육 실시
  4. 대한전문건설협회 대전시회, '중대재해 근절 성실·안전시공 결의식' 개최
  5. 대만 노동부 노동력발전서, 한기대 STEP 벤치마킹
  1. 천안시, '정신건강의 날 기념' 마음건강 회복의 장 마련
  2. 천안시의회 이병하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제 운영' 등 2건 상임위 통과
  3. 천안동남소방서, 현장대응활동 토론회 개최
  4. 천안시 보건소, '영양플러스 유아 간식 교실' 운영
  5. 한화이글스의 가을…만원 관중으로 시작

헤드라인 뉴스


국감 중반전…충청 슈퍼위크 돌입 촉각

국감 중반전…충청 슈퍼위크 돌입 촉각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가 중반전에 돌입한 가운데 대전시와 세종시 등 충청권 시도를 포함한 지역 주요 피감 기관장들이 20일부터 줄줄이 증인대에 오른다. 내년 지방선거 앞 국감에서 기선 제압을 위한 여야 각축전이 금강벨트로 확전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충청권으로선 현안 이슈파이팅으로 미래 성장 동력을 창출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다는 지적이다. 여야는 지금까지 올 국감에서 조희대 대법원장과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 등을 둘러싼 각종 의혹을 두고 정책이 실종된 채 정쟁을 벌이며 '막말 국감'을 자초하고 있다. 한껏 가팔라진 여야 대..

국감서 혹독한 평가 우주항공청, 대전에 연구개발 역량 집중해야
국감서 혹독한 평가 우주항공청, 대전에 연구개발 역량 집중해야

개청한지 1년 반이 지난 우주항공청이 국정감사에서 혹독한 평가를 받는 가운데 '우주항공 5대 강국 도약'을 위해선 대전을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는 우주항공청의 운영 체계와 인력 구성 등 조직 안정성과 정책 추진력 모두 미흡하다는 질타가 쏟아졌다. "전문가들은 우주청의 구조적 한계로 '예산 부족'을 꼽는다. 올해 우주항공청 예산은 약 9650억원으로, 1조원에도 미치지 못한다. 모든 분야를 포괄하기엔 역부족인 규모다. 여기에 입지 문제도 크다. 우주청..

대전창작센터, 원로 예술인 특화 전시관으로 전환
대전창작센터, 원로 예술인 특화 전시관으로 전환

대전 미술의 창작 공간이던 대전창작센터가 20년 여정의 마침표를 찍고, 원로예술인 특화 전시관으로 전환된다. 19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창작센터는 옛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청지원 건물로 故배한구(1917~2000) 선생이 설계한 것으로 등록문화재 10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한국 근대건축으로 평가받는다. 2005년 대전시립미술관은 한남대 건축학과 한필원 교수와 협력한 프로젝트 전시 <산책-건축과 미술>을 통해 문화시설로서의 재생 기능성을 확인하고 본격적인 프로젝트에 돌입, 2008년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으로부터 관리전환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