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천시, 해양쓰레기 수거에 총력<제공=사천시> |
7월 24일 기준, 총 1100t으로 추정되는 쓰레기 중 약 500t이 수거됐다.
쓰레기는 삼천포항, 대방항, 신수도 해역 등 주요 연안과 어항, 해양공원 등으로 밀려들었다.
주로 갈대류와 초목류로 구성된 이 쓰레기들은 조업 활동을 막고 어장을 훼손하고 있다.
어민들은 악취와 조업 중단 등 현실적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일부 어촌계는 직접 조업을 중단한 채 복구와 수거에만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다.
시는 7월 18일부터 22일까지 1차 수거로 300t을, 23일부터 24일까지는 2차 작업으로 200t을 추가 수거했다.
용역업체와 협력한 긴급 대응과 함께 장비 투입도 확대되고 있다.
오는 28일부터는 삼천포항, 대방항 등 퇴적 해역에 집중 수거와 정화작업이 예고돼 있다.
시는 시비 2억 원을 투입한 데 이어 해양수산부와 경남도에 재해복구 예비비를 요청해 놓은 상태다.
사천시는 단기 대응과 예산 투입에 집중하고 있지만, 어업과 관광업 전반에 미치는 피해는 이미 일상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다.
수거 비용만 수억 원에 달하고, 오염이 지속될 경우 해양 생태계 회복력에도 악영향이 우려된다.
어업 피해에 대한 실질 보상이나 어촌계 재건 대책은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다.
쓰레기 수거 이후가 곧 해양정책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별재난지역 선포 요구도 확산되고 있다.
지역 정치권과 시민단체, 어업계는 국가 차원의 구조적 대응과 제도적 지원을 촉구하고 있다.
박동식 시장은 "이번 피해는 단순한 환경문제를 넘어선 재난 수준"이라며, "국가의 책임 있는 대응과 함께 사천시도 피해 복구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쓰레기를 건져내는 일은 시작됐지만,
삶의 터전을 복원하는 일은 이제부터가 진짜다.
tkcjs=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