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민호 세종시장이 11일 세종시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이은지 기자 |
이재명 정부의 국정기획위원회가 지난 5일 '대통령 세종 집무실' 건립을 신속 추진과제로 선정·발표했으나,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에 따른 문제 등 당면 현안의 동시 해결 필요성을 안고 있어서다.
최민호 시장은 11일 오전 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40만 세종시민과 함께 대통령 집무실의 신속 과제 추진을 환영한다"라는 뜻을 밝히면서, "행정수도 완성을 실질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새 정부의 의지를 공식화한 것"이라 평가했다.
그러면서 8월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밝힌 후속 과제와 우려 지점을 보다 명확히 했다. 대통령 집무실의 신속 추진에 앞서 해묵은 과제들에 대한 동시 해결을 요구한 것이다.
무엇보다 해수부 부산 이전에 따른 우려와 함께 조속히 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그는 "해수부가 아직 지역에 남아있기 때문에 체감되지 않을 수 있지만, 연말에 썰물 빠지듯 빠져나가면 상가 공실 등 지역 피해가 피부에 와닿을 것"이라며 "이러한 공백을 종합대책을 통해 채워나가야 한다고 (대통령께)이미 말씀드렸다"고 말했다.
해수부 이전의 도미노 현상에 대해서도 분명히 짚었다.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 선출과정에서 기후에너지부의 호남 설치론이 제기된 것과 관련해 "그것은 단호히 행정수도 완성에 역행하는 일"이라고 반박했다.
![]() |
최민호 세종시장이 11일 세종시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세종시 제공 |
그런 의미에서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집무실의 이전 규모와 건립 시기, 주요 기능 등을 구체화한 이행 로드맵 마련을 정부에 제안했다. 행정수도 완성에 대한 대통령의 의지를 보다 분명히 보여줘야 국민적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와 함께 올 초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에 의해 발의된 '여가부와 법무부' 등 수도권 잔류 중앙부처의 조속한 세종시 이전도 촉구했다. 해수부 이전이 불가피한다면, 이의 공백을 최소화하고 행정기능의 집적도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이란 인식에 따른다. 법 개정 없이도 이전이 가능한 국가인권위원회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5개 위원회과 대통령 소속 위원회의 동반 이전도 요청했다.
한글 문화도시로서 정체성 강화도 후속 대안으로 언급했다. 한글 관련 공공기관을 '한글도시' 세종시로 이전하는 방안을 제안한 것인데, 국립한글박물관(용산구)과 세종학당재단(서초구) 등을 수도권 2차 이전 대상에 포함하는 안이다. 2026년 국비 사업 반영을 일찌감치 제안한 국립한글문화단지와 시너지 효과 창출도 당부했다.
최 시장은 "공공기관 이전은 지방시대위원회에서 관장하고 있어, 김경수 위원장과 조만간 만나 제안하고, 무게 있게 논의할 것"이라며 "국정기획위원회의 신속 추진과제 지정을 시작으로 세종시가 국가균형발전의 중심축으로서 시대적 소명을 다할 수 있도록 책임을 다하겠다. 행정수도 완성이 흔들림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국무총리실 및 지방시대위원회와 적극 협력해 나갈 것"이란 각오를 밝혔다.
세종=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