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공론] 혼자 서 있는 여자

  • 오피니언
  • 문예공론

[문예공론] 혼자 서 있는 여자

오세원/닥터오즈정신건강의학과 원장

  • 승인 2025-08-14 10:57
  • 수정 2025-08-14 12:25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하루는 어떤 중년 여성으로부터 전화가 왔다. 그녀는 필자의 두 번째 수필집 '날마다 고독한 여자'를 사서 읽어 봤는데 자신의 증세가 어쩌면 책 속의 주인공과 똑 같은지 한 번 찾아 가 뵙고 싶다는 것이다. 그런 후 이삼 일쯤 지나 책을 들고 조심스럽게 진료실로 들어와서는 자신의 공허하고 쓸쓸한 마음에 대해서 상담을 시작했다.

40대 초반인 그녀는 남편과 함께 전문기관에 물품을 납품하는 일을 한 10년째 하는데 단골도 늘었고 사업도 잘 되기 때문에 이만 하면 됐다 싶은 생각이 들었는데, 어느 날부터 마음이 허전해지고 살아간다는 일이 갑자기 무의미해지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렇게 마음이 심란해지자 일도 손에 잡히지 않고 갑자기 죽고 싶어질 때도 있어, 이러다가는 큰일 나겠다 싶던 차에 '날마다 고독한 여자'라는 제목이 붙은 책이 어쩌면 자신의 심리와 똑같은가 하고 사서 읽어 봤는데, 큰 도움이 되어 용기를 내 병원에 오게 되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살면서 정신없이 앞만 보고 달려와서 사업도 안정이 되었고, 아이들도 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기 때문에 아무 걱정이 없는데, 왜 이런 증세가 생겼는지 모르겠다는 것이다.

병이란 참 이상하다. 아등바등 살 때는 아프지 않다가, 먹고 살만하고, 이만하면 됐다 싶을 때, 꼭 가족 중에 하나는 아프게 만들어서 가정의 평화를 깨는 심술을 부린다. 병에 걸리지 않으려면 평생 긴장을 하면서 살아야 된다는 말인가. 그런데 평생 긴장하면서 도대체 사람들이 몇 살까지 살 수 있을 것인가.



그러나 마음의 병이 생길 때는 누구나 다 이유가 있다. 따라서 그런 이유를 찾아내면 심리적 갈등이나 정신병의 치료는 빨라질 수 있다. 그래서 정신과 의사는 환자가 처음 병원에 오면 심리검사를 하거나 장시간 면담을 통해서 환자의 문제가 어디서 시작되었는지를 살핀다.

날마다 고독해지는 그녀는 성격이 꼼꼼하고 부지런하지만 검소하게 살아왔다. 그래서 사치도 모르고 치장할 줄도 몰랐다. 일에 쫓겨 남들이 흔히 다녀왔다는 가족 여행도 못해 봤고 친척들과 자주 왕래가 없다 보니 관계가 소원해진 상태다.

오직 사업과 가족들만 생각하면서 10년 이상 살아온 것이 다. 그래서 사업은 궤도에 올랐고 가족들도 건강하게 잘 살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갑자기 인생이 허무해지고 마음이 텅 빈 것처럼 무의미한 고독 병이 생긴 것이다.

이런 증세는 40대 중반에 접어들면서 일시적으로 생길 수 있는 전형적인 '갱년기 우울증'에 해당 되며, '짧은 기간의 약물 치료와 정신 치료에 증세가 쉽게 호전될 수 있다'는 필자의 설명에 그녀는 치료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그 이전에 자신의 친정어머니와 함께 올 테니 설명을 잘 해서 자신이 치료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것이다.

그녀의 친정어머니도 젊어서 우울증에 걸린 일이 있었는데, 정신과 치료를 받아보니 한도 끝도 없이 약을 먹겠다 싶어 스스로 이겨냈기 때문에 딸의 우울증에 대한 정신과 치료를 반대한다는 것이다.

얼마 후 그 딸과 함께 병원에 오신 친정어머니께서는 '자신도 7년 만에 우울증을 극복해서 지금은 건강하게 살고 있기 때문에 딸이 가급적 정신과에서 약을 먹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씀하셨다.

필자는 그녀의 어머니께 요즘은 그때에 비하면 약물 치료의 효과가 좋아졌을 뿐 아니라, 또 7년간 고생하면서 사는 것 보다는 치료 후 빨리 우울증에서 벗어나는 것이 더 현명한 결정일 것 같다는 설명을 했다.

또 배고픈 사람에게 밥을 주듯이 아픈 사람에게 약을 주는 것을 너무 심각한 일로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는 말도 덧붙였다.

그녀의 우울증은 공교롭게도 친정어머니와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증세를 나타낸 갱년기 증세였다. 이처럼 우울증도 어머니와 딸의 대를 이어 나타날 수 있으나, 어머니가 7년 만에 치료되었다 해서 딸도 7년간 고통스럽게 생활하면서 우울증세가 자연히 없어지기를 기다린다는 것은 지혜롭지 못한 생각이다.

그녀의 친정어머니는 필자의 설명과 딸의 고통에 대해서 이해하고 나서야 딸의 정신과 치료를 돕기 시작했고, 그 딸은 한 달 정도의 치료 후 우울증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녀는 증세가 호전되자, 가족과 함께 롯데월드로 가족 나들이를 다녀왔으며, 가구도 모두 새 것으로 사서 집안 분위기도 바꾸어 보았다. 그런 달라진 집안 분위기를 남편과 아이들이 더 좋아하는 것을 보고 '사람답게 산다는 것이 이런 것이구나'하는 것도 느낄 수 있었다.

그녀는 지금 가까이 사는 친척들과 서로 왕래를 하며 즐겁게 산다. 가끔 우울한 기분이 들 때는 병원에 전화를 걸어 상담을 받기도 한다. 이런 경우는 사람이 산다는 것이 돈을 열심히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돈을 벌고 나서는 적당히 쓰면서 사는 것도 삶의 질을 높이면서 인생을 의미 있게 살아 갈 수 있다는 좋은 사례일 수 있다.

오세원/닥터오즈정신건강의학과 원장

오세원
오세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공기 중 이산화탄소 직접 포집 기술 2026년 스마트팜서 상용화 기대
  2. 예산 관광의 새 마루지… 예당호 착한농촌체험세상 개장
  3. [현장] 유학생에겐 외로운 명절 연휴… 전통문화로 정 나누는 대학가
  4. 충청지방우정청, 추석 앞 아동복지시설에 '추석빔' 전달
  5. 한화이글스 2025 포스트 시즌 경기 날짜는?
  1. [국군의날] #아내는 TOD 남편은 육군경비정…충남서해 수호 부부군인의 '하모니'
  2. [추석특집] 긴 한가위 연휴 '고향 사랑' 지역명소 여행은 어때요?
  3. 과학기술 출연연 성과 한 곳에… 국립중앙과학관 '출연연 통합 홍보관' 개관
  4. 볼거리·체험거리 풍성… 긴 추석연휴 충남 방문 어때?
  5. 세종 '데이터센터' 딜레마… '정부부처 이전' 역제안

헤드라인 뉴스


역대급 긴 연휴… `고향사랑` 지역명소 즐겨볼까?

역대급 긴 연휴… '고향사랑' 지역명소 즐겨볼까?

민족 대명절 추석이 다가왔다. 2025년 추석 연휴는 최장 10일로 여느 때보다 길다. 국민 10명 중 4명이 연휴 중 국내외 여행을 계획 중이다. 해외로 떠나는 인원도 적지 않지만 그동안 미처 몰랐던 지역의 숨은 명소를 찾는 것도 기억에 남는 명절을 보내는 방법이 될 것이다. 한국교통연구원이 8월 22일부터 28일까지 국민 99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 40.9%가 추석 연휴 여행을 계획했다. 이중 국내 여행은 89.5%, 해외여행은 10.5%다. '민족대이동'으로 고속도로와 국도뿐 아니라 하늘길도 붐빌 전망이다. 유독..

[10월 2일 노인의 날] 디지털 세상에 도전하는 어르신들
[10월 2일 노인의 날] 디지털 세상에 도전하는 어르신들

"남에게 의지하지 않고 혼자 힘으로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다루고 싶어요." 노인의 날을 하루 앞둔 1일, 대전 유성구 진잠도서관 디지털배움터. 낯선 프로그램 화면 앞에서 키보드를 두드리던 한 수강생의 말에는 디지털 사회에 뒤처지지 않겠다는 다짐이 담겨 있다. 키오스크와 모바일·인공지능(AI) 서비스 확산으로 고령층의 디지털 소외가 심화되는 가운데, 스스로 배우고 도전하는 어르신들의 모습은 작은 희망을 보여주고 있었다. '디지털배움터'는 누구나 쉽게 디지털 세상에 적응하고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디지털 역량 교육을 추진한다. 이곳에서는..

경찰 국정자원관리원·관련업체 4곳 압수수색…계약·고용관계 파악할듯
경찰 국정자원관리원·관련업체 4곳 압수수색…계약·고용관계 파악할듯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와 관련해 경찰이 2일 오전 9시부터 국정자원관리원과 배터리 이전사업에 참여한 민간 업체 4곳에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에 나섰다. 대전경찰청은 이날 수사인력 30명을 투입해 압수수색을 진행하며 화재 원인 규명에 필요한 증거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그동안 관계자들 진술조사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서류와 데이터 등을 확보해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또 현장에서 배터리 이전 작업을 실시한 이들의 고용과 하청 계약서를 확보해 정당한 업무가 이뤄졌던 것인지 파악하려는 것으로 관측된다. 앞서, 배터리를 옮..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한복 입고 배우는 큰절 한복 입고 배우는 큰절

  • 다 같이 외치는 ‘청렴 동구’ 다 같이 외치는 ‘청렴 동구’

  • 추석 앞 붐비는 도매시장 추석 앞 붐비는 도매시장

  • 열려라 취업문 열려라 취업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