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종시 정치권에서 경쟁 구도를 보이고 있는 민주당과 국민의힘, 조국혁신당. 사진=각 정당 이미지 갈무리. |
외형상 정당 인사 간 대립각으로 비춰지는 모습도 있고, 당내 주도권 다툼을 위한 신경전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 선출직 공직자에 대한 리더십과 자질 문제도 바라보는 기준에 따라 충돌의 단면으로 부각되고 있다. 최근 본격화하고 있는 지방선거 공천 국면의 유리한 고지를 밟기 위한 '상대 비방전' 심리도 엿보이고 있다.
이 같은 자화상은 세종시 정치 지형에서 주도권을 쥐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 우선 확인되고 있다. 2024년 총선 직후 원인 코드는 '강준현 시당위원장 vs 이강진 갑구지역위원장' 간 원팀 부재에서 나타났다. 일찌감치 '누구의 사람인가'란 잣대에 따라 차기 지선의 유불리를 따지는 목소리가 당 안팎에서 계속 흘러 나왔다.
이는 현재 진행형이다. 갑구 곳곳에선 벌써부터 총성 없는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선의'가 아닌 '비방과 네거티브'에 의한 상대 깎아내리기가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결국 이 과정은 민주당 내부 리더십 부재란 지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의회 20명 의원 중 13명의 압도적 의석수를 확보하고도 구심점이 없어 지역 현안 대응 등에 있어 결집력이 떨어진다는 비판도 하루, 이틀의 일이 아니다.
대표적 사례는 동료 남성 의원 성추행 사건에 있다. 2022년 8월 이후 3년째 1심을 넘어 항소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해당 의원 A 씨는 법원의 1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다. 이를 두고 민주당 내부 징계가 뒤따라야 한다는 여론이 조성되고 있고, 시당은 조만간 윤리위원회를 통해 이 문제를 다룰 예정이다.
이와 함께 B 의원이 C 의원의 '집행부 갑질과 언행' 등 의정활동 전반의 문제를 윤리위에 제소한 사실도 8월 둘째 주부터 지역 사회에 회자되기 시작했다. 사실관계는 다퉈볼 여지가 있으나 C 의원에 대한 부정적 색채는 시간이 갈수록 짙어지고 있다. 이 역시 A 의원 문제와 함께 심의 선상에 올라 있다. 민주당 시의원 3명이 7~9월까지 각각 3차례 해외 의정연수를 다녀오는 데 대한 내부 고발과 비판도 기저에 흐르고 있다.
![]() |
세종시의회 20명 의원 상호간 감정선을 넘어선 갈등 양상이 포착되고 있다. 이는 지역 사회 현안에 한 뜻을 모아내고 실현하는 결집력 부재로 이어지고 있다. 사진=시의회 제공. |
국민의힘은 비상 계엄과 탄핵 정국 아래 2026년 지방선거 자체를 걱정해야 하는 판에 놓여 있다. 일각에선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치러진 2018 지방선거 결과물인 '17대 1'이란 일방적 구도가 다시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보이고 있다. 남은 기간 지역 현안과 세종시 정상 건설을 놓고, 대안 세력의 모습을 보여줘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조국혁신당은 지난 4일 김갑년 시당위원장 제명 사태부터 내부 당직자 지명 철회 등의 내홍에 휩싸이고 있다. 중앙당 당직자의 성비위 문제를 시당 차원에서 대응한 부분이 괘씸죄로 작용했다는 주장 이면에 '김 위원장의 리더십' 문제를 제기하는 당내 움직임도 여전하다. 조국 전 대표의 제자리 찾기 과정에서 갈등이 수습되고, 2026년 지방선거를 도약의 계기로 삼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