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남도청 전경. |
국비 의존도가 높았던 만큼, 귀농·귀촌 유입률이 전국 1위를 이어온 도의 성과에도 큰 타격이 예상된다.
24일 도에 따르면 2024년 귀농·귀촌 인구는 총 5만 5937명으로 2023년 대비 7.5%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귀농 인구는 1093명으로 18% 감소했고 귀촌 인구는 5만 4844명으로 8.1% 증가했다.
귀촌 인구는 2021년 이후 주춤하다 2024년 4100명 가까이 증가했지만 귀농 인구는 2021년부터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다.
도는 귀농 인구 감소 이유로 실제 농업 종사보다 주거 목적의 이주가 늘고 농업 외 직업을 병행하는 도시민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귀촌 인구 증가는 30~40대 청년층의 농촌 정착이 늘어난 데 따른 영향이 크다. 청년층은 수도권 대비 저렴한 주거비와 쾌적한 환경을 이유로 농촌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로 도는 2013년부터 2024년까지 수도권 귀농·귀촌 유입률에서 12년 연속 전국 1위를 기록했지만 지난해부터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원하던 귀농·귀촌 유치지원 국비사업이 일몰되면서 유입률은 점차 떨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실제 2020년 45억 4000만 원이었던 귀농·귀촌 관련 예산은 도비 중심 운영으로 전환되면서 2025년 8억 7000만 원으로 대폭 축소됐다.
앞서 정부는 신규농업인 기초영농기술교육, 현장실습교육, 귀농 농업창업 및 주택구입지원사업 등 귀농·귀촌인구를 유치를 위한 사업을 추진해왔다.
현재 도가 마련한 지원 사업으로는 시군 귀농지원센터, 귀농귀촌인 재능기부 활성화, 재배기술통합시스템 구축 지원 등을 운영 중이다.
다만 재정적 한계로 인해 전시군이 아닌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어 지역 간 유입률 격차는 가속화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현재 아산과 천안지역이 전체 유입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천안의 경우 2023년 대비 유입 증가율이 81.9%로 도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반면 일부 시군은 유입 인구가 지속 감소했다.
일각에선 귀농·귀촌 정책이 단순 인구 유입보다 정착과 자립 중심으로 전환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청년층과 가족 단위 유입 확대, 농업 외 일자리 연계, 정주 환경 개선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도 관계자는 "귀농·귀촌 관련 지원을 도비로 충당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국비가 워낙 컸다 보니 한계가 있다"며 "앞으로 더 감소하면 위기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에 도에서 할 수 있는 지원을 다변화해 폭넓게 홍보해 귀농·귀촌인 유입을 이끌 계획"이라고 말했다.
내포=오현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