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월 말 폐원 직전 금강수목원 입구 전경. 사진=이희택 기자. |
김현옥(새롬동) 시의원은 25일 오전 보람동 본청에서 열린 제100회 시의회 임시회 본회의를 통해 채택한 결의안을 대표 발의했다.
6월 말 대책 없는 폐원 후 32년간 소중히 가꿔온 산림 자원이 사장될 위기에 내몰리면서다. 소유권을 가진 충남도는 청양으로 이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인허가권을 보유한 세종시는 이렇다 할 대책 없이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의원 전원은 "충남산림자원연구소 부지를 국가가 직접 소유·관리하고, 생태·교육·복지 등 공적 가치에 기반한 활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가 국유화 조치와 정책적 대응에 즉각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중부권 최대 규모의 복합 산림생태 공간으로서 가치는 상상 이사이다. 수목원과 자연휴양림, 산림박물관, 열대온실, 동물원, 잔디광장, 산책로, 맨발 걷기장 등의 산림 편익 인프라도 풍부하다. 충청권을 넘어 전국적인 대표 생태·교육·휴식 공간으로 활용됐던 것도 사실이다.
세종시와 충남도가 시민사회와 정치권 요구를 들어 민간 매각 추진 방향을 국유화로 선회한 만큼, 이제는 중앙정부가 응답해야 할 시점으로 봤다. 이미 해당 건의안은 이달 중 국정기획위원회에 제출된 상태다.
세종시가 국립 자연휴양림이 없는 유일한 광역자치단체란도 뼈아픈 대목으로 봤다. 앞으로 세종시가 행정수도 완성과 함께 여가·교육·국제교류 수요 증가를 맞이해야 하는 만큼, 반드시 공공자산으로 보존하고 체계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담았다.
![]() |
김현옥 의원이 이날 금강수목원의 국유화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대표 발의하고 있다. 사진=시의회 영상 갈무리. |
그러면서 의원 전원 명의로 ▲국유화 즉각 추진 ▲산림청 : 해당 부지를 생태교육과 산림문화, 시민휴양 기능이 결합된 국가 산림 복합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계획 수립 ▲행복청 : 해당 부지를 세종시 예정지역에 포함시켜 국가 차원의 통합적 활용 방안 마련 등의 방법론도 제시했다.
이번 결의안은 대통령실과 의장실, 민주당 및 국민의힘, 조국혁신당 대표실, 국무총리실을 넘어 기획재정부·환경부장관실, 산림청장실·행복청장실, 국회사무처장실에 전달될 예정이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