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년 아름동 주민총회 모습. 사진=세종시 제공. |
2018년 초선으로 아름동 지역구에 데뷔한 뒤, 2022년 4대 의회 전반기 의장으로 승승장구하다 같은 해 8월 동료 남성 의원 성추행 및 무고 의혹으로 재판에 넘겨지며 현재를 맞이하게 됐다.
지난 8월 24일 대전지방법원을 통해 징역 1년 6개월 선고(강제 추행과 무고 혐의)를 받은 데 이어, 지난 4일 시의회 윤리특별위원회(위원장 국민의힘 김충식 의원, 민주당 이현정 의원)의 '제명 의결'에 직격탄을 맞았다.
상 의원은 5일 민주당 시당 윤리심판원(원장 조재희)의 처분 결정 하루 전날인 4일 민주당을 탈당했고, 8일 오전 시의회 제100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윤리특위 제명 의결안' 심의 전 자진 사퇴로 신분을 정리했다. 제명 대신 사직 허가를 놓고 표결을 진행, 전체 19명 의원 찬성 16명, 반대 2명, 기권 1명으로 가결됐다.
상병헌 의원은 앞서 여성단체들의 잇따른 성명에는 반박문을 내걸며 맞섰으나, 이날 본회의 신상 발언을 통해 "1심 판결 등의 재판 절차가 진행 중인 만큼, 신중한 판단과 결정이 필요하다. 지지와 성원을 보내주신 아름동 주민들과 시민들에게 죄송하고 감사하다"란 말로 심경을 대신했다.
상 의원이 2026년 6월 3일 지방선거를 약 9개월 앞두고 직에서 물러나면서, 아름동 지역구 현안 해결에 공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보궐 선거 없이 아름동 주민센터와 주민자치협의회 등 자치기구가 스스로 예산 집행 등의 움직임을 가져가야 하기 때문이다.
민주당 시당은 조만간 내부 논의를 거쳐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것으로 전해졌다. 당헌·당규상 이 같은 상황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는 게 아킬레스건으로 다가온다. 예컨대 인근의 종촌동(임채성 시의회 의장)이나 고운동(이현정·김재형 의원) 시의원들이 일부 업무와 권한을 대신 행사하는 복안을 뜻한다.
상 의원은 앞으로 법원의 2심 판결에 대응하면서, 향후 거취를 찾아갈 것으로 보인다. 차기 선거에서 아름동 후보군은 현재 2~3명이 거론되고 있다.
이와 관련, 세종시 9개 단체로 구성된 성폭력근절비상대책위원회는 앞선 4일 성명을 통해 "다소 늦은 감이 있는 결정이지만, 동료 의원 제명에 따른 인정과 부담을 떨치고 정의로운 결단을 내려준 시의회 윤리특위에 의원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다시는 위력과 그릇된 성인지 감수성으로 인한 폭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윤리기준 강화와 성폭력 근절 방안 마련을 촉구한다"라고 밝혔다.
다만 이날 제명이 아닌 사직 허가 방식으로 결론난 데 대해선 유감을 표명했다. 비대위 관계자는 "이번 결정이 유사한 문제 발생 시 좋지 않은 선례가 될 것"이라며 "어떤 측면에선 문제 행위에 대한 면죄부를 부여한 모습이다. 시의회가 재의결에 나서야 한다"라고 비판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