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교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9개 거점국립대 총장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교육부 제공 |
최교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30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강원대, 경상국립대, 경북대, 부산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충남대, 충북대 등 9개 거점국립대 총장과 간담회를 열고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방향(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이재명 정부가 9월 16일 국무회의에서 확정한 6대 국정과제 가운데 '모두가 잘 사는 균형성장' 목표와 연계된 조치다.
정부는 수도권 집중으로 심화된 지역 격차와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이른바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을 추진 중이다. 지방 거점국립대 학생 1인당 교육비는 2024년 기준 평균 2520만 원으로 서울대(6300만 원)의 40% 수준에 그쳐 교육 여건 격차가 크다는 점이 배경으로 제시됐다.
교육부는 거점국립대를 국가 인재 양성의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학부 교육 혁신을 지원한다. 모든 거점국립대에 AI 기본교육을 포함한 기초역량 강화 프로그램, 해외 대학 연계 글로벌 교육 프로그램, 기업 현장 밀착형 교육과정을 도입해 학생 성장을 지원한다.
또 정부의 '5극 3특 초광역권 성장 전략'에 맞춰 거점국립대가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한 연구 중심 대학으로 발전하도록 단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학부-대학원-연구소를 패키지로 묶어 지원하고 기업·출연연·과기원·지역대학과 협력해 응용·융합 연구와 핵심 인재 양성에 집중한다.
우수 교원 확보도 강화된다. 거점국립대가 연구비·연구장비 지원과 함께 정주 여건을 보장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교원 인건비와 채용, 정년 관련 규제 특례도 검토한다. 산업계 전문가의 대학 겸직 활성화와 최고수준 교수의 안정적 연구 환경 조성도 병행한다.
아울러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체계를 활용해 거점국립대의 교육과정, 교원, 장비를 지역대와 공유하는 협력 모델을 확대한다. 이를 통해 지역 중소대학은 수요 맞춤형 학과 개편과 특성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교육부는 이번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부처·지자체·산업계 의견을 수렴해 12월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방안'을 발표한다. 내년부터는 전담 조직(TF)을 구성해 거점국립대와 상시 협력체계를 운영하고, 국가교육위원회와 협력해 지역대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고등교육 발전 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다.
최교진 부총리는 "거점국립대가 지역 성장의 중심으로 혁신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해 적극 지원하겠다"며 "거점국립대도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책임감을 갖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해 달라"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