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방안' 마련을 위한 의견수렴 자료. /교육부 제공 |
교육 분야는 권역별 전략산업 맞춤형 인재양성, 첨단기술·실무인재 투트랙 체계 구축, 지역 정주를 위한 교육-취·창업 선순환 생태계 마련 등 세 갈래로 추진된다.
우선 권역별 거점국립대를 중심으로 특성화 분야 학부·대학원·연구소를 묶은 '패키지 육성'이 추진된다. 정부는 2026년 3개 대학을 선정해 시범 운영한 뒤 2027년 이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동시에 초광역 RISE위원회 구성, 독립법인 RISE센터 설립 등을 통해 지역교육 체계 개편을 추진한다. 대학혁신지원(850억 원)과 전문대학 혁신지원(340억 원, 2026년 기준) 같은 재정 지원도 강화된다.
국립대 주요 보직의 외부 인재 임용과 교원 정원·채용 절차 등 규제 특례도 병행한다. 권역별 대학혁신 플랫폼 구축과 관련해 정부는 2026년 예산 기준 2조 1000억 원을 제시하고 '지역혁신 허브화 인센티브' 등 약 2000억 원 증액을 포함하는 개편안을 마련한다.
실무형 인재는 '협약형 특성화고'를 통해 길러진다. 고교와 중소기업이 함께 학생을 선발하고 교육과정을 짜 졸업 후 채용까지 이어가는 방식으로, 2030년까지 50곳을 지정해 학교당 5년간 45억 원을 지원한다. 직업계고-전문대-대학을 잇는 학제 연계도 강화해 '3+1 전문학사', '2+3 마이스터 학사' 같은 새로운 학위 모델이 도입된다.
아울러 지역 인재가 머물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위해 초·중등 교육부터 대학, 산업, 창업까지 이어지는 정주 생태계 조성도 병행된다. 농어촌학교 교육 프로그램을 다변화하고 자율형 공립고 2.0을 확산하는 한편 대학 내 학교기업 강화, 대학창업펀드 지원 등을 통해 청년층의 취·창업 기회를 넓힌다는 구상이다.
![]() |
'(가)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방안' 마련을 위한 의견수렴 자료. /교육부 제공 |
한편, 김경수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장은 30일 세종에서 첫 본회의를 열고 3대 분야 11개 전략과제, 144개 세부과제로 구성된 '5극3특 국가균형성장 전략' 설계도를 발표했다. 5극3특은 수도권·동남권·대경권·중부권·호남권 등 5개 초광역권과 제주·강원·전북 등 3개 특별자치도를 의미한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