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의사회는 성명서를 통해 "다양한 제네릭이 무분별하게 교체될 경우 환자는 매번 다른 약을 복용하게 되고, 부작용 위험과 치료 실패 가능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라며 "소아, 노인, 만성질환자, 다약제 복용 환자에게는 치명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특히, 제도를 입법해 시행할 때 약제비 절감 효과는 없고 국민 의료비 부담을 줄이려면 원내조제 활성화, 해외 저가 제네릭 도입 등 훨씬 효과적인 대안이라고 밝혔다.
대전시의사회는 의사의 전문적 판단과 처방권이 침해되고 의약분업의 기본 원칙은 '의사는 처방, 약사는 조제'라는 원칙에 위반한다고 밝혔다.
대전시의사회는 성명을 통해 "상품명 처방은 환자가 어느 약국을 가더라도 동일한 치료제를 보장하지만, 성분명 처방은 약국마다 다른 약을 받을 수 있어 의사의 임상적 판단을 무력화시키고 의약분업의 근간을 흔들게 된다"라며 "수급 불안정 문제 해결과는 무관해 이미 현행법상 대체조제가 가능하고, 근본적인 의약품 공급 안정화 정책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대전시의사회는 ▲국회는 성분명 처방 의무화 법안을 즉각 철회하라 ▲정부는 의약품 수급 안정화와 국민 건강 보호에 집중하라 ▲의료 전문가와 충분히 협의하여 합리적이고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하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