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항에코빌리지 통합형 조감도 이미지. |
포항시는 8월 6일부터 10월 31일까지 3개월간 생활폐기물 처리시실인 '포항에코빌리지' 조성을 위한 입지 공모에 들어갔다.
하지만 공모 마감을 12일 앞둔 19일 현재까지 유치 신청서를 접수한 지역은 한 곳도 없다.
시는 이달 중으로 공모 기간을 12월 19일까지 연장하는 입지선정 계획 결정(변경)을 공고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유치를 희망하는 지역이 있어 공모기간을 연장하기로 했다"고 밝혔으나 그런 지역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이 알려지면서 지역 일각에서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에 에코빌리지를 조성하려는 움직임이 일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포항중앙상가에서 대형 식당·술집을 운영하는 김 모씨(전 포스코범시민대책위원회 소속)는 "포항블루벨리 국가산업단지에 에코빌리지를 조성하면 될 것이다. 보수 시민단체와 지역 언론의 관심이 필요하다"면서 추진 의욕을 보였다.
한 시민은 "포항쓰레기매립장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지역 토호세력이 있다"며 "그들은 블루밸리 국가산단에 에코빌리지를 조성한다면 두발을 뻗고 잠을 잘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시민들은 "미래 포항 발전을 위해 수천억 원을 들여 어렵게 조성한 블루밸리 국가산단에 쓰레기매립장과 소각시설, 음식물처리장을 조성하겠다면 '소가 웃을 일'"이라며 반발했다.
한 시의원은 "블루벨리 국가산단에 에코빌리지를 조성하려면 용도변경을 해야 한다"며 "그 일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포항에코빌리지는 현재 사용 중인 호동2매립장과 생활폐기물에너지화시설의 사용 종료(2034년 12월) 이후를 대비해 포항 전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을 안정적이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추진되는 대형 인프라 사업이다.
해당 부지에는 대표적인 주민 기피시설인 소각시설, 매립시설, 음식물자원화시설과 대형폐기물 처리시설, 재활용 선별시설, 침출수 처리시설 등 6개 처리시설이 들어선다.
또 시민 복지를 위한 체육시설, 공연장, 도서관, 공원, 휴게시설 등 주민편익시설도 함께 조성된다.
시민들은 "2005년 호동1매립장 사용종료에 이어 2006년 1월 호동2매립장이 개시됐다"며 "이 매립장에 '영일군쓰레기매립장'에 묻혀 있던 엄청난 양의 모든 쓰레기를 반입해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그 뒤 430여억원을 투입해 그 매립장(호동2매립장) 순환이용정비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말 많고 탈 많았던 생활폐기물에너지화시설(SRF)도 건립했다"고 전했다. 이어 "당시 영일군으로부터 헐값에 '영일군쓰레기매립장'은 구입했던 업체는 수백억 원의 시세차익을 남기고 아파트 업자에게 부지를 팔았다"고 했다.
여론주도층 인사들은 "혐오시설인 포항화장장을 이전하는데 30년 이상이 걸렸다"며 "혐오시설로 불리는 쓰레기매립장+소각장+음식물처리장을 한 곳으로 이전하려면 이에 상응하는 충분한 인센티브가 유치 지역에 제공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시 관계자는 "에코빌리지 사업기간은 2025년부터 2034년"이라며 "사업 차질이 빚어지면 쓰레기 대란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포항=김규동 기자 korea80808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