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가 5일 대전시청에서 국민의힘 장동혁 당대표, 송언석 원내대표, 김도읍 정책위의장, 박형수 예결위 간사 등 당 지도부와 이은권 대전시당위원장을 비롯한 4개 시.도당 위원장, 이장우 대전시장, 최민호 세종시장, 김영환 충북도지사와 전형식 충남도 정무부지사가 대신 자리한 가운데 진행됐다. 사진제공은 대전시 |
이 시장은 5일 대전시청에서 가진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에 참석해 "영호남 중심의 정치 구도 속에서 충청 출신 장동혁 당대표의 선출은 상당히 큰 의미"라며 이같이 말했다.
본격적인 예산 국회에 돌입한 가운데 국비 확보전에서 영호남과 비교해 대전시 등 충청권이 홀대를 받는 일이 있어선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이재명 정부 첫 예산을 둘러싼 각 시도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장 대표가 충청 현안 예산을 잘 챙겨야 한다는 역할론에도 힘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이날 예산정책협의회는 국힘 장 당대표, 송언석 원내대표, 김도읍 정책위의장, 박형수 예결위 간사 등 당 지도부와 이은권 대전시당위원장을 비롯한 4개 시·도당 위원장이 참석했으며, 이장우 대전시장, 최민호 세종시장, 김영환 충북도지사와 전형식 충남도 정무부지사가 대신 자리했다.
예산정책협의회는 지역의 당면 현안 과제를 공유하고, 국회 예산심사를 앞두고 시·도별 국비 확보 방안에 대해 당 지도부와 긴밀한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해 마련됐다.
2026년도 국가예산은 11월 초 국회 상임위원회 및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사를 시작으로 11월 말까지 감액 및 증액 심사 단계를 거쳐 12월 2일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지자체 입장에서는 내년 국가예산 추가 확보를 위한 마지막 시간이다. 대전시는 국회예산심사를 앞두고 미반영된 사업반영과 반영된 예산의 증액을 위해 정부부처를 적극 설득하고 있다. 특히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절실한 게 '정치력'이다. 여야를 막론하고 지역이 초당적으로 협력해 예산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 시장은 지역 현안 및 국비 확보의 당위성과 필요성을 적극 역설했다. 특히 이 시장은 "여러 현안이 있지만 대전의 경우 대전교도소 이전과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이 최우선으로 배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소비쿠폰 중앙정부 예산 지원과,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이 국가의 책임 영역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사업비 반영을 강조했고, K-콘텐츠 성장에 발맞춰 추진 중인 웹툰 IP 첨단 클러스터 조성사업 등 주요 국비사업이 반드시 반영될 수 있도록 당 지도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청했다. 대전·충남 행정통합도 중요 현안이다.
장 대표는 "충청권은 대한민국의 허리이자 중심이다. 과학, 행정, 산업, 바이오 교통의 중심"이라면서 "대전의 나노반도체 국가산단이 차질없이 조성되고 충청권이 경제과학수도로 도약할 수 있도록 당이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이상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