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장우 대전시장이 19일 우송대학교 우송예술회관에서 대전역세권 개발계획에 대한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사진=심효준 기자) |
대전시는 19일 우송예술회관에서 대전역세권 개발계획 사업설명회를 열고 사업 추진 현황과 향후 계획을 공유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대전역세권개발PFV, 시의원·구의원, 한국철도공사 등 관계기관, 지역 건설업계, 상인연합회, 주민 등이 참석했다.
대전역세권 개발계획은 동구 정동·소제동 일원 92만 3639㎡ 규모의 낙후된 역세권을 주거·업무·상업·숙박이 결합된 복합도시로 조성하는 사업이다. 핵심 사업은 복합2구역 개발, 충청메가스퀘어 조성, 민간 재개발 사업 등이며 대전에서 가장 높은 최고 72층의 건축물이 들어서게 된다.
내년 2월 27일 착공, 2031년 준공 및 입주계획이 예정된 복합2구역 재개발사업은 동구 정동과 소제동 일대 재정비촉진지구 92만㎡ 중 대전역에 인접한 복합 2-1구역 상업복합용지 약 3만㎡를 복합 개발하는 사업으로, 1184세대의 공동주택과 숙박·업무·판매·근린생활·문화·집회시설 등 다양한 상업 복합시설 조성이 계획됐다.
내년 초 민간사업자 유치 협의와 2028년 공사추진 및 분양이 계획된 메가 충청 스퀘어 사업은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컨벤션·상업·주거·호텔 등 고밀 복합시설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대전역세권은 연축지구와 함께 대전 혁신도시로 지정된 곳으로, 추후 공공기관 2차 이전과도 연계될 예정이다.
시는 대전역세권 개발계획을 기점으로 원도심 일대의 재생과 도약을 본격적으로 도모하겠다는 계획이다. 향후 사업 진행 과정에서 시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인근 재개발사업 및 지역 상권과의 상생 방안 등을 마련해 공공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일 방침이다.
지역 부동산 업계는 복합2구역 재개발사업에 들어설 공동주택의 민간분양 성공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높아진 분양가와 침체한 지방 부동산 시장속에도 서구와 유성구 등 신도심은 조금씩 활기를 찾고 있는 반면, 동구·중구·대덕구 등 원도심 일대에서는 최근까지 무더기 미달 사태가 발생하며 부동산 시장 양극화에 대한 우려를 키웠기 때문이다.
복합2구역 공동주택 민간분양이 흥행한다면 인근 핵심 재개발 사업인 삼성4구역, 중앙1구역, 은행1구역 재개발 사업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시와 한화건설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 사업의 성공에 사활을 걸겠다는 방침이다. 해당 사업의 흥행을 좌우할 공동주택의 분양가도 추후 눈여겨볼 대목이다.
김우석 한화 건설부문 대표는 "대한민국 교통의 중심지이자 대전 발전의 핵심이었던 상징적인 곳이다"라며 "이 사업을 통해 복합2-1구역은 단순한 주거공간을 넘어 미래형 도시 공간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사업 추진을 위해 힘써주신 모든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라며 "20년간 숙원사업이었던 대전역세권 개발계획이 대전 5개 구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사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앞장서겠다"라고 다짐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심효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