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산시의회 의원연구단체 '뿌리산업 진흥을 위한 연구모임'./부산시의회 제공 |
부산시의회 의원연구단체 '뿌리산업 진흥을 위한 연구모임'은 18일, '부산 뿌리산업 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메이커스 밸리 구축방안 연구' 최종보고회를 개최하고 미래 대응 전략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조상진 의원은 "뿌리산업은 부산 제조업 경쟁력의 뿌리지만, 정책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다"고 우려했다. 이어 "산업 현장의 목소리와 고충을 반영한 정책 없이는 산업 기반의 붕괴가 가속화될 것"이라며 "부산형 메이커스 밸리는 형식적 거점이 아니라, 기업이 실제 활용 가능한 실전형 플랫폼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보고회 발표자로 나선 노상태 부산경남금형공업협동조합 상무이사는 디지털 전환(DX) 기반의 메이커스 밸리 모델 핵심 정책을 제언했다.
노 상무는 "이제는 숙련자의 직관이 아닌, 데이터 기반 제조 시스템으로 구조를 바꿔야 한다"며 "DX 기술을 갖춘 설비와 전문 인력이 결합돼야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 격차를 해소하고 투자 여력을 극복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보고회에서는 뿌리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이 다양하게 제시됐다. 첫째, 고정밀 가공·측정 장비의 최우선 구축과 함께, 전문 운영 인력을 상시 배치해 장비 단순 임대가 아닌 기술지원형 서비스 체계로 운영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둘째, 디지털 성숙도 진단을 바탕으로 단계별 맞춤형 DX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특성화고 및 전문대 연계를 통한 인력 파이프라인 확대가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셋째, 신기술 실증 테스트베드 운영, 글로벌 진출을 위한 공동관 구성 등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노 상무는 "이제는 단순 장비 지원이 아니라, 데이터를 중심으로 설·가공·측정이 연결되는 실질적 제조혁신 거점이 필요하다"며 "부산의 메이커스 밸리는 기술 기반 생태계가 조성되는 '산업 전환 플랫폼'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조 의원은 끝으로 "지역 산업이 무너지는 것을 더 이상은 두고 볼 수 없는 상황이며, 뿌리산업 경쟁력 회복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앞으로 현장 중심, 실효성 중심의 정책이 도입돼야 한다"고 밝혔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성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