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일 기자회견에 나선 김종민 국회의원. 사진=중도일보 DB. |
총선 당시 민주당 후보의 중도 하차에 따라 세종시민 마음을 얻어 당선이란 반전 시나라오를 써내려 갔으나 같은 해 9월 무소속 신분은 여전한 걸림돌로 인식되고 있다.
이후 1년 2개월이 지났지만 '복당' 소식이 들려오지 않으면서, 김 의원 본인을 떠나 지역 사회의 복당 요구는 끊이지 않고 있다. 여당 소속 의원으로서 힘을 받아도 모자랄 판에 외딴섬(무소속)으로 있을 경우, 가뜩이나 막힌 세종시 현안을 풀어가기 어렵다는 현실론에서다.
하지만 민주당 세종시당 내부의 또 다른 인사들은 복당 불가론을 견지하고 있어 임기 내 복당이 불가능한 것 아니냐는 회의론도 커지고 있다.
관건은 이 같은 조건 아래 김 의원이 '100만 세종'을 기치로 내건 공약들이 제대로 실현될 수 있느냐로 모아진다.
그는 20일 보람동 시청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일단 행정수도 4법 등의 주요 법안은 세종시의 이해관계만을 다루지 않는다. 제 신분(무소속)과 관계 없이 대한민국 전체를 위한 길"이라며 "어느 한 정당의 추진으로 되는 일도 아니고 국민적 공감대를 필요로 한다. 제가 여·야를 견인할 수 있는 측면에선 의미가 더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끝까지 무소속으로 남을 의사는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김 의원은 "어느 한 정당에 소속이 돼서 그 정당의 에너지를 모으는 것도 효과적이고 좋다. 그럼에도 (제가 오늘 말씀 드린 내용들은) 합리적 추진에 큰 문제가 없다고 본다"라며 "제가 현장에서 유권자들에게 가장 많이 듣는 말도 복당이다. 민주당 지지지나 당원들 중 저에게 투표한 분들도 많다. 아직 복당을 신청하거나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혀본 적은 없으나 어떤 식으로든 응답을 해야 할 때"라고 인정했다.
복당의 판단 시기는 12월 정기국회를 지나 2026년 6월 지방선거 전까지로 봤다. 가장 중요한 판단 근거는 '세종시 발전에 도움이 되는가', '민주당의 지방선거 승리에 보탬을 줄 수 있나' 등에서 찾았다.
김종민 의원은 "복당이 된 이후 어떻게 움직일 것인지는 그때 가서 판단해보겠다. 당장 행정수도특별법의 여·야 합의를 이끌어 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며 "앞서 법안을 발의한 조국혁신당이나 민주당을 넘어 국힘 장동혁 대표나 송원석 원내대표 등도 반론은 특별히 없을 것으로 안다. 모두 약속한 사항들을 안 지키면, 다음 선거가 어렵다는데 공감할 것"이라며 행정수도 완성에 긍정적 입장도 내보였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이희택 기자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1m/20d/선거이미지1.jp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