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면주민들에 따르면 N캠핑장은 지난 2년간 무허가로 운영하면서 과도한 지하수 사용으로 식수 고갈은 물론 정화시설 없이 오물을 방류하는 등 비상식적인 영업행위를 일삼고 있다며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2014년 개장한 N캠핑장은 모두 3개 구역(동)에 21개의 텐트를 칠 수 있을 정도의 규모로 화장실과, 샤워장, 설거지를 할 수 있는 개수대 시설을 완비하고 있으며 1박에 3만원씩 시설이용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캠프장은 주민들이 식수와 농업용수 등으로 사용하는 지하수를 끌어다 쓰다 보니 지하수가 빠른 속도로 고갈됐고 주민들은 농업용수는 물론 식수까지 부족한 지경에 이르게 됐다고 설명하고 있다.
사정이 이렇자 주민들은 올해 초부터 맑은물사업소로부터 페트병에 담긴 식수를 공급받는 등 극심한 불편을 겪고 있다.
뿐만 아니라 주민들은 이 업체에서 나온 각종 오물이 정화조를 거치지 않는 채 그대로 방류돼 심각한 환경오염까지 초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는 이 업체에 대해 지난달 한 차례가량 현장 점검을 나가 영업정지 처분만 내렸을 뿐 이후 영업재개 여부 등에 대한 추가 조사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N캠프장 이외에도 천안지역 내 캠핑장은 모두 9곳으로 이 중 4곳이 허가를 받지 않고 운영 중이다. 이들 무허가 캠핑장은 각종 환경문제는 물론 녹지 불법점유, 캠핑객들의 고성방가 등으로 주민들이 고통을 토로하고 있지만 시는 인력 부족의 이유로 적극적으로 나서 영업장 폐쇄 등의 조치를 내리지 못하고 있다.
이들 무허가 업체는 또 화재 발생 등 각종 안전사고에도 취약하다는 지적이다.
현행법상 캠핑장은 화재에 대비해 소방로 및 소화전, 소화기 등을 의무적으로 확보해야 하지만 미허가 업체는 재정난을 이유로 이러한 안전시설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소방서 관계자는 “소방서는 캠핑장의 화재 예방을 위해 허가업체나 미허가업체를 구별하지 않고 예방활동을 펼치고 있다”며 “실제 현장을 나가보면 미허가 업체들이 각종 안전사고에 취약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미허가 업체들에 대한 폐쇄가 능사는 아니다”며 “시는 이들 업체가 합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유도한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천안=김경동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