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교육청 제공 |
6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2024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피해 응답률은 2.1%로, 2023년 1.0%에 비해 무려 2배 늘었다. 2019년 0.8%에 그친 것과 비교하면 6년간 1.3%나 늘어난 수치다. 연도별 피해 응답률은 2020년(코로나)을 제외하곤 2021년 0.9%, 2022년 1.1%, 2023년 1.0%다. 그간 대전의 피해 응답률은 전국 응답률을 밑돌았지만 이번 조사 때는 전국(2.1%) 수치를 따라잡았다.
대전교육청이 1일 처음 공개한 2차 표본조사 결과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 재학생 중 4%인 4323명이 참여했으며, 1차 전수조사와 달리 무작위로 선정된 27개 학교에서 일부 학급 학생만 조사됐다.
피해유형을 살펴보면 언어폭력이 44.1%로 가장 많았다. 신체폭력이 11.2%로 뒤를 이었으며 성폭력 9.5%, 집단따돌림 9.1%, 사이버폭력 8.0% 순이다. 언어 폭력은 초·중·고 모든 학교급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고등학교는 성폭력(23.1%) 비율이 유일하게 두자릿수를 기록했다.
![]() |
/대전교육청 제공 |
대전교육청이 지난해 9월 발표한 2024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에서도 피해 응답률은 1.5%로 2022년 1.2%, 2023년 1.4%로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대전교육청은 앞서 2월 학교폭력 없는 안전한 학교문화 조성을 위해 2025학년도 현장 중심 학교폭력 예방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종합대책은 학교폭력 예방교육 내실화, 학교폭력 사안처리 공정성·관리 감독 강화, 피해학생 보호와 치유·가해학생 선도 강화, 지역사회연계 학교폭력 예방 인프라 확충 등이 핵심 내용이다.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면 지난해엔 학교폭력 사안 조사시 모두 조사관이 배정됐지만 올해부턴 학교 자체 조사가 가능해졌다. 또 그간 학교에서 조사관이 범죄경력을 조회했지만 교육(지원청)청에서 조회가 가능하도록 변경됐다. 학교에서 구성원간 책임을 담는 서약을 맺고 실천하는 '학교문화 책임규약 체결·실천'도 학교 자율 결정에서 2~5월 필수로 실시된다. 더불어 교과·창의적 체험활동 연계 학교폭력 예방교육이 권고 조치에서 학급별 연간 11시간 이상으로 의무화 됐다.
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