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대학가는 반수생 는다

  • 사회/교육
  • 교육/시험

다시 대학가는 반수생 는다

  • 승인 2016-09-01 15:52
  • 신문게재 2016-09-01 7면
  • 오희룡 기자오희룡 기자
2017학년도 수능 모의평가 졸업생 응시자 14%

지난해 수능졸업자 중 졸업생 비중 20%넘어

학령인구 감소로 수능응시자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대학에 진학한 후 다시 수능에 응시하는 반수생은 늘고 있다.

이에 따라 고교에서 적성 교육과 진로 교육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일 종로학원하늘교육이 분석한 ‘2017 수능 9월 모의 평가 지원자 특징’에 따르면 총 60만 7389명이 지원해 지난해 9월 모의평가 지원자 62만4088명에 비해 1만6699명이 감소했다.

고3 재학생은 52만1614명(85.88%)으로 전년도 53만9932명(86.52%)보다 1만8318명이 감소한 반면 졸업생은 8만5775명(14.12%)으로 전년도 8만4156명(13.48%)에 비해 1619명(0.64%p)이 증가했다.

학령 인구 감소로 고3 재학생은 감소한 반면 재수생은 증가한 것이다.

더욱이 지난 6월 모의 수능에서 졸업생 응시자는 7만6242명이었으나 3개월만에 9538명의 응시자가 더 늘면서 반수생도 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실제로 최근 3년간 수능 지원자 중 반수생의 비율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최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의원(경기오산)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수능 지원자 가운데 졸업생은 2014학년도 19.61%에서 2016학년도 21.56%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로 재학생 지원자는 2014학년도 50만9081명에서 2016학년도 수능에서는 48만2054명으로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안 의원은 이 같은 자료를 바탕으로“2014년 153개 대학 신입생 29만4천855명 중 17.2%인 5만779명이 입학한 해 휴학이나 자퇴를 했다”며 “이들 대부분은 반수생일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렇게 반수생이 증가하는 것은 전공에 회의를 느끼거나 현재 재학중인 대학보다 더 나은 대학으로의 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이 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ㆍ고교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을 제대로 찾을수 있는 진로교육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는 이유다.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평가이사는 “학생부 비중이 높은 수시전형 비율이 높아지고 영어절대평가 시행에 따른 수능 영향력의 약화 등으로 내년까지 재수생 증가 추이가 계속될지는 미지수”라고 밝혔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울공항 인근 도심 상공 전투기 곡예비행... 안전불감증 도마
  2.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3.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4. AI 시대 모두가 행복한 대전교육 위해선? 맹수석 교수 이끄는 미래교육혁신포럼 성료
  5. [기고] 전화로 모텔 투숙을 강요하면 100% 보이스피싱!
  1. 충남도 "해양생태공원·수소도시로 태안 발전 견인"
  2.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논산여자상업고 글로벌 인재 육성 비결… '학과 특성화·맞춤형 실무교육'
  3. 충남교육청 "장애학생 취업 지원 강화"… 취업지원관 대상 연수
  4.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 조직위, 준비상황보고회 개최
  5. "도민 안전·AI 경쟁력 높인다"… 충남도, 조직개편 추진

헤드라인 뉴스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대전의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납세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세무서가 3곳에 불과해 세무서 신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대전 유성구갑)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전시의 2024년도 주요 세목별 신고인원은 2019년 대비 부가가치세 17.9%, 종합소득세 51.9%, 법인세는 33.9% 증가했다. 또 대전의 2023년도 지역내총생산(GRDP)은 54조원으로, 전년 대비 3.6% 성장해 전국 17대 시·도 중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납세 인원 역시 2019..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