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공약탐구] 고암 이응노의 브랜드화

  • 문화
  • 문화 일반

[충청공약탐구] 고암 이응노의 브랜드화

  • 승인 2017-04-05 17:01
  • 신문게재 2017-04-06 1면
  • 박수영 기자박수영 기자
지역 대표하는 문화계 인물 브랜드화 공약화 작업 필요 여론 고개

각 도시들의 문화 콘텐츠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대전이 문화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이번 5월 대선에서 대전을 대표하는 문화계 인물의 브랜드화와 이를 보장할수 있는 공약화 작업이 필요하다는 여론이다.

대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문화계로는 지난 2007년 이응노미술관 개관과 함께 화려하게 부활한 고(故) 이응노 화백을 꼽을수 있다.

국내보다 해외에서 이름이 알려졌던 근대회화의 거장인 고 이응노 화백은 박정희 정권 당시인 지난 1967년 동베를린공작단사건(동백림 사건)의 2년여간 대전 교도소 수감생활이 인연이 돼 지난 자신의 이름을 딴 미술관 개관에 이르렀다.

이후 2012년에는 고암미술문화재단으로 재탄생됐다.

세종시는 한국 근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장욱진 화백을 지역 대표 인적문화자산으로 육성하기 위해 생가복원 등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제주도 역시 자신이 아닌 타인을 위한 삶을 살았던 조선시대 대표적인 기부천사이자 여성 CEO였던 의녀 김만덕을 대표 문화로 육성하기 위해 창작뮤지컬을 계획하는 등 문화마케팅에 한창이다.

제2차 세계대전후 폐허가 됐던 핀란드의 시골마을인 로바니에미는 ‘산타 마을’이라는 컨텐츠 하나로 해마다 평균 50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하며 연간 5조 원(약 46억 달러)의 수입을 벌어들이고 있다.

이처럼 국외를 비롯해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은 저마다 도시를 상징하는 대표 인물을 찾기 위해 혈안이다.

대전도 지역과 연관한 스토리텔링을 통해 인물을 어떻게 재탄생시키느냐가 관건이다.

지역에서는 고암이 겪은 삶의 질곡과 감동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한다면 도시의 브랜드로 자리잡기에 충분하다는 목소리다.

이미 이응노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소장품들을 활용하고 고암의 생애와 업적을 스토리텔링하는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차별화할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어 브랜드화한다면, 대전만의 문화자산으로 만들수 있다는 것이다.

또 이를 이번 대선에서 대선주자들과 함께 충청권의 대표 문화 브랜드로 함께 고민하고 대표지역 문화 공약으로 함께 키워내 충청의 대표 문화 브랜드로 키워내는 것이 지역의 숙제다.

이지호 고암미술문화재단 대표는 “이응노는 이미 충청권에서는 홍성 예산 대전 등 충청 작가를 넘어서 국제적인 작가로 반열에 올랐다”며 “대전의 문화 인프라 가운데 중앙과 국제적인 지명도를 가질 수 있는 화가다. 좀 더 나아가 대전이라는 도시를 국제도시로 나아가는데 동반효과를 올릴 수 있는 문화콘텐츠로 충분하다”고 말했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교원임용시험 합격 응원해요" 공주대 사범대 응원 간식 선물
  2. 천안법원, 억대의 짝퉁 명품 판매한 일당 징역형
  3. 천안법원, 경찰관에게 대변 던진 40대 중국인 '징역 1년'
  4. 충남창경센터, 창업기업 글로벌 진출 발판 마련
  5. 한기대, 독일·프랑스 전문가 초청 '국제 직업교육훈련 콘퍼런스' 개최
  1. 순천향대천안병원, 홍성군 결성면 주민 대상 건강영향조사 실시
  2. 천안동남서, '성착취 목적 대화죄' 위장수사 집중 활동 기간 운영
  3. 천안시, '202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도상훈련 실시
  4. 천안시건강가정지원센터, '도담누리 놀이활동가 워크숍' 진행
  5. 우승 겨냥한 한화이글스 응원전 대전이 '들썩'…야구장에 7천명 운집

헤드라인 뉴스


한화, 26년만의 우승 도전… 한국시리즈 원정경기 응원전

한화, 26년만의 우승 도전… 한국시리즈 원정경기 응원전

대전시는 한화이글스의 한국시리즈 진출을 축하하고 시민과 함께 승리를 기원하기 위해 26일 1차전을 시작으로 원정경기마다 대전한화생명볼파크에서 '한화이글스 승리기원 응원전'을 개최한다. 25일 시에 따르면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대규모 응원 축제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경기장 내 대형 전광판을 통해 한국시리즈 경기를 생중계하며, 시민들은 선착순 무료입장으로 한화이글스의 선전을 함께 응원할 수 있다. 대전시는 이번 응원전을 통해 한화이글스를 중심으로 지역의 정체성과 시민의 자긍심을 높이고, 경기장 인근 상권 활성화 등 지역경제에도 활력..

대전 평균 외식비 여전히 고가... "점심 사먹기 부담스럽네"
대전 평균 외식비 여전히 고가... "점심 사먹기 부담스럽네"

대전 평균 외식비용이 여전히 고가에 머물고 있다. 김치찌개 백반은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비싼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부 품목은 전국에서 높은 가격으로 순위권에 올라있다. 26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9월 기준 대전 김치찌개 백반 가격은 1만 200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비싸다. 김치찌개 백반은 점심시간 직장인 등이 가장 많이 찾는 음식으로, 1만원 한 장으로 점심을 해결하기 어렵다. 대전 김치찌개 백반은 1년 전(9700원)과 비교하면 5.1% 오른 수준이다. 점심 단골 메뉴인 비빔밥 역시 1만..

지역 유일 향토백화점 세이백화점 탄방점 계룡건설이 매입
지역 유일 향토백화점 세이백화점 탄방점 계룡건설이 매입

지역 유일 향토 백화점인 세이백화점 탄방점을 계룡건설이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계룡건설은 세이백화점 탄방점을 지난 8월 낙찰했다. 금액은 401억 원으로 2024년 5월 공매가 진행된 이후 1년 3개월 만에 낙찰을 받았다. 세이백화점 탄방점은 33회 유찰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으며, 매각가도 올해 7월 공매 최저입찰가(1278억 원)와 비교해 877억 원 줄었다. 세이백화점은 2022년 5월 대형 백화점과의 경쟁과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매출 감소를 이기지 못하고 자산관리회사인 투게더투자운용과 매각을 위한 본..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19년 만의 한국시리즈 진출…대전 시민들 한화 응원전 ‘후끈’ 19년 만의 한국시리즈 진출…대전 시민들 한화 응원전 ‘후끈’

  • 2025 함께 가는 행복동행 힐링축제 성료 2025 함께 가는 행복동행 힐링축제 성료

  •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