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청년연극인 두 번 울리는 연극계 현실

  • 문화
  • 문화 일반

지역 청년연극인 두 번 울리는 연극계 현실

  • 승인 2017-04-09 15:00
  • 신문게재 2017-04-10 8면
  • 박수영 기자박수영 기자
일부 청년 연극인 계약서 불구 출연료 미지급 사례 빈번,

표준 근로 계약서 도입 상생해야


연극에 대한 열정 하나만으로 배고픈 현실을 감당하며 연극판을 뜨지 못했던 A씨는 최근 속앓이를 하고 있다.

일명 ‘투잡’, ‘쓰리잡’ 을 뛰면서 근근이 생활을 버텨나가고 있었지만, 최근 기존 극단과 계약한 계약서대로 출연료를 받지 못하고 내몰리게 됐기 때문이다.



그는 최후의 방법인 ‘노동청’과 ‘예술인복지재단’에 구제 신청을 진행했다.

A씨는 “개인 자격으로 활동하는 배우들은 계약서를 쓰지 않는 경우가 다반사로 연극을 해도 제대로 돈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열정페이 속 젊은 연극인들을 두 번 울리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연극인이라는 부푼 꿈을 담고 한 극단에 단원으로 참여한 전 모(여)씨 역시 녹록지 않은 삶을 살고 있다.

2, 3일 공연을 위해서 적어도 수개월 연습하는데, 공연 뒤 손에 쥔 돈은 고작 30만 원 남짓에 불과했다.

전씨는 “미래가 보장되지 않은 열정은 상실감만 불러온다”고 씁쓸해 했다.

지역 연극계의 열악한 처우가 고달픈 삶을 살아가고 있는 청년연극인들을 두 번 울리게 하고 있다.

대전시는 올해 역점과제로 ‘대전형 청년정책’을 만들겠다는 구상을 내놓고 있다.

‘대전형 청년정책’의 방향은 큰 틀에서 일자리 정책뿐만 아니라 대전청년들을 위한 설 자리, 놀자리, 마련 등 일상 생활 전반을 다루는 정책을 개발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청년연극제, 청년예술인 정착 및 양성프로젝트, 청년예술인 창작 및 공연장 지원 등 청년연극인들을 위한 신규 사업도 진행된다.

하지만 연극계는 ‘젊고 유능한 청년예술인의 외부 유출을 막고 지역문화발전을 가져오겠다’는 취지에 앞서 예술인들의 표준계약서 관행 정착 및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이 예술인들에게 장르별 ‘표준계약서’의 견본계약서 양식을 만들어 제공하고 있음에도, 노력한 만큼 보상받지 못하는 일이 관행처럼 이어진지도 오래다.

적폐가 돼가는 열정 페이를 해결하기 위한 극단 대표들의 ‘인식 전환’과 정정당당하게 계약서를 쓸 수 있는 청년연극인들의 ‘책임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연극계 한 인사는 “정식 근로계약서를 쓰지 않고 구두계약을 하는 경우, 계약서를 쓰고도 일부 출연료를 지급하지 않는 극단도 있다”며“‘나는 얼마를 주지 않으면 출연을 못하겠다’고 말하고, 정정당당하게 계약서를 쓰는 등 자신의 가치를 정당하게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울공항 인근 도심 상공 전투기 곡예비행... 안전불감증 도마
  2.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3. 차기 대전교육감 선거 진보 단일화 시작? 5명 한 자리에
  4.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5. [춘하추동] 문화유산 회복 운동에 있어 재외동포의 역할
  1. [2025 대전교육청 학력신장] 창의융합형 수업으로 미래 역량 씨앗 키우는 대전태평중
  2. 충남대병원, 중증질환 소아청소년에게 완화의료 알리기 캠페인
  3.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4. [홍석환의 3분 경영] 지금 그리고 변화
  5. "거점 국립대만 키우나…" 비수도권 사립대 불안감 심화

헤드라인 뉴스


육사 지방이전 또 불붙나…충청 유치 선제대응 시급

육사 지방이전 또 불붙나…충청 유치 선제대응 시급

한 동안 불붙었다가 사그라들었던 육군사관학교 지방 이전 주장이 올 국정감사에서 또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여권 일각에서 국가균형발전 등 차원에서 당위성을 재차 설파한 것인데 이를 지렛대로 '국방수도' 충청권으로 이전할 수 있도록 지역 역량을 모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15일 더불어민주당 이상식 의원(용인갑)에 따르면 전날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내란청산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서울 노원구에 있는 육군사관학교의 지방이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육사는 61년의 박정희 쿠데타, 80년의 전두환 쿠데타 12·3..

코스피 종가 기준 최고가 경신... 3657.28에 장 마감
코스피 종가 기준 최고가 경신... 3657.28에 장 마감

미중 무역갈등 재격화 우려 속에서도 상승 출발, 3600선을 재탈환하며 장중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운 코스피가 종가 기준 최고가마저 경신했다. 15일 코스피는 전장보다 95.47포인트(2.68%) 오른 3657.28로 거래를 종료했다. 지수는 18.83포인트(0.53%) 오른 3580.64로 개장한 이후 꾸준히 고점을 높여갔고, 장 막판 한때 3659.91까지 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코스피는 전날에도 장 중 한때 3646.77까지 상승, 직전 장중 최고치(3617.86·10월 10일)를 갈아치웠으나 이후 급락해 3561.81로 장을..

`한국의 루스벨트`…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한국의 루스벨트'…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한국의 루스벨트'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이 15일 별세했다. 향년 67세. 고인은 1958년 대전에서 태어나 대전중, 충남고, 충남대를 졸업했다. 제34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사법연수원(24기)를 수료한 뒤 변호사로 활동하다 현실 정치에 뛰어들었다. 17대 총선에서 대전 유성에 출마해 국회에 입성한 후 21대까지 내리 5선을 지냈다. 유성은 물론 대전, 나아가 충청발전을 위해 힘썼고, '법의 정의'를 지키고 소외계층과 사회적약자를 위한 지원에도 앞장섰다. 2023년 12월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뒤 이듬해 1월 국민의힘에 입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 가을비 머금은 화단 가을비 머금은 화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