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대학이 4차산업혁명을 이끈다]건양대

  • 사회/교육
  • 교육/시험

[지역대학이 4차산업혁명을 이끈다]건양대

  • 승인 2017-05-14 14:36
  • 신문게재 2017-05-15 24면
  • 오희룡 기자오희룡 기자
건양대, 융합인재교육으로 4차산업혁명을 이끌다

-2012년부터 융합교육 혁신교육 진행... 글로벌 공모전 수상 등 성과

링크플러스 사업 통해 산업선도 개방형 캠퍼스 구축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학습관리시스템(LMS) 통해 융복합 교육


새정부의 최대 화두는 바로 ‘4차 산업혁명시대를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라고 할 수 있다.

비단 기업뿐만 아니라 정치권, 언론계, 학계에서도 4차 산업혁명의 정의는 무엇이고 어떤 식으로 우리 사회에 적용될 것인지를 모색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매우 활발하다.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는데 교육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는 가운데 이미 수 년 전부터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적합한 융복합 인재 양성 교육을 해온 건양대(총장 김희수)가 주목받고 있다.

건양대는 지난 2012년 전국 최초의 융합전문단과대학인 창의융합대학을 설립하고 1년 10학기의 모듈형 운영체제를 도입했다. 한 과목을 한 달에 끝내는 집중교육을 하는데 교수의 일방적인 지식주입이 아닌 ‘Pre-Class(선행학습)-In-Class(본학습)-Post Class(심화학습)’으로 진행되는 CLD(Creative Learning by Doing) 교육방식을 채택했다. 이는 학생들의 자율성과 팀 활동 기반의 문제해결역량을 키워주는 학습방법이다. 또한 학과도 ‘융합IT학과’, ‘융합디자인학과’ 등 IT 관련 학과 학생들이 디자인 관련 수업을 들으며 ‘디자인 전문지식을 갖춘 IT전문가’가 되도록 교육하는 등 일찍부터 융합교육을 실시해오고 있다. 그 결과 올해 3월 세계 3대 글로벌 디자인 공모전인 독일의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융합디자인학과 학생과 교수가 출품한 작품이 애플, 삼성 등 글로벌기업과 함께 대상격인 ‘골드’를 국내 대학 최초로 수상하는 쾌거를 낳기도 했다.

이와 함께 건양대는 최근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에서 선정하는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이하 링크플러스)에 선정되면서 한층 더 심화된 융복합 교육 시스템을 갖추게 됐다.

건양대는 링크플러스를 통해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융합 인재양성 ▲클라우드 기반 지역산업 및 의산학 클러스터 고도화 등 2가지 핵심목표를 세웠다. 대전 메디컬캠퍼스를 메디바이오 분야로 특화하고, 논산 창의융합캠퍼스를 융합서비스로 특화해 학생들에게 디지털 문해력, 유인형 협력능력, 비판적 해석력, 시스템적 사고력, 감성적 인지력, 협력적 의사결정력 등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6대 필수역량을 갖추도록 하게 된다. 이를 통해 빅데이터 전문가, 사물인터넷 전문가, 로봇윤리 전문가 등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전문가를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산학공동연구, 지역사회문제, 창업공동문제 등 산학협력을 통해 생산한 데이터를 클라우드 기반의 산학협력 정보공유시스템을 구축해 학생들의 융복합 교육에 활용하고 다시 교육을 통해 나온 결과물을 산학협력에 이용하는 지역산업 및 의산학 클러스터 고도화를 진행한다.

그 외에도 양대(논산, 대전) 캠퍼스에 기업부설연구소, 메디바이오산업지원센터, 창업인큐베이터, 융합발전소 등을 포함한 리서치파크(Research Park) 구축 및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과 융복합 교육활성화를 위한 융복합교육센터를 신설해 4차 산업혁명 융합서비스전문가를 양성한다.

김희수 건양대 총장은 “이번 링크플러스 사업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하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고 쌍방향 산학협력을 통해 대학 발전 및 지역 사회기여를 강화하고 이를 통해 산학협력 고도화 우수모델을 창출해 전국대학에 확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교원임용시험 합격 응원해요" 공주대 사범대 응원 간식 선물
  2. 우승 겨냥한 한화이글스 응원전 대전이 '들썩'…야구장에 7천명 운집
  3. [2025 국감] R&D 예산 삭감 여파·포스트 PBS 대응 등 과기계 현안 점검
  4. '아쉬운 첫 출발'…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1차전 LG 트윈스에 패배
  5. [르포] 한남대 학생이 체험한 행복동행 힐링축제
  1. [대전시 국감]농수산물시장 도매법인과 하역노조 갈등 수면 위
  2. 대전 동구, '2025 대전 동구동락 축제'… 3년 연속 흥행
  3. [월요논단] 대전체육 역대 최고 성적, 최고 흥행
  4. [대입+] 의대 쏠림 꺾이고 이공계 부상하나… 과기원 수시 지원 5년 새 최고치
  5. [2025 함께 가는 행복동행 힐링축제]"전국 최고 사회복지 서비스에 감사"

헤드라인 뉴스


한화, 26년만의 우승 도전… 한국시리즈 원정경기 응원전

한화, 26년만의 우승 도전… 한국시리즈 원정경기 응원전

대전시는 한화이글스의 한국시리즈 진출을 축하하고 시민과 함께 승리를 기원하기 위해 26일 1차전을 시작으로 원정경기마다 대전한화생명볼파크에서 '한화이글스 승리기원 응원전'을 개최한다. 25일 시에 따르면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대규모 응원 축제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경기장 내 대형 전광판을 통해 한국시리즈 경기를 생중계하며, 시민들은 선착순 무료입장으로 한화이글스의 선전을 함께 응원할 수 있다. 대전시는 이번 응원전을 통해 한화이글스를 중심으로 지역의 정체성과 시민의 자긍심을 높이고, 경기장 인근 상권 활성화 등 지역경제에도 활력..

대전 평균 외식비 여전히 고가... "점심 사먹기 부담스럽네"
대전 평균 외식비 여전히 고가... "점심 사먹기 부담스럽네"

대전 평균 외식비용이 여전히 고가에 머물고 있다. 김치찌개 백반은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비싼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부 품목은 전국에서 높은 가격으로 순위권에 올라있다. 26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9월 기준 대전 김치찌개 백반 가격은 1만 200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비싸다. 김치찌개 백반은 점심시간 직장인 등이 가장 많이 찾는 음식으로, 1만원 한 장으로 점심을 해결하기 어렵다. 대전 김치찌개 백반은 1년 전(9700원)과 비교하면 5.1% 오른 수준이다. 점심 단골 메뉴인 비빔밥 역시 1만..

지역 유일 향토백화점 세이백화점 탄방점 계룡건설이 매입
지역 유일 향토백화점 세이백화점 탄방점 계룡건설이 매입

지역 유일 향토 백화점인 세이백화점 탄방점을 계룡건설이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계룡건설은 세이백화점 탄방점을 지난 8월 낙찰했다. 금액은 401억 원으로 2024년 5월 공매가 진행된 이후 1년 3개월 만에 낙찰을 받았다. 세이백화점 탄방점은 33회 유찰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으며, 매각가도 올해 7월 공매 최저입찰가(1278억 원)와 비교해 877억 원 줄었다. 세이백화점은 2022년 5월 대형 백화점과의 경쟁과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매출 감소를 이기지 못하고 자산관리회사인 투게더투자운용과 매각을 위한 본..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19년 만의 한국시리즈 진출…대전 시민들 한화 응원전 ‘후끈’ 19년 만의 한국시리즈 진출…대전 시민들 한화 응원전 ‘후끈’

  • 2025 함께 가는 행복동행 힐링축제 성료 2025 함께 가는 행복동행 힐링축제 성료

  •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