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울원자력본 울진지역 3개 요양원에 물품구입비 지원

  • 전국
  • 부산/영남

한울원자력본 울진지역 3개 요양원에 물품구입비 지원

  • 승인 2018-01-09 09:03
  • 장진석 기자장진석 기자
미술치료3
미술치료
한울원자력본부(이희선 본부장)는 작년에 이어지난해 3월 15일 부터 2017년도 사업자지원사업으로 경북 울진군노인요양원(이승만 원장)외 2개 시설 입소어르신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치매예방체조, 미술치료, 노래교실) 사업비를 지원하고 있고, 2017년 8월 22일 에는 노인요양시설 입소자 편의를 위한 물품구입 사업 협약을 맺어 치매 어르신들이 요양원에서 생활하시면서 불편함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울진지역에 있는 요양원에 물품후원을 했다.

한울원자력본부 지역협력팀 관계자는 2018년부터는 1월부터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도록 사업비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며, 시설에서는 치매어르신들의 건강과 치매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전문적인 프로그램 진행을 당부했다.



또한 입소자 편의를 위한 물품지원을 통해 시설에서 생활하시는 어르신들을 위해 한울원자력본부는 전 직원이 민들레홀씨기금을 모금하여 매칭그랜트 사업으로 매년 지속적인 울진지역 내 사회복지시설에 후원을 실천하고 있다.

치매예방운동2
치매예방운동
2013년 1월부터 울진군노인요양원을 대한불교조계종사회복지재단(대표이사 설정)에서 위탁받아 운영하면서 한울원자력본부에서는 2013년 600만원, 2014년 450만원, 2015년 1380만원, 2016년 2410만원, 2017년 1600만원 총6430만원의 후원금과 후원물품으로 입소어르신들의 삶의 증진을 위해 지역사회 내에서 사회공헌을 통해 실천하고 있고, 한울원자력본부, 한수원 발전소(1~6호기), 한수원 자매마을, 한수원 지역협력팀의 임직원들은 요양원을 방문하여 어르신들의 손과 발의 역할을 하면서 효 사상을 지역사회 내에서 실천하고 있다.



한울원자력본부 임직원들과 대한불교조계종사회복지재단 울진군노인요양원 직원들은 요양원에서 생활하고 있는 어르신들은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이며 인생의 선배로 모시겠습니다. 또한 치매의 다양한 증상을 몸소 우리에게 알려주시는 스승으로 섬겨 올바른 돌봄 자세와 기술을 습득하도록 하겠습니다. 노인복지 실천을 통해 노년의 삶의 가치를 깨닫고 인생을 되돌아보고 꾸준한 성장을 통해 어르신들에게 배운 무형의 자산을 인생 후배들에게 잘 전달하도록 노력하겠다.


울진=장진석 기자 cjdshr@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