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신구 조화

  • 오피니언
  • 편집국에서

[편집국에서]신구 조화

박병주 정치부(체육담당) 차장

  • 승인 2019-07-01 16:05
  • 신문게재 2019-07-02 22면
  • 박병주 기자박병주 기자
오늘증명-61603-선-명-백-여권
박병주 정치부(체육담당) 차장
지난해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는 11년 만에 가을야구 진출이라는 쾌거를 이뤘다. 한용덕 감독 부임 첫해 깜짝 돌풍을 일으키며 3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한화 이글스의 암흑기를 끊어 낸 데에는 강팀으로의 체질 개선을 빼놓을 수 없다.

좋게 말하면 팀의 미래를 위한 젊은 선수들에 기회 주려는 것이지만, 반대로 베테랑들에게는 정리로 받아들여 진다.



그동안 한화 이글스는 유망주 발굴 육성보다 베테랑 영입에 초점을 맞춰 왔다.

류현진을 LA 다저스로 보내며 두둑한 이적료를 챙긴 한화는 2013년 정근우(4년·70억), 이용규(4년·67억원) 영입을 신호탄으로 배영수와 심수창, 권혁, 송은범 등 베테랑들을 끌어모았다.



대신 보상 선수로 많은 유망주가 날개도 채 펴보기 전에 독수리 둥지를 떠났다.

능력 있는 젊은 선수 육성을 통한 신구조화를 이루기보다 외부 수혈을 통한 성적 내기에 급급했다.

지난 시즌 야수 포지션별 평균 연령을 보면 한화 이글스의 베테랑 의존도가 얼마나 높은지 알 수 있다.

지난해 포지션별 최다 출전 선수(중복 포지션 가능)들의 평균 연령을 보면 한화가 32.78세로 가장 높았다.

평균 연령이 낮은 넥센 히어로즈(26.67세)와 비교하면 6살 차이가 난다.

간판타자 김태균, 정근우, 송광민, 이성열 등 주축 선수들의 나이가 30대 중후반이지만, 이들 베테랑을 대체할 카드가 마땅치 않았다.

유망주 유출과 신진급 선수들의 출장기회가 보장되지 않으면서 세대교체는 수년째 방치됐다.

이런 부조화 구조에 칼을 빼 든 인물이 한용덕 감독이다. 그 중심에 베테랑 정근우가 있었다.

오랜 기간 국가대표 붙박이 2루수와 한화 센터 라인을 책임졌던 정근우는 지난해 신인 정은원에게 자리를 내줬다. 올해는 외야에서 시즌을 맞았다.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투수진에도 적극적인 개편 작업에 들어갔다.

심수창을 LG 트윈스, 배영수와 권혁은 두산 베어스에 보냈다. 이들은 지난해 출장 기회를 보장받지 못하면서 벤치 또는 퓨처스에 머물렀다.

이들을 대신해 박상원, 박주홍 등 젊은 투수들에게 기회가 돌아갔다.

지난해 결과만을 놓고 보면 한용덕 감독의 선수단 개혁이 11년 만에 가을야구 진출이라는 성과를 가지고 왔다.

하지만, 강팀 도약을 위한 체질개선이 올해는 성장통으로 이어지고 있다. 시즌 돌입 전부터 주전급 선수들의 부상이 잦아지면서 전력에도 차질을 빚었다. 기존 베테랑 선수들이 현재 한화에 잔류했다면 위기에 놓인 팀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됐을 것이라 자명한다.

올해 한화 이글스 야구를 볼 때면 가끔 베테랑들이 떠오른다. 리빌딩은 모든 구단이 가지고 있는 숙제다. 다만, 강제 개혁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출전 기회만 보장한다고 젊은 유망주들이 100% 성장하진 못한다. 앞으로 한화 이글스가 베테랑을 향한 칼바람이 아닌 신구조화를 통해 비상하기를 기대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2.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3.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4.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5. 어기구 의원, ‘K-스틸법’ 후속 국가재정법 개정안 대표 발의
  1. 양상추 가격 급등 현상에 대전 소상공인도 직격탄... 높아진 가격에 한숨만
  2. '사건 25%↑' 대전경찰, 우수부서 찾아 시상…서부署·중부署 등
  3.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4. 대전상의-국정원 '기업 기술유출 예방 설명회' 개최
  5. 설동호 교육감 시정연설 "모두 균등한 기회 누리는 든든한 대전교육 만들 것"

헤드라인 뉴스


대전만 없는 `공립형 대안학교`… 학교설립 공약 끝내 실패

대전만 없는 '공립형 대안학교'… 학교설립 공약 끝내 실패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10여년 숙원이었던 공립형 대안학교 설립 공약이 결국 이행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지 확보에 오랜 시간을 소모했지만 끝내 추진에 실패하면서 차기 교육감의 과제로 넘어가게 됐다. 20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올 초까지 추진했던 유성구 복용동 설립이 결국 무산됐다. 당초 AI 특성화 대안학교를 설립하려던 계획이었지만 교육부가 1월 중앙투자심사에서 대안교육 중심의 학교 설립을 주문하면서 제동을 걸었다. 대안학교 성격을 변경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자 교육청은 주민 설득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다른 부지를 알아보겠다고 물러..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국회 패스트트랙(Fast Track: 신속처리안건) 충돌 사건으로 기소된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에게 유죄가 선고됐다. 당시 대표였던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원내대표였던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자유한국당 인사들도 마찬가지다.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 11부(장찬 부장판사)는 19일 오후 2시 특수공무집행방해와 국회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황교안 전 총리와 나경원 의원, 이장우 시장과 김태흠 지사 등 26명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유죄를 인정하고 벌금형을 선고했다. 나 의원은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벌금 2000만원,..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사상 첫 직선제로 이사장을 선출한 대전 대덕구 법동 으뜸새마을금고가 불법 선거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대해 수사를 벌인 경찰은 최근 사전 선거 운동 혐의 등으로 올해 7월 당선된 이사장 A씨를 검찰에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경찰과 법조계에 따르면 올해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이사장에 선출된 A씨는 공식 선거 운동 예정일 전부터 실질적인 선거유세를 펼쳤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는 2021년 제6대 선거까지 간선제로 진행됐지만, 올해 치러진 제7대 선거는 금고 설립 이후 처음으로 전체 회원이 투표에 참여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