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향기] 위건 부두로 가는 길

  • 오피니언
  • 문화칼럼

[책 향기] 위건 부두로 가는 길

  • 승인 2019-08-08 17:21
  • 신문게재 2019-08-09 9면
  • 김유진 기자김유진 기자
김기수 증명사진
김기수 희망의 책 대전본부 이사
위건부두로가는길
조지 오웰 저, 이한중 역, 한겨레출판사, 2010
2019년 여름 대한민국의 사람들 입에 가장 많이 오르내린 단어를 꼽으라면 "냄새"가 순위에 있을 것이다. 한국영화 100주년을 축하하듯 봉준호는 영화 '기생충'으로 깐느에서 황금종려상을 받았다. 한국에서만 1천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영화를 보았다. 영화를 보면서 조지 오웰의 '위건 부두로 가는 길' 속 불편한 냄새를 떠올린 사람들이 나 뿐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수미쌍관 구조의 닫힌 영화 속 이야기는 우화고, 블랙코미디니까 웃으라고 말하지만 희망이 꺾인 삶의 모습은 보는 이를 답답하고 불쾌하게 만든다. 르포 속 실상은 처참하지만 주장은 속 시원하다. 오웰은 '위건 부두로 가는 길'을 1, 2부로 나누어 1부는 탄광 지대 노동자의 밑바닥 생활의 실상을, 2부는 민주적 사회주의자를 언급하며 그 적들이 누구인지 그리고 파시즘의 광풍에 맞서 싸우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이야기한다. 영화 '기생충' 속 냄새처럼 작가도 냄새를 통해 사회구조 속 가난한 사람들의 주거환경과 노동자들의 열악한 작업환경을 적나라하게 고발한다. 민주적 사회주의를 위해 지식인에게 위선적 교양과 과거 부르주아적 습관, 학습된 기억, 혐오스런 인상을 버리라고 한다. 냄새를 통한 고발뿐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곳에서의 삶과 노동에 대한 그의 시선도 주목하면서 읽으면 더욱 흥미로울 것이다.

"광부들이 일하는 모습을 보노라면, 다른 세상에 다른 사람들이 살고 있구나 하고 문득 깨닫게 될 것이다. 저 아래 누가 석탄을 캐고 있는 곳은, 그런 곳이 있는 줄 들어본 적 없이도 잘만 살아가는 이곳과는 다른 세상이다. 아마 대다수 사람들은 그런 곳 얘기는 안 듣는 게 좋다고 할 것이다. 하지만 그 세계는 지상에 있는 우리의 세계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나머지 반쪽이다."



"리스펙트!"를 외치며 박 사장이 집으로 퇴근하는 발걸음에 맞춰 센스있게 밝혀주던 근세는 말 그대로 피눈물을 흘리며 센서 등을 켰다 끄기를 반복하며 죽음의 한 가운데서 조난위기신호를 보내지만 간단한 안주인 연교는 자동센서가 왜 가끔 고장 난 것처럼 깜빡이는지 의아할 뿐이다. 나는 그동안 어떻게 살았는가? 출근길에 지하철 스크린도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차량이 제 시간에 움직이지 않으면 기관사가 성실하게 일하지 않는다며 그들을 비난하거나, 그냥 고개를 갸우뚱하다가 이내 무심하지 않았던가? 석탄을 나르는 벨트에 몸이 두동강 난 채로 방치되었던 청년의 죽음이 불과 반년 밖에 지나지 않은 2016년 말의 일임에도 마치 1936년에 광부들이 탄 승강기가 추락해 노동자 여럿이 죽었다더라 하는 책속의 일처럼 일상처럼 '간단'하게 여기고 살진 않았던가?

내가 당연하게 여기고 단순하고 깔끔하게 돌아간다고 생각해왔던 이 세상은 사실 수많은 노동자의 피땀과 눈물, 그리고 한숨으로 돌아가고 있지 않은가? 나처럼 그걸 잊고 살아온 사람이 있다면, 우리 함께 '위건 부두'로 가자. 노동 현장을 바로 보고, 땀 냄새를 곁에서 맡으며 함께 가자. 진보인척, 사회주의자인척 하지만 사실은 냄새를 혐오의 도구로, 선을 긋는 그 적들을 찾아내자. 그 적의 모습을 아침 세수하는 거울에 비친 내 모습에서 찾을 수 있다면 천만다행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위건 부두로 가는 길'을 옆에 끼고 동네카페에서, 동네책방에서 독서모임을 만들어 소소한 일상을 나누는 직장동료, 선후배, 친구, 지인들과 함께 이 책을 읽고 '수다'를 떨어보자. 빨간 띠를 머리에 두르고 투쟁 조끼를 입고 연대하는 것 못지않게, 아니 어쩌면 더 먼저 해야 할 과제가 바로 그 '수다'와 '정기적인 만남'과 '독서모임'인지도 모른다. 조지 오웰이 지금까지 살아있어서 대한민국에 이민 와서 살다가 기생충을 봤다면 이런 말을 남기지 않았을까?



"우리 이제 모여 앉아 서로에게 나는 냄새는 맡아보고, 그 냄새를 견뎌볼까요? 냄새 그대로를 인정하는 것, 우선 그게 인간다운 삶을 살기 위한 최소한의 예의라고 생각합니다. 악취를 없애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지 토론해봅시다. 모두가 향기 나는 세상에서 함께 살기 위해서 무엇부터 이야기해볼까요? 편하게 이야기 해봅시다. 그렇게 어울리다가 같이 냄새날까, 노동자계급으로 굴러 떨어질까 불안해하지 마세요. 우리가 잃을 것은 근혜체 내지 보그체 아니면 '명징'이나 '직조' 정도의 어려운 단어들밖에 없을 테니까요."
김기수 희망의 책 대전본부 이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2.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3.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4.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5. <인사>대전시
  1.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2.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3.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4. 대전시, 반려동물산업 육성에 힘쏟는다
  5. [한성일이 만난 사람]김용교 전 아산시 부시장

헤드라인 뉴스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27일 오전 우주로 날아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가 성공하며 뉴스페이스 시대 개막을 알렸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오전 2시 40분 누리호 4차 발사 결과 브리핑을 통해 발사 결과를 직접 발표했다. 배 부총리는 "누리호 4차가 성공했다"며 "오전 1시 13분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발사된 누리호가 고도 601.3㎞ 궤도 속도 7.56㎞/s, 경사각 97.75도로 태양 동기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으며 탑재된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12기의 큐브 위성이 모두 성공적으로 분리돼 궤도에 안착했고 남극 세종기..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