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연의 산성 이야기] 신금성, 만해 한용운의 고향을 지키며 묵묵히…

[조영연의 산성 이야기] 신금성, 만해 한용운의 고향을 지키며 묵묵히…

제22회 신금성(神衿城-충남 홍성군 결성면 금곡리)

  • 승인 2017-12-01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4.신금성전경(결성에서본)650
결성에서 바라본 신금성 전경/사진=조영연
'결성(結城)'은 천수만 깊숙이 들어와 수룡동포구(현재는 洪城湖) 안쪽으로 들어온 금곡천변에 있다. 고대에는 안쪽 결성현청 앞까지 수로와 갯벌지였다.

백제시대는 결기군(結己郡, 삼국통일 후 潔城郡)으로 고려시대 운주(運州, 홍성)에 포함하여 결성으로 고친 후 현감을 두었다. 18C초(옹정 정축) 자식이 아비를 죽인 사건으로 한때 보령에 예속시키기도 했으나 다시 행정구역 개편 시 결성으로 복구됐다.

워낙 낮은 지대여서인지 신금성 대신 결성읍성으로 후대에 내(川) 건너 산기슭으로 옮겨져 현재는 일부 건물, 성벽 그리고 기초석들만 남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神衿城 在縣西五里 土築1350尺 今廢"에 이어 忠淸道邑誌에 '읍 5리 북쪽 신금성은 洪武30년에 산성으로 옮겼다'는 기록으로 미뤄 태종원(1400)년에 현재의 석당산 아래 읍성으로 옮기기 전까지 읍 치소였음을 알 수 있다.



사방 220m 가량의 정방형 평면 형태지만 현재는 입구인 북벽과 서벽을 제외하곤 폐해졌다. 잔존 상태로 미뤄 판축기법의 토축성으로 비교적 양호한 북벽 중앙 절단부가 문지로 여겨질 뿐 나머지는 김해김씨 문중 묘지나 농지로 완전 유실, 평범한 농촌마을이 됐다. 간척 전 천변보다 한 층 높긴 하지만 워낙 지대가 낮아 사방이 열린 작은 야산에 불과해 보인다.

홍성군지에 의하면 과거 발굴에서 백제-조선시대 다양한 토기와 와편이 출토됐으나 백제시대 유물은 성벽과 무관한 유적에서 출토돼 대체적으로 이 성의 축조 시기를 고려 이전 9C 무렵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곳이 백제 결기현의 치소였다면 당연히 치소성으로 출발했을 것으로 보아도 될 것 같다. 성의 서쪽 1km 정도 무량리에 봉화대가 있고, 그 사이에 조선시대 금정도(金井道)의 해문(海門)역이 있던 역말, 역촌이 있었다.

4.신금성내성벽650
신금성내 성벽/사진=조영연
만해 한용운의 고향이고, 이웃 갈산 김좌진 장군을 위시해서 金福漢 같은 지사들이 이 지역 출신들이다. 결성은 천수만, 서해안을 배경으로 한 어업과 금곡천 주변 농업이 번성해서 문화적으로도 활동이 활발한 곳이었다. 그 결과 두레를 통한 농경문화의 전통을 담은 결성농요, 구한말 송만갑 등과 더불어 판소리 공연과 전승에 앞장섰던 김창룡, 고수 한성준은 물론이요, 신재효의 뒤를 이은 판소리 대가 최선달의 후손들이 이 지역에 대대로 살아오면서 결성은 판소리의 중요한 전승지가 됐다.

이 험난한 난행량과 해안을 무사히 통과한 당나라 군사들은 일사천리로 기벌포에 이르렀다.

조영연 / '시간따라 길따라 다시 밟는 산성과 백제 뒷이야기' 저자

조영연-산성필자25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시 낙동강 가을꽃 향연… 3개 생태공원 이색적 풍경
  2. 전국캠핑족들, 대전의 매력에 빠져든다
  3. 10월 9일 '한글' 완전정복의 날...'세종시'로 오라
  4. '한글날 경축식', 행정수도 세종시서 개최 안되나
  5. 24일 대전시 국감... 내년 지선 '전초전' 촉각
  1. 579돌 한글날, 대전시청 광장에 울려 퍼진 한글 사랑
  2. 한산한 귀경길
  3. 최충규 대덕구청장,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목소리 청취 나서
  4.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5.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헤드라인 뉴스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정부의 한글날 경축식마저 수도 서울의 전유물이어야 하나. 올해 제579돌 경축식 역시 서울 몫이 됐다. 이재명 새 정부의 정무적 판단이 아쉬운 10월 9일 한글날이 되고 있다. 국무조정실이 정부세종청사에 있고 김민석 총리 주재의 경축식이었던 만큼, 아쉬움은 더욱 컸다. 새 정부의 첫 경축식이 지방분권의 상징인 세종시에서 열리는 것 자체만으로도 의미는 남다르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이날 세종시 대표 축제인 '2025 한글 축제'가 오전 8시 한글런과 함께 막을 올렸다. 김 총리가 이재명 대통령을 대신해 한글날 경축식을 세종시에서 열었..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1. 1년 넘게 이어진 유치전, 현주소 2. 치열한 3파전… 최적지는 어디? 3. '왜 충남인가' 수요자의 의견은 4. 단일화 여론… 미동 없는 정치권 제2중앙경찰학교 1차 후보지 3곳 가운데 충남 아산이 입지 여건에서 뚜렷한 우위를 보이고 있지만 충남 내부의 단일화 논의는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이 이 문제에 사실상 침묵하면서 단일화 논의가 표류할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이에 지역 정치권의 시선이 내년 지방선거에 쏠려있어 정치적 이해득실을 따지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앞서 1일 김태흠 충남지사는..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청년층 거주 비율이 높은 대학가 원룸촌 부동산 매물 중 허위·과장 의심 광고가 321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부는 10일 전국 대학가 원룸촌 10곳을 대상으로 인터넷 허위매물 광고를 점검한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7월 21일부터 8월 22일까지 약 5주간 진행했으며, 대상 지역은 서울 5곳, 대전 1곳, 부산 2곳, 경기 1곳 등 10곳이었다. 대전의 경우엔 유성구 온천2동이 대상이었다. 네이버 부동산, 직방, 당근마켓 등 온라인 플랫폼과 유튜브, 블로그, 카페 등에 올려진 중개 대상물 표시·광고 등 110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