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연의 산성이야기] 마의태자 오누이의 애달픈 이별

[조영연의 산성이야기] 마의태자 오누이의 애달픈 이별

제24회 하늘재 너머 덕주사와 산성

  • 승인 2017-12-15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하늘재정상650
하늘재 정상/사진=조영연
계립령(鷄立嶺)은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와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 사이에 있는 고개이다.

신라초 8대 아달라 이사금(阿達羅尼師今)3(156)년에 이곳에 도로를 개척했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으로 미뤄 일찍부터 신라가 길을 열어 북진의 통로로 사용하려 했던 듯하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조령이 주통로로 개척됐다면 그 이전에는 고모산성을 출발하여 일대에서는 가장 낮은 지역인 하늘재, 계립령을 통과하는 교통로가 존재했다고 보여진다.

계립령과 하늘재의 위치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설들이 있어 아직 정설은 없다. 계립령은 고구려 온달이 "鷄立縣, 竹嶺 서쪽이 우리에게 돌아오지 않으면 나도 돌아오지 않겠다."고 비장한 결심을 하며 출발했다는 기록 속의 지명이라고 추정된다.

하늘재표석-450
하늘재 표석/사진=조영연
이 고개를 사람들은 '지릅재, 지름재, 기름재, 油峙' 등으로 부른다고 하고, '麻骨沾, 麻木峴' 麻骨山, 鷄立峴' 등으로 한 다른 기록들이 있는데 이런 명칭들은 길쌈 용어 '계릅대, 저릅대, 지릅대' 등과 상통하는 것이다. 즉 삼베 길쌈에서는 그 재료인 '삼(麻)의 껍질을 벗기고 남은 속대 즉 麻骨'을 민간에서는 곳에 따라서 '계릅대, 저릅대, 지릅대' 라고 부른다.



이때의 마골이니 마목이니 하는 말들은 모두 삼의 속대를 가리키는 한자말로서 고유어 계릅, 저릅, 지릅에 해당된다. 따라서 계립령의 鷄立은 '삼(麻)대'를 의미하는 '계릅, 지릅'을 근접한 한자음으로 音借해서 쓴 것으로 볼 수 있다. 지릅재는 삼국사기 속 계립령과 가장 가까울 것으로 보인다. 1/50,000지도에는 하늘재와 지릅재가 미륵사지 앞에 독립적으로 나타난다. 계립령을 조령으로 보는 견해는 "계립령은 지금의 조령이다"라고 한 東史綱目에 바탕을 둔 것이다.

험준한 소백산맥 등줄기지만 하늘재에서 미륵리까지는 평탄한 길이다. 신라가 북진을 위해 일찍(2C)부터 개척한 하늘재 고개를 넘으면 덕주사와 미륵대원지에 닿는다. 경순왕의 딸 덕주공주와 마의태자의 망국의 한이 미륵사와 미륵불에 서린 곳이다. 훗날 영남지방으로 오가던 나그네들을 위한 院이 설치됐었다.

조영연 / '시간따라 길따라 다시 밟는 산성과 백제 뒷이야기' 저자

조영연-산성필자25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교육지원청, 사랑의열매 천안시나눔봉사단과 '더불어 사는 세상' 위한 업무협약 체결
  2. 대전대 펜싱팀, 대통령배 전국펜싱선수권대회 에뻬 단체전 3위
  3. 폐교 예정 대전 성천초 주민 편의 복합시설 추진 협약
  4. 충남대-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중국서 그린바이오 인재 교육
  5. 한밭대 RISE 사업단, 플라즈마 표면처리 국제자격증 합격자 4명 배출
  1. 전북은행 대학생 서포터즈 5기 해단식 진행
  2. 대전건설건축자재협회 'AI 전문가 초청강연' 개최
  3. 건양사이버대 총학생회, 수해 지역 이웃돕기 성금 기부
  4. 한온시스템, 2025년 하반기 채용 연계형 인턴모집
  5. [기고]대형복합화력 증설 멈추고 재생에너지 확대에 주력을

헤드라인 뉴스


투석환자 교통편의 제도정비 시급…지자체 무관심에 환자안전 사각

투석환자 교통편의 제도정비 시급…지자체 무관심에 환자안전 사각

<속보>20일 대전 한 병원에서 만난 조한영(49·가명)씨는 이틀에 한 번씩 인공신장실을 찾아 혈액 투석을 8년간 이어왔다. 월·수·금 오전 7시 병원에 도착해 4시간동안 투석을 받고 나면 체중은 많게는 3㎏까지 빠지고 어지럼증이 쉽게 가라앉지 않는다. 당뇨 합병증으로 콩팥이 먼저 나빠졌고, 오른쪽 눈은 실명했으며, 발에도 질환이 생겨 깁스처럼 발 전체를 감싸고 목발을 짚어서야 겨우 걸음을 뗀다. 투석은 생명을 지키는 일인데 집과 병원을 오가는 병원의 교통편의 제공마저 앞으로 중단되면 혼자서 투석을 이어갈 수 있을지 그는 심각하게..

[날씨] 12호 태풍 `링링` 영향…폭염·열대야 강화
[날씨] 12호 태풍 '링링' 영향…폭염·열대야 강화

주말인 23~24일 폭염과 열대야 현상이 강화됨에 따라 무더위가 이어질 가운데 내륙 곳곳에 국지적 소나기가 내릴 전망이다. 21일 기상청에 따르면 제12호 태풍 '링링'이 동북 동진 중이다. 태풍은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일본 남동쪽 해상 가장자리를 따라 규슈를 통과할 예정이다. 이번 주말(23~24일)은 티베트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이 결합해 한반도 고기압이 두터워지며 지금보다 온도가 1~2도 더 올라 폭염이 다소 강화된다. 또한, 내륙 중심에 5~40㎜의 국지적 소나기가 내리겠다. 특히 대전·세종·충남 전 지역에 폭염특보 발효에..

충남도 `호우 피해 지원금 현실화` 요구… 정부 "추가 지급 결정"
충남도 '호우 피해 지원금 현실화' 요구… 정부 "추가 지급 결정"

충남도가 지난달 기록적인 폭우에 따른 지원금을 정부에 지속 건의한 결과, 정부가 추가지원을 결정했다. 21일 도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폭우 피해 지원대책 기자회견에서 정부에 피해 지원금 현실화를 건의하겠다는 입장 발표를 시작으로, 정부부처의 현장점검 등에서 '호우 피해 지원금 현실화'를 요청해 왔다. 김태흠 지사도 1일 열린 대통령 주재 제1차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분야별 지원금 현실화를 공식 건의한 바 있다. 당시 김 지사는 농업 분야와 관련해 정부의 지원기준인 복구비(대파대) 50%를 100%로 상향하고 농업시설 복구비도 기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드론테러를 막아라’ ‘드론테러를 막아라’

  • 폭염에도 가을은 온다 폭염에도 가을은 온다

  • 2025 을지훈련 시작…주먹밥과 고구마로 전쟁음식 체험 2025 을지훈련 시작…주먹밥과 고구마로 전쟁음식 체험

  •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안 부결…시의회 거센 후폭풍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안 부결…시의회 거센 후폭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