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연의 산성이야기] 마의태자 오누이의 애달픈 이별

[조영연의 산성이야기] 마의태자 오누이의 애달픈 이별

제24회 하늘재 너머 덕주사와 산성

  • 승인 2017-12-15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하늘재정상650
하늘재 정상/사진=조영연
계립령(鷄立嶺)은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와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 사이에 있는 고개이다.

신라초 8대 아달라 이사금(阿達羅尼師今)3(156)년에 이곳에 도로를 개척했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으로 미뤄 일찍부터 신라가 길을 열어 북진의 통로로 사용하려 했던 듯하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조령이 주통로로 개척됐다면 그 이전에는 고모산성을 출발하여 일대에서는 가장 낮은 지역인 하늘재, 계립령을 통과하는 교통로가 존재했다고 보여진다.

계립령과 하늘재의 위치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설들이 있어 아직 정설은 없다. 계립령은 고구려 온달이 "鷄立縣, 竹嶺 서쪽이 우리에게 돌아오지 않으면 나도 돌아오지 않겠다."고 비장한 결심을 하며 출발했다는 기록 속의 지명이라고 추정된다.

하늘재표석-450
하늘재 표석/사진=조영연
이 고개를 사람들은 '지릅재, 지름재, 기름재, 油峙' 등으로 부른다고 하고, '麻骨沾, 麻木峴' 麻骨山, 鷄立峴' 등으로 한 다른 기록들이 있는데 이런 명칭들은 길쌈 용어 '계릅대, 저릅대, 지릅대' 등과 상통하는 것이다. 즉 삼베 길쌈에서는 그 재료인 '삼(麻)의 껍질을 벗기고 남은 속대 즉 麻骨'을 민간에서는 곳에 따라서 '계릅대, 저릅대, 지릅대' 라고 부른다.



이때의 마골이니 마목이니 하는 말들은 모두 삼의 속대를 가리키는 한자말로서 고유어 계릅, 저릅, 지릅에 해당된다. 따라서 계립령의 鷄立은 '삼(麻)대'를 의미하는 '계릅, 지릅'을 근접한 한자음으로 音借해서 쓴 것으로 볼 수 있다. 지릅재는 삼국사기 속 계립령과 가장 가까울 것으로 보인다. 1/50,000지도에는 하늘재와 지릅재가 미륵사지 앞에 독립적으로 나타난다. 계립령을 조령으로 보는 견해는 "계립령은 지금의 조령이다"라고 한 東史綱目에 바탕을 둔 것이다.

험준한 소백산맥 등줄기지만 하늘재에서 미륵리까지는 평탄한 길이다. 신라가 북진을 위해 일찍(2C)부터 개척한 하늘재 고개를 넘으면 덕주사와 미륵대원지에 닿는다. 경순왕의 딸 덕주공주와 마의태자의 망국의 한이 미륵사와 미륵불에 서린 곳이다. 훗날 영남지방으로 오가던 나그네들을 위한 院이 설치됐었다.

조영연 / '시간따라 길따라 다시 밟는 산성과 백제 뒷이야기' 저자

조영연-산성필자25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시 낙동강 가을꽃 향연… 3개 생태공원 이색적 풍경
  2. 전국캠핑족들, 대전의 매력에 빠져든다
  3. 10월 9일 '한글' 완전정복의 날...'세종시'로 오라
  4. '한글날 경축식', 행정수도 세종시서 개최 안되나
  5. 24일 대전시 국감... 내년 지선 '전초전' 촉각
  1. 579돌 한글날, 대전시청 광장에 울려 퍼진 한글 사랑
  2. 한산한 귀경길
  3. 최충규 대덕구청장,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목소리 청취 나서
  4.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5.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헤드라인 뉴스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정부의 한글날 경축식마저 수도 서울의 전유물이어야 하나. 올해 제579돌 경축식 역시 서울 몫이 됐다. 이재명 새 정부의 정무적 판단이 아쉬운 10월 9일 한글날이 되고 있다. 국무조정실이 정부세종청사에 있고 김민석 총리 주재의 경축식이었던 만큼, 아쉬움은 더욱 컸다. 새 정부의 첫 경축식이 지방분권의 상징인 세종시에서 열리는 것 자체만으로도 의미는 남다르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이날 세종시 대표 축제인 '2025 한글 축제'가 오전 8시 한글런과 함께 막을 올렸다. 김 총리가 이재명 대통령을 대신해 한글날 경축식을 세종시에서 열었..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1. 1년 넘게 이어진 유치전, 현주소 2. 치열한 3파전… 최적지는 어디? 3. '왜 충남인가' 수요자의 의견은 4. 단일화 여론… 미동 없는 정치권 제2중앙경찰학교 1차 후보지 3곳 가운데 충남 아산이 입지 여건에서 뚜렷한 우위를 보이고 있지만 충남 내부의 단일화 논의는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이 이 문제에 사실상 침묵하면서 단일화 논의가 표류할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이에 지역 정치권의 시선이 내년 지방선거에 쏠려있어 정치적 이해득실을 따지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앞서 1일 김태흠 충남지사는..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청년층 거주 비율이 높은 대학가 원룸촌 부동산 매물 중 허위·과장 의심 광고가 321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부는 10일 전국 대학가 원룸촌 10곳을 대상으로 인터넷 허위매물 광고를 점검한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7월 21일부터 8월 22일까지 약 5주간 진행했으며, 대상 지역은 서울 5곳, 대전 1곳, 부산 2곳, 경기 1곳 등 10곳이었다. 대전의 경우엔 유성구 온천2동이 대상이었다. 네이버 부동산, 직방, 당근마켓 등 온라인 플랫폼과 유튜브, 블로그, 카페 등에 올려진 중개 대상물 표시·광고 등 110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