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연의 산성이야기] 서울과 영남을 오가던 나그네들의 발걸음이 머물던 곳

[조영연의 산성이야기] 서울과 영남을 오가던 나그네들의 발걸음이 머물던 곳

제25회 덕주산성과 하늘재

  • 승인 2017-12-22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하늘재표석450
하늘재 표석/사진=조영연
하늘재(한훤령)는, 소백산맥의 척추로서 남쪽 문경의 고모산성과 북쪽 월악산 서북 송계계곡의 덕주산성을 연결하는 중간 포함산(961m)과 부봉(925m) 사이에 자리한 520m의 낮은 고개이다. 과거 영남에서 한양으로 통하던 대로의 일부분이다. 지도상 계립령은 하늘재 서북방 인근에 있다. 寒喧嶺(하늘재)산성은 충주시 상모면 미륵리와 문경군 관음리 경계를 이루는 능선상 안부에 축조한 석성으로 통로의 차단 내지 감시를 위한 보루로 사용됐던 듯하다.

덕주산성은 하늘재 너머 지릅재와 갈라지는 미륵리에서 우측 송계계곡 월악산 덕주골에 있으며 영봉을 위시한 동북의 거대한 암벽이 후방을 이루는 둘레 약 15km 가량(증보문헌비고에 '州 동쪽45리에 있고 석축으로 둘레가 32,670자. 우물 하나, 今廢'<덕주산성. 한국성곽학회편. 충청북도. 2008 재인용>)으로 조성한 백제시대의 고성이었다가 조선초 전부터 폐성된 것으로 본다. 현재는 계곡을 가로지르는 성벽 일부와 동문지 하나만 복원돼 있는 상태다.

문경 산북으로부터 충주로 넘어가는 계립령, 하늘재는 오늘날 그 호젓함으로 옛날을 다시 고개가 험하고 힘들다는 선입견은 전혀 예상 밖으로 평탄하고 널찍하다. 일깨워 준다. 돌부리 채일 일도 어깨를 부딛칠 일도 없다. 큰 내도 없으니 바람소리, 새소리 외에 물소리조차 방해하지 않는다. 그저 다박다박 걷기만 하면 되는 길이다. 나무냄새에 취하다 보면 어느새 석불의 인자한 얼굴을 만난다. 옛적 나그네를 맞아주던 주막 미륵원이 길가에 있다. 신라군, 고구려군의 기마병들의 요란한 말발굽 메아리도 아련하다

주변의 고즈넉한 자연 속에 의젓이 자리한 미륵사 석불은 지금은 돌담에 갇혀 상반신이 담밖으로 빼꼼히 드러났지만 과거에는 궁륭상 석굴 속에 자리잡았으리라. 그리고서 새로운 밝은 미래세상이 열리기를 기원하면서 천년 넘게 그 모습이 변하지 않은 채 그 자리를 지키고 있지만 그의 가슴 속에는 허무하게 나라를 잃고 정토를 찾아 떠나던 마의태자 오누이의 하염없는 눈물을 잊지 못할 것이다. 그날 이후론 그의 입은 더욱 닫혀지고 다만 오가는 이들만이 그것을 읽을 뿐이다. 서울과 영남을 오가던 무심한 나그네들만이 미륵불 옆 미륵원에서 절밥으로 허기를 잊고 몸을 녹이며 잠시 쉬었다 가곤 했다.



조영연 / '시간따라 길따라 다시 밟는 산성과 백제 뒷이야기' 저자

조영연-산성필자25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시 낙동강 가을꽃 향연… 3개 생태공원 이색적 풍경
  2. 전국캠핑족들, 대전의 매력에 빠져든다
  3. 10월 9일 '한글' 완전정복의 날...'세종시'로 오라
  4. '한글날 경축식', 행정수도 세종시서 개최 안되나
  5. 24일 대전시 국감... 내년 지선 '전초전' 촉각
  1. 579돌 한글날, 대전시청 광장에 울려 퍼진 한글 사랑
  2. 한산한 귀경길
  3. 최충규 대덕구청장,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목소리 청취 나서
  4.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5.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헤드라인 뉴스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정부의 한글날 경축식마저 수도 서울의 전유물이어야 하나. 올해 제579돌 경축식 역시 서울 몫이 됐다. 이재명 새 정부의 정무적 판단이 아쉬운 10월 9일 한글날이 되고 있다. 국무조정실이 정부세종청사에 있고 김민석 총리 주재의 경축식이었던 만큼, 아쉬움은 더욱 컸다. 새 정부의 첫 경축식이 지방분권의 상징인 세종시에서 열리는 것 자체만으로도 의미는 남다르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이날 세종시 대표 축제인 '2025 한글 축제'가 오전 8시 한글런과 함께 막을 올렸다. 김 총리가 이재명 대통령을 대신해 한글날 경축식을 세종시에서 열었..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1. 1년 넘게 이어진 유치전, 현주소 2. 치열한 3파전… 최적지는 어디? 3. '왜 충남인가' 수요자의 의견은 4. 단일화 여론… 미동 없는 정치권 제2중앙경찰학교 1차 후보지 3곳 가운데 충남 아산이 입지 여건에서 뚜렷한 우위를 보이고 있지만 충남 내부의 단일화 논의는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이 이 문제에 사실상 침묵하면서 단일화 논의가 표류할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이에 지역 정치권의 시선이 내년 지방선거에 쏠려있어 정치적 이해득실을 따지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앞서 1일 김태흠 충남지사는..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청년층 거주 비율이 높은 대학가 원룸촌 부동산 매물 중 허위·과장 의심 광고가 321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부는 10일 전국 대학가 원룸촌 10곳을 대상으로 인터넷 허위매물 광고를 점검한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7월 21일부터 8월 22일까지 약 5주간 진행했으며, 대상 지역은 서울 5곳, 대전 1곳, 부산 2곳, 경기 1곳 등 10곳이었다. 대전의 경우엔 유성구 온천2동이 대상이었다. 네이버 부동산, 직방, 당근마켓 등 온라인 플랫폼과 유튜브, 블로그, 카페 등에 올려진 중개 대상물 표시·광고 등 110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