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 톡] 미래를 위한 준비 -'겨울공부'

[공감 톡] 미래를 위한 준비 -'겨울공부'

김소영(태민) 수필가

  • 승인 2017-12-22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무슨 날이지?'

마지막 달력 20일 날짜가 빨간색으로 되어 있는 것을 보고 왜 저 날이 공휴일인지 잠시 의아해했다. 숫자 밑을 자세히 살펴보니 대통령선거일이라 되어 있는 걸 확인하고 왠지 씁쓸함에 나도 모르게 한숨이 쉬어졌다.

2017년, 우리나라에는 촛불집회, 대통령 탄핵, 대통령선거, 사드배치, 그로 인한 중국의 압박, 포항 지진, 포항 지진으로 인해 최초로 미뤄진 수능 등 여러 크고 작은 일들이 있었다.

이 모든 것들이 우리나라가 성숙하는데 필요한 밑거름들이 되었으면 좋겠는데 그리 되었는지는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일이다.



개인적으로는 올해 사회복지 공부를 시작했고 대학이라는 조직 속에서 과 대표 일을 맡으며 새로운 사람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한 해였다.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던 시간들이었고, 그 과정에서 나의 모자람을 발견할 수 있었던 시간들이었다.

AKR20160218091500005_02_i
충주 석종사 금봉선원에서 동안거 중인 스님들이 참선을 하고 있다./연합DB
불교에서는 옛날부터 음력 10월 15일부터 이듬해 1월 15일까지 '동안거(冬安居)'에 들어간다고 한다. 동안거란 겨울동안 승려들이 일정한 거처에 머무르며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종교적인 것을 떠나서라도 우리에게는 이 '동안거'라는 '겨울공부' 시간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한 해의 막바지에서 1년동안의 내 삶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고 나의 모자람을 찾아 반성하는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 한다.

이번 겨울에는 내 자신부터 '겨울공부'를 해 볼 생각이다. 1년 동안 나의 삶의 모습을 살펴보고 잘 처리하지 못했던 일들은 무엇이었고 모자란 점은 무엇이었나? 사람들과의 사이에서 다툼이나 잘못된 일이 있었다면 의사소통에 어떤 문제점이 있었나? 등등.

이와 같이 나의 모자람을 찾아 나를 갖춤으로써 더 나은 내년을 기약하려는 것이다.

그냥저냥 하루를 보내고, 1년을 보낸들 누가 뭐라고 하겠는가?

그렇지만 이런 시간을 갖는다는 것은 잘못되었던 것을 그냥 지나치지 않고 다시 되짚어 봄으로써 똑같은 잘못을 되풀이 하지 않고 또한 잘못된 것을 남의 탓으로 돌리기 보다는 나의 잘못으로 여겨 바로 고쳐나갈 수 있는 즉, 나를 정리해 볼 시간을 갖는 것이다.

사람은 대부분 삶의 막바지에 다다랐을 때 자신의 삶을 후회하고 아쉬워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렇게 1년을 돌아보는 시간들이 소중한 것이다.

매년 되풀이 되는 '겨울공부'는 나를 갖추는 시간으로 좀 더 나은 내년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이런 준비기간을 가졌던 사람과 준비없이 내년을 맞이하는 사람과는 확연히 다른 삶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 백악관에서는 지난 10월 AI의 미래를 위한 준비하는 제목의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하고, 선진국들은 '4차산업혁명'이라는 타이틀을 내걸고 경쟁이 한창이다.

개인도 미래를 위한 준비를 해야 하고, 국가도 준비하지 않으면 미래를 보장받지 못하는 것이다. 모든 일은 먼저 잘 계획하고, 철저하게 준비하고, 실천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무술년이 코앞에 다가오고 있다. 2018년 무술년은 '황금개띠 해'라고 한다. 우리 모두 알차게 미래를 준비하여 행운의 황금 개띠 해를 맞았으면 한다.

김소영(태민) 수필가

김소영 최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시 낙동강 가을꽃 향연… 3개 생태공원 이색적 풍경
  2. 전국캠핑족들, 대전의 매력에 빠져든다
  3. 10월 9일 '한글' 완전정복의 날...'세종시'로 오라
  4. '한글날 경축식', 행정수도 세종시서 개최 안되나
  5. 24일 대전시 국감... 내년 지선 '전초전' 촉각
  1. 579돌 한글날, 대전시청 광장에 울려 퍼진 한글 사랑
  2. 한산한 귀경길
  3. 최충규 대덕구청장,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목소리 청취 나서
  4.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5.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헤드라인 뉴스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정부의 한글날 경축식마저 수도 서울의 전유물이어야 하나. 올해 제579돌 경축식 역시 서울 몫이 됐다. 이재명 새 정부의 정무적 판단이 아쉬운 10월 9일 한글날이 되고 있다. 국무조정실이 정부세종청사에 있고 김민석 총리 주재의 경축식이었던 만큼, 아쉬움은 더욱 컸다. 새 정부의 첫 경축식이 지방분권의 상징인 세종시에서 열리는 것 자체만으로도 의미는 남다르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이날 세종시 대표 축제인 '2025 한글 축제'가 오전 8시 한글런과 함께 막을 올렸다. 김 총리가 이재명 대통령을 대신해 한글날 경축식을 세종시에서 열었..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1. 1년 넘게 이어진 유치전, 현주소 2. 치열한 3파전… 최적지는 어디? 3. '왜 충남인가' 수요자의 의견은 4. 단일화 여론… 미동 없는 정치권 제2중앙경찰학교 1차 후보지 3곳 가운데 충남 아산이 입지 여건에서 뚜렷한 우위를 보이고 있지만 충남 내부의 단일화 논의는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이 이 문제에 사실상 침묵하면서 단일화 논의가 표류할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이에 지역 정치권의 시선이 내년 지방선거에 쏠려있어 정치적 이해득실을 따지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앞서 1일 김태흠 충남지사는..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청년층 거주 비율이 높은 대학가 원룸촌 부동산 매물 중 허위·과장 의심 광고가 321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부는 10일 전국 대학가 원룸촌 10곳을 대상으로 인터넷 허위매물 광고를 점검한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7월 21일부터 8월 22일까지 약 5주간 진행했으며, 대상 지역은 서울 5곳, 대전 1곳, 부산 2곳, 경기 1곳 등 10곳이었다. 대전의 경우엔 유성구 온천2동이 대상이었다. 네이버 부동산, 직방, 당근마켓 등 온라인 플랫폼과 유튜브, 블로그, 카페 등에 올려진 중개 대상물 표시·광고 등 110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