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연의 산성이야기] 적성산성, 삼국시대부터 교통의 요충지서 중요 역할

[조영연의 산성이야기] 적성산성, 삼국시대부터 교통의 요충지서 중요 역할

제29회 적성산성(赤城山城 - 단양군 단성면 하방리 성재산)

  • 승인 2018-01-1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적성산성
적성산성/사진=조영연
북동부 태백산에서 발원한 남한강물은 우여곡절 끝에 온달산성 앞을 통과한 뒤 곳곳의 크고 작은 지천들과 합류, 단양을 돌아 남서진하여 내려오며 충주호를 이룬다. 단양읍을 통과 급격히 남쪽으로 꺾인 강은 곧바로 적성산성 서벽 밑을 지나고 다시 꺾여 더 내려가 월악산국립공원 청풍관광단지 옥순봉 밑을 거쳐 충주호로 유입된다.

한편 문경(고모산성)과 죽령을 넘어오는 교통로(현재의 중앙고속도로, 5번국도 부근)는 각각 적성산성의 남벽과 동벽을 거쳐 제천, 한양 방면으로 북진한다. 단성에서는 영주-제천길에서 분기돼 국토의 중앙인 충주로 가는 35번국도가 출발한다. 적성산성의 임무는 이런 육로, 수로들이 교차하는 삼각점에 위치해서 그것들을 지키는 것이었다. 이 교통로들은 멀리는 삼국시대로부터 고려, 조선 나아가 현대(6.25)까지의 우리 역사 속에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해 왔으며 그 요충지에 적성산성이 자리했다.

성 위에서는 서쪽과 남쪽 지역과 수로가 모두 감지되며 동쪽은 죽령 문경 등 소백산맥을 통과하는 교통로와 지역이 관찰된다.

서벽과 남벽은 남북으로 진행되는 강과 죽령천을 해자처럼 둔 높은 지형이지만 약간의 사면 속에 적성비 아래 부분까지의 평탄지를 감싸면서 동과 북벽을 축조하여 전체적으로 남북으로 길어진 타원형이다. 대체적으로 외면은 경사가 졌지만 지대가 높은 서북쪽은 외측의 경사가 더욱 심하다. 동남쪽 비교적 평탄한 지역에 건물 등 시설이 많았을 것으로 보인다. 동벽의 낮은 곳으로 배수구를 냈다. 성벽의 둘레가 약 920m인 테뫼식 산성이며 북동쪽 협축벽 일부가 원형으로 잔존하나 동,서,북벽은 현재 높이와 폭 삼사 미터 정도로 복원된 상태다. 서, 동, 동남에 문지가 있으며 서벽의 문지는 현문 형태로 복원되고 동쪽은 계단을 통해서 휴게소쪽으로부터 오르내리게 됐다. 東國輿地勝覽에 석축. 우물 하나' 등의 기록이 있다. 잔존 원벽이 비교적 얇은 장방형 자연할석들로 가지런하고 섬세하게 싸여진 바는 온달산성과 비슷한 점도 있으나 석재의 두께가 약간 두꺼우며 대림산성이나 장미산성들과는 상당히 다르다. 현재 이들 성들이 어느 나라 성이냐는 단정짓지 못한 상태다.



적성산성1
적성산성 앞 교통로 모습. 앞쪽이 죽령이다./사진=조영연
적성산성비550
단양 적성산성비/사진=조영연
어느 나라가 점령했느냐에 따라 전진기지냐 방어기지냐의 성격이 달라질 것이지만 강을 해자로 삼은 점에서는 북방의 적에 맞서기 위한 신라측의 사용에 더 유리할 것으로 여겨진다.

성내에서는 백제나 신라 등 삼국토기 및 와편들과 더불어 고려유물들도 출토돼 삼국시대에 활발히 활용되다가 고려 때까지도 사용된 것으로 추정한다. 진흥왕 때 세운 적성비의 내용으로 미뤄 고구려와 신라간 쟁패기를 거쳐 6세기 중반 무렵부터는 신라가 확보하여 전진기지로 활용했음을 알 수 있다.

적성산성과 연관된 가장 중요한 사항은 赤城碑(국보198)의 발견이다. 이 비는 1978년 단국대 학술조사단에 의해 발견된 것으로 높이 97×폭 107㎝의 화강암 자연석으로 조성됐으며 위는 넓고 아랫 부분은 뾰족하여 받침돌에 꽂아 놓은 역삼각형 형식이다. 일부 글자가 파손되긴 했지만 남은 430여 자를 통해 당시의 인명, 지명, 관직명 등을 파악할 수 있어 중요한 사료적 가치가 있다.

내용은 대강 이렇다. 大衆 等 喙(훼)部 출신 伊史夫智 등 지휘관 9인에게 왕이 교(敎)를 내린 내용으로 김무력, 이사부 등의 인물도 등장한다. 당시 고구려 영토였던 적성현을 공격, 고구려군을 물리치는 과정에서 이 고장 적성인으로 고구려군과 싸우다 전사한 也爾次와 기타 관련된 유공자들을 왕이 포상하고 주민들에게 1년간의 세금 면제와 죄수를 사면해 주는 것이다. 진흥왕이 북한산 등 점령지를 점검하고 돌아오면서의 일이다. 아마 영토 확장의 기념과 더불어 점령지를 위무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웠다고 여겨진다. 내용으로 미뤄 진흥왕 때(454-551년) 무렵 세워진 것으로 추정한다. 진흥왕은 북쪽으로 진출하던 신라의 영토 확장 과정에서 차지한 함경도 마운령과 황초령, 북한산(경기도), 창녕(경상도) 등에도 巡狩碑를 건립했다.

조영연 / '시간따라 길따라 다시 밟는 산성과 백제 뒷이야기' 저자

조영연-산성필자25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시 낙동강 가을꽃 향연… 3개 생태공원 이색적 풍경
  2. 전국캠핑족들, 대전의 매력에 빠져든다
  3. 10월 9일 '한글' 완전정복의 날...'세종시'로 오라
  4. '한글날 경축식', 행정수도 세종시서 개최 안되나
  5. 24일 대전시 국감... 내년 지선 '전초전' 촉각
  1. 579돌 한글날, 대전시청 광장에 울려 퍼진 한글 사랑
  2. 한산한 귀경길
  3. 최충규 대덕구청장,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목소리 청취 나서
  4.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5.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헤드라인 뉴스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정부의 한글날 경축식마저 수도 서울의 전유물이어야 하나. 올해 제579돌 경축식 역시 서울 몫이 됐다. 이재명 새 정부의 정무적 판단이 아쉬운 10월 9일 한글날이 되고 있다. 국무조정실이 정부세종청사에 있고 김민석 총리 주재의 경축식이었던 만큼, 아쉬움은 더욱 컸다. 새 정부의 첫 경축식이 지방분권의 상징인 세종시에서 열리는 것 자체만으로도 의미는 남다르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이날 세종시 대표 축제인 '2025 한글 축제'가 오전 8시 한글런과 함께 막을 올렸다. 김 총리가 이재명 대통령을 대신해 한글날 경축식을 세종시에서 열었..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1. 1년 넘게 이어진 유치전, 현주소 2. 치열한 3파전… 최적지는 어디? 3. '왜 충남인가' 수요자의 의견은 4. 단일화 여론… 미동 없는 정치권 제2중앙경찰학교 1차 후보지 3곳 가운데 충남 아산이 입지 여건에서 뚜렷한 우위를 보이고 있지만 충남 내부의 단일화 논의는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이 이 문제에 사실상 침묵하면서 단일화 논의가 표류할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이에 지역 정치권의 시선이 내년 지방선거에 쏠려있어 정치적 이해득실을 따지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앞서 1일 김태흠 충남지사는..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청년층 거주 비율이 높은 대학가 원룸촌 부동산 매물 중 허위·과장 의심 광고가 321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부는 10일 전국 대학가 원룸촌 10곳을 대상으로 인터넷 허위매물 광고를 점검한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7월 21일부터 8월 22일까지 약 5주간 진행했으며, 대상 지역은 서울 5곳, 대전 1곳, 부산 2곳, 경기 1곳 등 10곳이었다. 대전의 경우엔 유성구 온천2동이 대상이었다. 네이버 부동산, 직방, 당근마켓 등 온라인 플랫폼과 유튜브, 블로그, 카페 등에 올려진 중개 대상물 표시·광고 등 110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