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연의 산성이야기] 정북리 토성, 초기 토축성의 모습 보여줘 '의미'

[조영연의 산성이야기] 정북리 토성, 초기 토축성의 모습 보여줘 '의미'

제33회 정북동 토성(井北洞土城)-충북 청주시 상당구 정북동

  • 승인 2018-02-16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정북리토성내부
정북리 토성 내부 모습.
충북 청주시 서북쪽 미호천과 무심천이 만나 합수하는 삼각점 동편 제방 안쪽에 위치했다.

현재는 사방의 성벽을 복원하고 파란 잔디로 잘 조성한 평지에 동서남북 十자로 길을 포장해 놓아 가지런한 성의 모습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둘레 689m로 전체적인 형태는 정방형 토축성이다. 사방 성벽 중간 절단부에 각 방향의 문지가 있는데 남북 문지는 한 편이 약간 옆으로 휜 채 돌출돼 뻗어 옹문 형태를 취했다. 평지성인 성내의 물은 남문쪽을 동벽을 돌아 북벽을 거쳐 한 바퀴 돌아 서북쪽 수문으ㄹ 통해 미호천으로 빠져 나가게 만들어 자연스레 해자를 형성한다. 성벽폭은 기초부가 대략 10여m이나 4 모서리는 옹벽 형식으로 폭이 20m 이상 두껍다. 이 부분은 넓이로 미뤄 망대 내지 성루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제방이 없던 미호천 건너편을 충분히 한눈에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지 폭은 대략 개구부는 사오m 정도였다가 안으로는 약간 좁혀들어가는 형태인데 처음에는 땅을 파고 기둥을 세웠다가 뒤에는 냇가의 돌로 다진 후 세운 것으로 여겨진다.

동문지 발굴 기록을 보면 석축 기단이 없이 1.4 내지 1.7m 간격으로 8개의 기둥을 세우고 성벽 중앙부(체성-중간)는 황갈색 흙을 넣어 판축(기둥과 판자 등을 대고 쌓음)했으며 외피는 모래 섞인 흙과 황갈색 흙을 교대로 쌓아 습기 조절에 유리하도록 했다. 후일 평양성이나 사비나성 축조에서도 발견된다. 곡성부는 안팎으로 점토층을 대어 반원형(곡성 형식)으로 축조했는데 이런 축성법은 몽촌이나 풍남토성 등에서도 발견되는 것이다. 충북대 중원문화연구소에 의하면 청동기 시대와 철기시대 층들이 있지만 곡성부 표면에 원삼국시대 토기편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축조시기를 그 이전으로 올리기 어렵고 서문지 바닥에서 발굴된 목탄의 방사선 측정 결과 서기 40~220년 사이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이런 점들로 추측해 보면 이 성은 대체적으로 몽촌토성 등의 삼국초기 백제토성들과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규모가 크지 않고 위치가 상당산성 북쪽에서 진천 방면 북으로의 진출로상, 미호천과 무심천의 합류지점 수로변 평지에 자리잡고서 이 부근 교통로 경계나 곡창지대에서 주변성의 치소성 역할이 주요 임무였을 것으로 보인다. 후백제 견훤이 상당산성을 빼앗은 다음 상당산성 서문 밖 까치내(鵲江) 곁에 토성을 세우고 세금을 거둬 상당산성으로 운반했다는 '상당산성고금사적기'를 보면 고려 이전까지 사용됐다가 통일로 인해 반도 내 성으로서 방어 임무가 사라진 후로는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혹 활용이 계속됐다면 치수 관리나 읍성들의 치소용으로 활용됐을 가능성도 크다.



주변에는 동쪽 상당산성을 위시해서 서쪽 부모산성, 동북쪽 증평 근처 이성산성, 북쪽 대모 혹은 두타산성 등이 있어 수로와 육로로 이들과의 연계 활동도 추정해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성 역사에서 옹성 형식과 방형성의 시원이라는 점과 초기 토축성의 모습이나 축성법을 보여 주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정북리의 명칭은 과거 토성의 동남쪽에 있었던 마을 안샘의 북쪽에 있다 해서 붙여졌으며 남쪽 인근 들 건너 신봉동에는 백제 고분군들이 분포하고 있다는 점도 참고해 볼 필요가 있다. 주변의 넓은 들판과 미호천의 탁 트인 풍경에 가슴이 시원하다.

조영연 / '시간따라 길따라 다시 밟는 산성과 백제 뒷이야기' 저자

조영연-산성필자25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시 낙동강 가을꽃 향연… 3개 생태공원 이색적 풍경
  2. 전국캠핑족들, 대전의 매력에 빠져든다
  3. 10월 9일 '한글' 완전정복의 날...'세종시'로 오라
  4. '한글날 경축식', 행정수도 세종시서 개최 안되나
  5. 24일 대전시 국감... 내년 지선 '전초전' 촉각
  1. 579돌 한글날, 대전시청 광장에 울려 퍼진 한글 사랑
  2. 한산한 귀경길
  3. 최충규 대덕구청장,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목소리 청취 나서
  4.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5.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헤드라인 뉴스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정부의 한글날 경축식마저 수도 서울의 전유물이어야 하나. 올해 제579돌 경축식 역시 서울 몫이 됐다. 이재명 새 정부의 정무적 판단이 아쉬운 10월 9일 한글날이 되고 있다. 국무조정실이 정부세종청사에 있고 김민석 총리 주재의 경축식이었던 만큼, 아쉬움은 더욱 컸다. 새 정부의 첫 경축식이 지방분권의 상징인 세종시에서 열리는 것 자체만으로도 의미는 남다르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이날 세종시 대표 축제인 '2025 한글 축제'가 오전 8시 한글런과 함께 막을 올렸다. 김 총리가 이재명 대통령을 대신해 한글날 경축식을 세종시에서 열었..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1. 1년 넘게 이어진 유치전, 현주소 2. 치열한 3파전… 최적지는 어디? 3. '왜 충남인가' 수요자의 의견은 4. 단일화 여론… 미동 없는 정치권 제2중앙경찰학교 1차 후보지 3곳 가운데 충남 아산이 입지 여건에서 뚜렷한 우위를 보이고 있지만 충남 내부의 단일화 논의는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이 이 문제에 사실상 침묵하면서 단일화 논의가 표류할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이에 지역 정치권의 시선이 내년 지방선거에 쏠려있어 정치적 이해득실을 따지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앞서 1일 김태흠 충남지사는..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청년층 거주 비율이 높은 대학가 원룸촌 부동산 매물 중 허위·과장 의심 광고가 321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부는 10일 전국 대학가 원룸촌 10곳을 대상으로 인터넷 허위매물 광고를 점검한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7월 21일부터 8월 22일까지 약 5주간 진행했으며, 대상 지역은 서울 5곳, 대전 1곳, 부산 2곳, 경기 1곳 등 10곳이었다. 대전의 경우엔 유성구 온천2동이 대상이었다. 네이버 부동산, 직방, 당근마켓 등 온라인 플랫폼과 유튜브, 블로그, 카페 등에 올려진 중개 대상물 표시·광고 등 110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