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복만땅] 녹두장군 전봉준의 원래 이름은?

  • 문화
  • 오복만땅

[오복만땅] 녹두장군 전봉준의 원래 이름은?

[원종문의 오복만땅] 94. 녹두장군

  • 승인 2018-04-13 10:45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전봉준
녹두장군 전봉준
지난 주에 우리나라의 민족종교인 천도교(天道敎)의 시발점인 동학(東學)을 처음으로 창시한 최제우(崔濟愚)에 대해 살펴본바있는데 최제우의 다음세대 2대 동학교주로는 최시형(崔時亨)에게 그동안 깨닫고 정리한 동학 이념을 전수하여 전하게 하였고, 동학 제 2대 교주인 최시형으로부터 전라북도 고부지방의 동학접주로 임명되어 동학농민운동을 이끌었던 "녹두장군"에 대해 살펴본다.

조선말기인 1855년 (철종임금6년)에 전라북도 고부군 궁동면 양교리(현재는 전라북도 정읍군 이평면 장내리)에서 고부군 향교의 장의(掌議)라는 직책을 지낸 전창혁(全彰爀)에게 아들이 태어났다. 전창혁은 이름을 승록(承?)이라고 쓰기도 했는데 귀한 아들이 태어나자 "밝고 맑게" 살라고 이름을 "밝을 명(明)"자와 "맑을 숙"자를 써서 "명숙(明淑)" 이라고 지어 불렀다.

태어난 지역이 전북 고창군 고창읍 죽림리 63번지 라고 전해지기도 하는데 명숙을 낳은 아버지인 전창혁은 당시의 고부군수 조병갑(趙秉甲)이 온갖 못된 짓을 다하며 백성을 못살게 핍박하자 이에 저항하여 농민 몇 명과 고부군청에 쳐들어갔다가 붙잡혀서 모진 곤장을 맞고 죽 기직전에 풀려났으나 한 달 만에 결국 죽고 말았다.

어릴 때 아버지가 군청에 잡혀가서 곤장에 맞아죽은 이 사건은 전봉준이 훗날 동학농민운동을 전개하여 사회개혁의 큰 뜻을 품은 정신적인 문제와도 무관하지 않다.



밝게 살고, 맑게 깨끗하게 살라고 아버지가 지어준 "명숙(明淑)" 이란 이름보다도 "녹두장군" 이라고 많이 불러지게 된 것은 워낙 체구가 작고 왜소한데 생각이나 행동은 야무지고 똘똘하여 녹두콩알에 비유하여 "녹두장군"이라고 많이 불러지게 되었다.

아버지가 곤장을 맞아 죽게 되자 집안은 기울어지니 약초를 캐다 팔아서 생계를 유지하며 여러 가지 방술을 배우기도 하면서 떠돌다가 한때는 다섯 식구의 가장으로 농사를 지으며 동네아이들을 가르치기도 하였으나 "크게 발전되지 않으려면 차라리 멸족(滅族)되는 것만도 못하다" 는 말을 자주하며 마음 깊은 곳에 큰 꿈이 있었다.

1890년 35세 무렵에 이름을 명숙(明淑)에서 봉준(琫準)으로 바꾸고 동학의 제2대 교주 최시형(崔時亨)의 문하에 들어가 동학의 접주가 되었다. 동학에 입문하게 된 동기는 전봉준이 스스로 말하기를 "동학은 하늘을 공경하고 본마음을 지키는 경천수심(敬天守心)"의 도(道)를 바탕으로 충효(忠孝)를 근본으로 삼으며, 보국안민(輔國安民)을 위함이라 하였다.

전봉준은 동학(東學)을 바른 사회개혁의 지도 원리로 인식하고 농민의 입장에 서서 동학교도와 농민을 결합시킴으로서 농민 운동을 지도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농민운동이 농민봉기로 일어났던 원인 제공은 고부군수 조병갑이었으니 조병갑은 당시의 영의정 벼슬을 지내던 조두순(趙斗淳)의 조카로, 뒤를 봐주는 영의정을 믿고 세금은 규칙의 세배로 징수하고 온갖 못된 짓을 다하며 포악한 정치를 펼쳐서 백성의 원성이 하늘을 찌를 정도였다.

1893년 12월에 농민들은 동학접주 전봉준을 우두머리로 삼아 고부군 관아를 찾아가서 바른 정치를 해줄 것을 진정하였으나 받아드려지지 않았으며 쫓겨나고 말았다. 이에 전봉준은 다시 뜻있는 농민들을 모으고 사발통문을 작성하여 돌리면서 거사를 맹약하고 다음해인 1894년 2월15일에 동학농민군 천여 명을 이끌고 고부군 관아를 습격하여 지키던 관리를 살해하고 식량과 병기를 약탈하며 고부 군을 점령하였다.

고부민란을 일으킨 동학농민군에게 고부군 관아가 점령당하자 조병갑은 전주로 도망가고 동학농민군은 고부군의 무기고를 파괴하여 무장을 하고, 창고에 쌓여있던 세곡을 꺼내어 농민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조정에서는 부정부패한 관리 조병갑을 비롯하여 무능한 탐관오리를 처벌하고 장흥부사 "이용태(李容泰)"를 새로 안핵사로 삼고, 박원명(朴源明)을 고부군수로 보내어 수습하려 하였다.

그러나 안핵사로 내려온 이용태가 모든 잘못과 책임을 동학교도에게 돌리고 동학교도를 색출하여 체포, 감금하고 살해를 일삼으며 만행을 일삼자 1894년 3월 하순에 전국각지의 동학접주들에게 통문을 돌리고, 보국안민을 위하여 궐기할 것을 호소하였다.

전봉준은 백산에 거처하고 있었는데 백산에 집결한 동학농민군이 일만 명을 넘으며 여기에서 전봉준을 동학농민군 동도대장(東徒大將)으로 추대하였다.

동도대장 전봉준 은 손화중 김개남을 총 관령으로 삼아서 보좌하게 하고 격문을 작성하여 전국에 통문을 돌리고 보국안민의 기치를 내걸고 총 궐기할 것을 요청하니 농민 민란은 이제 "동학농민전쟁"으로 전환되게 되었다.

1894년 4월 4일에는 동학농민군이 전라북도 부안을 점령하고, 전주를 점령하고, 이어서 전라북도 정읍을 점령하고 흥덕 과 고창읍도 점령하며 파죽지세로 확장해 나갔다. 동학농민이 봉기하게 된 뜻을 재천명하며 4월 12일부터 4월 17일까지 닷새사이에도 전라도 영광지역과 함평지역과 무안일대를 진격하여 점령하고 4월 27일에는 전주성을 점령하고 장성지역을 점령하였다.

조정에서는 청나라에 지원병을 요청하여 인천에 청나라군대가 상륙하고 일본군도 톈진조약을 핑계로 개입하기에 이르렀다.

전봉준휘하의 남접 동학농민군 10만 여명과 동학 2대 교주 최시형을 다르던 손병희 가 이끄는 북접 동학농민군 10만 여명이 합세하여 논산에 모여들었다.

이때 지원군으로 들어온 청나라 군대와 일본군의 충돌로 청일전쟁이 일어나는 국면으로 전개되고 전봉준은 자신의 주력부대 일만 여명과 공주지역을 공격하다 우금치 전투에서 크게 패하고 정읍지역으로 피신했다가 전라남도 순창에서 지난날의 부하였던 김경천(金敬天)의 밀고로 전봉준은 일본군에게 12월 2일 체포되었다. 일본공사가 전봉준에게 잘못을 뉘우치고 일본에 충성하면 살려주겠다고 회유를 거듭했으나 단호하게 거절하며 "나 하나를 위해 살아온 내가 아니다" 하며 "나라를 위한 붉은 충성 누가 아리오." 하고 탄식하며 교수형에 생을 마치고 말았다.

일반 서민 농민들 중에는 하늘을 공경하며 바른 마음을 지키고 모두 평등하게 사람답게 살려고 몸부림치다가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작은 거인 "녹두장군"을 그리워하며 노래가사를 지어 부르니 입에서 입으로 방방곡곡 울려 퍼져나갔다.

"새야, 새야 녹두새야 녹두밭에 앉지 마라, 녹두꽃이 떨어지면 청포장수 울고 간다."

필자가 어릴 때에도 동네 할머니들에게서 많이 듣던 노랫말이다.

원종문 명인철학원 원장

원종문-명인철학관-원장
원종문 명인철학원 원장은 한국동양운명철학인협회 이사, 한국작명가협회 작명시험 출제위원장, 국제뇌교육대학원 성명학 교수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연세대 명리학 전문과정과 경희대 성명학 전문과정을 수료했습니다. '이름 전문가'로 활동하며 '한국성명학 총론', '명학신서', '이름과 성공' 등의 저서를 발표했습니다.

오복만땅컷최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통령실 인사수석에 천안 출신 조성주 한국법령정보원장
  2.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두고 김태흠 지사-김선태 의원 '공방'
  3. [촘촘하고 행복한 충남형 늘봄교육] 학생에게 성장을, 학부모에겐 신뢰를… 저학년 맞춤형 늘봄
  4. '빈집 강제철거 0건' 충남도, 법 개정에 빈집정비 속도 오를까
  5. 목원대 RISE사업단 현판식·발대식… 지역상생 혁신 생태계 본격화
  1. 코스피 역사상 최고치 경신…대전 상장기업도 '활약'
  2. 보완수사 존폐 기로… 검찰청 폐지안에 대전지검 긴장
  3. 천안 중앙고 출신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 2명 위촉 '화제'
  4. 충남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연구팀, 학술상과 우수초록상 수상 연구성과
  5. 한남대 김민주 교수 '네빈 S. 스크림쇼 상' 수상

헤드라인 뉴스


대전 바이오특화단지 지정 1년, 정부 예산은 아직?

대전 바이오특화단지 지정 1년, 정부 예산은 아직?

대전시가 국가첨단전략산업 바이오 특화단지로 지정된 지 1년이 지났지만, 사업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예산 편성 과정에서 국비 확보에 실패해 발목이 잡힌 것이다. 10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해 6월 산업부 국가첨단전략산업 바이오특화단지로 지정되면서 글로벌 바이오 혁신신약 클러스터 도약 목표를 세웠다. 지정된 산업단지는 891만㎡로 4곳이다. 조성을 마친 신동·둔곡과 대덕, 조성 예정인 탑립·전민(2028년 예정)과 원촌(2030년 예정) 산단이다. 지정된 특화단지는 정부 R&D예산 우선 배정부터 산업단지..

코스피 역사상 최고치 경신…대전 상장기업도 `활약`
코스피 역사상 최고치 경신…대전 상장기업도 '활약'

코스피가 세제 개편안 불확실성 해소 기대감으로 장중 3317.77까지 오르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코스닥 시장도 함께 들썩이는 상황으로, 국내 증시 훈풍 분위기와 함께 대전 상장사들의 성장세도 크게 두드러지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100일째를 맞은 10일 코스피 지수는 전장보다 54.48포인트(1.67%) 오른 3314.53으로 장을 마감했다. 특히 이날 기존 장중 사상 최고점인 3316.08 찍으며 4년 2개월 만에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지수 상승 견인은 외국인이 이끌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1조 37..

`성 비위` 논란부터 줄탈당까지...조국혁신당 위기 극복할까
'성 비위' 논란부터 줄탈당까지...조국혁신당 위기 극복할까

창당 이후 '성 비위' 논란에서 촉발된 내부 갈등으로 최대 위기를 맞이하고 있는 조국혁신당. 9월 11일 당무위원회를 통해 비상대책위원장에 추대될 조국 전 대표가 구원 투수로 나설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갑년 세종시당위원장과 강미정 전 대변인 등의 탈당에 이어 중앙당 지도부가 지난 7일 총사퇴했음에도, 당장 세종시당 등 당내 정비는 숙제로 남겨져 있다. 세종시당 전 운영위원들은 지난 8일 중앙당 윤리위원회의 최근 결정 2건에 대한 재심 청구서를 제출했다.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의 징계 청원 기각(사건번호 2025윤리16) △세종시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옷가게도 가을 준비 완료 옷가게도 가을 준비 완료

  • 사상 최고점 돌파한 코스피…‘장중 3317.77’ 사상 최고점 돌파한 코스피…‘장중 3317.77’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