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연의 산성이야기] 백제와 신라의 격전지… 백제 성왕의 아픔이 남아

[조영연의 산성이야기] 백제와 신라의 격전지… 백제 성왕의 아픔이 남아

제42회 관산성 아래 구천(狗川)에서의 비극

  • 승인 2018-04-20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6세기 무렵 신라는 빈번해진 백제와의 충돌에 상주(上州)를 사벌주에서 감문주(甘文州-김천 부근)로 옮기고 삼년산성을 중간거점으로 삼아 중엽에는 추풍령을 넘어 영동, 옥천 방면으로 진출, 육로와 수로를 확보하면서 서진에 박차를 가한다. 동시에 뒷날 사비 정벌의 루트로 양산(陽山)-금산(錦山) 방면을 개척하기 위해 힘을 썼다. 측근 김흠운 장군까지 보내어 양산 근처 조천성(助川城-대왕성?)에서 벌인 전투(655년)를 보면 알 수 있다. 신라는 백제군의 보복 공격에 삼년산군주 무력의 비장인 도도(都刀)의 군사들과, 가야에서 귀화 단양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한주(漢州-경기도 廣州)에서 크게 활약한 김무력(金武力) 등을 동원하여 관산성 일대에서 백제에 맞섰다.

이런 과정에서 지역 정보에 익숙한 도도는 간첩들을 통해 야간에 사비로부터 온 성왕이 步騎 오십(오천?)의 말을 탄 군사와 함께 관산성의 여창(성왕의 아들)을 만나러 밤에 간다는 첩보에 따라 구천(狗川)에서 매복, 성왕을 사로잡아 죽인 다음 총공격하여 백제군을 대패시켰다(동구의 산성. 동구문화원, 2002 pp165-171). 이 전투에서 백제는 왕과 4명의 좌평, 3만여 명의 병사를 잃은 채 여창은 군사 일부와 함께 겨우 탈출했다. 이때 성왕의 출발지를 노고성 밑 무중동(武中洞) 아니면 계현·성치 산성 방면이 아니었을까도 생각된다. 이후 위덕왕(여창) 무렵부터 꾸준히 많은 복수전들이 감행된다.

구진베루와
구진베루와 식장산 아래 무중동 일대/사진=조영연
<성왕 사지(聖王死址)>는 대체적으로 두 가지 견해가 있다. 하나는 역사 속에 등장하는 현재의 삼성산성을 관산산성으로 보고 지역에 전해 오는 전설에 근거를 둔 구진베루설(역사 기록 속의 狗川)이다(신라,백제 격전지. 지표조사팀. 2003). 다른 하나는 성왕 피살의 장소를 노고성 동편 아래로 보는 설이다. 환산성을 관산성으로 보는 견해(정영호, 백제 고리산성고. 백제문화 7,8호 합집, 1975)를 중심으로 노고산성 북쪽 끝 신라군과 이백리 근처에 '구천'과 통할 수 있는 '갯골'이 있으며 증약들을 사이하고 이백리성과 노고성의 백제군들이 각기 주둔해 싸웠다는 전설에 바탕을 둔 증약 근처설이다(옥천향지. 관성동호회, 1984).

이들 중 구진베루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대전에서 옥천진입 길목 삼양검문소에서 서쪽 37번국도 옥천-금산방면으로 약 1km 정도에 말무덤고개가 있다. 고개 오른쪽 절벽 아래 깊고 유유히 굽이도는 내가 서화천 중 성전천이다. 말무덤고개 아래 S자형 낭떠러지 일대가 성왕의 죽음과 연관된다고 추정되는 구천(狗川) 즉 구진베루다. 이곳은 서쪽 식장산 기슭 무중동(武中洞-오동리)과 삼성산의 중간쯤으로 굽이도는 구진베루는 양쪽에서 교묘히 감춰져 보인다. 무중동과 삼성산은 직선거리로 약 1.5km 정도 떨어져 있다. 무중동은 노고성과 숯고개산성을 배후로 한 식장산밑의 마을로 백제군 주둔지였다는 전설이 남아 있는 곳이다.

무중동
무중동/사진=조영연
성안
삼성, 서산, 삼양, 구진베루 일대/사진=조영연
삼성산 일대를 역사속 관산성(옥천성)이라고 본다면 무중동에서 여창이 들어가 신라땅 깊숙한 구타모라새 지점까지는 이미 백제군이 점령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 상황 속에서 방심하고 보기 오십을 대동하고 아들을 만나러 가던 성왕은 그 중간 지점인 구진베루에서 매복한 적군에 의해 불의의 습격으로 해를 입은 것이다. 도도는 이미 지형이나 성왕의 출동 등 백제측 동태를 간자를 통해서 파악하고 있었던 것이다. 역으로 이야기 하면 백제군은 첩보전에서 진 것이다. 육이오 전황을 반전시킨 맥아더의 인천상륙작전을 연상시킨다. 무중동(노고성)-구진베루-구타모라새(관산성 근처)의 무대에서 발생한 급박한 사건으로 배신한 신라에 대한 백제는 보복은커녕 경국의 대반전을 초래했다.

삼성산과 서산 사이는 원래 낮은 고개였으나 현재는 상당히 낮춰 남북을 연결하는 경부선철도, 경부국도, 고속도로 등 국토의 대동맥이 통과하는 대단히 중대한 교통요지다. 임진왜란, 최근의 6.25 전쟁마다 반드시 점령해야 한 곳이었다. 삼국시대도 미찬가지였기 때문에 삼성산성과 서산성을 양편에 축조해 방어에 이용했었다.

조영연 / '시간따라 길따라 다시 밟는 산성과 백제 뒷이야기' 저자

조영연-산성필자25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시 낙동강 가을꽃 향연… 3개 생태공원 이색적 풍경
  2. 전국캠핑족들, 대전의 매력에 빠져든다
  3. 10월 9일 '한글' 완전정복의 날...'세종시'로 오라
  4. '한글날 경축식', 행정수도 세종시서 개최 안되나
  5. 24일 대전시 국감... 내년 지선 '전초전' 촉각
  1. 579돌 한글날, 대전시청 광장에 울려 퍼진 한글 사랑
  2. 한산한 귀경길
  3. 최충규 대덕구청장,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목소리 청취 나서
  4.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헤드라인 뉴스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정부의 한글날 경축식마저 수도 서울의 전유물이어야 하나. 올해 제579돌 경축식 역시 서울 몫이 됐다. 이재명 새 정부의 정무적 판단이 아쉬운 10월 9일 한글날이 되고 있다. 국무조정실이 정부세종청사에 있고 김민석 총리 주재의 경축식이었던 만큼, 아쉬움은 더욱 컸다. 새 정부의 첫 경축식이 지방분권의 상징인 세종시에서 열리는 것 자체만으로도 의미는 남다르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이날 세종시 대표 축제인 '2025 한글 축제'가 오전 8시 한글런과 함께 막을 올렸다. 김 총리가 이재명 대통령을 대신해 한글날 경축식을 세종시에서 열었..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1. 1년 넘게 이어진 유치전, 현주소 2. 치열한 3파전… 최적지는 어디? 3. '왜 충남인가' 수요자의 의견은 4. 단일화 여론… 미동 없는 정치권 제2중앙경찰학교 1차 후보지 3곳 가운데 충남 아산이 입지 여건에서 뚜렷한 우위를 보이고 있지만 충남 내부의 단일화 논의는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이 이 문제에 사실상 침묵하면서 단일화 논의가 표류할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이에 지역 정치권의 시선이 내년 지방선거에 쏠려있어 정치적 이해득실을 따지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앞서 1일 김태흠 충남지사는..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청년층 거주 비율이 높은 대학가 원룸촌 부동산 매물 중 허위·과장 의심 광고가 321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부는 10일 전국 대학가 원룸촌 10곳을 대상으로 인터넷 허위매물 광고를 점검한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7월 21일부터 8월 22일까지 약 5주간 진행했으며, 대상 지역은 서울 5곳, 대전 1곳, 부산 2곳, 경기 1곳 등 10곳이었다. 대전의 경우엔 유성구 온천2동이 대상이었다. 네이버 부동산, 직방, 당근마켓 등 온라인 플랫폼과 유튜브, 블로그, 카페 등에 올려진 중개 대상물 표시·광고 등 110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