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 호기심 왕성한 청소년 몸캠 피싱 '표적'

  • 사회/교육
  • 사건/사고

성적 호기심 왕성한 청소년 몸캠 피싱 '표적'

성인 주된 타깃에서 청소년으로 범죄 대상 연령층 낮아져
피싱 조직 중국, 동남아 등 본거지 두고 활동해 검거 어려워
경찰 국가 간 공조로 몸캠 피싱 조직 소탕 시스템 구축 필요

  • 승인 2018-09-30 11:07
  • 신문게재 2018-10-01 7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몸캠
성적 호기심이 왕성한 청소년이 몸캠 피싱 표적이 되고 있다.

피싱 조직이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으로 음란 영상 채팅을 하자고 유도한 뒤 음란행위를 녹화해 협박하는 수법인데, 중국과 동남아에 본거지를 두고 활동해 검거가 쉽지 않다.

30일 대전 경찰 등에 따르면 성인이 주된 타깃이던 몸캠 피싱이 청소년에게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피해자는 대부분 남성이다. 녹화된 영상 안에 자신의 알몸이 노출돼 신분 노출을 꺼려 신고를 피하는 이들도 대다수다. 몸캠 피싱 수법은 간단하다. 남성에게 여성인 척 휴대전화로 접근해 음란채팅을 빌미로 영상통화를 유도한다.

실제로 여성이 등장해 남성을 속인 뒤 남성의 옷을 벗게 만든 뒤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핑계로 피해자의 휴대전화로 파일을 전송한다. 파일명은 apk, zip, rar 등이다. 피해자가 전송받은 파일을 설치하고 실행하면 자동으로 피의자에게 전화번호부가 모두 전송된다. 범죄 조직은 피해자에게 해당 영상을 유포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돈을 요구한다.



한 번 시작된 협박은 끈질기다. 피싱 조직이 영상 삭제팀과 유포팀 등으로 나뉘어 있어 돈을 여러 차례 요구한다. 일정 기간이 지난 이후 또다시 연락을 해와 돈을 요구하기도 한다.

문제는 청소년까지 범죄 대상 연령층이 낮아졌다는 점이다. 피싱 조직은 청소년 피해자가 친구들과 주변 지인에게 알려질까 느끼는 두려움을 노린다. 넘어간 주소록을 통해 1차적으로 부모에게 연락해 돈을 요구한다.

그러나 현재로선 경찰도 손을 쓰긴 역부족이다. 피싱 조직이 국내가 아닌 해외 등지에서 활동하고 있어 우두머리 검거에 어려움을 겪는다. 경찰 관계자는 "경찰은 몸캠 피싱 조직단이 조직적으로 형성되고, 대포통장을 이용하고나 IP주소 등을 우회적으로 사용해 수사의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검거도 인출책에 그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국가 간 공조가 이뤄져야 조직 소탕이 가능하다"며 "실수로 몸캠 협박에 당했을 땐 휴대전화를 초기화하고 가해자가 심어둔 해킹프로그램을 지우는 게 최우선이고, 전화번호를 바꾸고 기존 휴대전화 메신저는 모두 탈퇴해 협박을 피해야 한다. 청소년들이 호기심에라도 몸캠을 하지 않도록 관련 홍보로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두고 김태흠 지사-김선태 의원 '공방'
  3. 대통령실 인사수석에 천안 출신 조성주 한국법령정보원장
  4.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5.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1.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2.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3. '빈집 강제철거 0건' 충남도, 법 개정에 빈집정비 속도 오를까
  4.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5. [촘촘하고 행복한 충남형 늘봄교육] 학생에게 성장을, 학부모에겐 신뢰를… 저학년 맞춤형 늘봄

헤드라인 뉴스


교수들도 지역대 떠난다… 이공·자연계열 이탈 심화

교수들도 지역대 떠난다… 이공·자연계열 이탈 심화

최근 5년간 충청권 국립대학에서 타 대학·기관 등으로 이직한 교수 절반 이상이 이공·자연계열인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해외로 떠나는 수도권 대학교수들이 늘면서 비수도권 대학교수들이 수도권으로 향하는 연쇄 이탈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에서 지역별 국가 첨단산업 인재 육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우수교원들이 지역을 떠나는 것이다. 9일 국회 교육위 서지영 의원실이 최근 발표한 '전국 국립대 교수 이직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2021년~2025년 5월) 충남대·충북대 등 전국 지방거점국립대 9곳에서 이직한 교수는 3..

공중화장실에 남긴 흔적… 청소 관리자에겐 하루의 전쟁
공중화장실에 남긴 흔적… 청소 관리자에겐 하루의 전쟁

대전의 한 전통시장 공중화장실. 문을 열자 바닥에 흩어진 휴지 조각이 눈에 들어왔다. 몇몇 변기 칸은 이물질로 막혀 사용할 수 없었고, 비누통은 텅 비어 있었다. 휴지통이 없으니 누군가는 사용한 휴지를 변기 뒤편에 숨겨두고 갔다. 무심코 남긴 흔적은 청소 노동자에게는 전쟁 같은 하루를, 다른 이용자에게는 불쾌한 경험을 남긴다. 사회 전반의 시민의식 수준이 높아졌다는 평가와 달리, 공중화장실만큼은 여전히 우리의 부끄러운 민낯이 드러나는 공간이었다. 9일 중도일보는 대전의 한 전통시장과 천변 공중화장실을 관리하는 청소 관리자를 현장에서..

보완수사 존폐 기로… 검찰청 폐지안에 대전지검 긴장
보완수사 존폐 기로… 검찰청 폐지안에 대전지검 긴장

정부가 검찰청을 해체하고 기소·수사권을 분리하는 조직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보완수사권 존폐 논란이 재점화됐다. '검수완박'이라 불린 2021년 형사소송법 개정 때 검사장이 직접 기자회견을 열고 평검사들이 전국회의 소집을 요구했던 대전지검은, 지금은 겉으론 평온하지만 내부에선 일손을 잡지 못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최근 발표된 정부조직법 개정안은 검찰청을 해체하고 기소 권한을 법무부 산하의 공소청으로, 수사 기능을 행정안전부 산하의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으로 분리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검사가 보안수사를 실행할 수 있느냐는 이번 개정안 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