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 진짜 행복, 마음 안에서 찾으세요!

  • 오피니언
  • 편집국에서

[편집국에서] 진짜 행복, 마음 안에서 찾으세요!

  • 승인 2019-05-15 13:10
  • 신문게재 2019-05-16 22면
  • 한세화 기자한세화 기자
한세화인물사진
한세화 미디어부 기자
늦잠 자는 날을 제외하고 아침잠에서 깨자마자 하는 일이 있다. 밤새 누워있던 몸을 최대한 가만히 일으켜 앉아 명상을 한다. 최근 3년 전까지 명상원을 오가며 명상수행을 했었다. 당시에는 출근이 오후라 오전 시간엔 명상원에 가 있는 날이 많았다. 그러다 둘째아이를 낳고 키우면서 물리적 여건이 달라져 자연스럽게 중단이 됐다.

나에게 명상수행, 정확히 말해 '명상 상태의 의식으로 생활하기'는 2007년부터다. 결혼생활 4년차 무렵, 길지 않은 시간 동안 결혼, 임신과 출산, 육아에 재취업까지… 몸마음이 많이 지쳤을 때 명상원 스님과의 인연은 시작됐다. 스님은 나를 처음 본 날, 다짜고짜 우주의 섭리 얘기를 하셨다. 그 내용은 내 뇌가 받아들이기에 너무 큰 이야기였고 부담스럽기만 했다. 그럼에도 스님과의 인연은 계속됐고, 뜬구름 잡는 듯한 이야기에 대해 막연한 의구심이 들면서 호랑이굴에 뛰어드는 심정으로 수행을 해보기로 마음먹었다.



내 경험에 비추어 명상수행은 과학이었다. 1mm의 오차도 허용하지 않았다. 내면의 장애와 그로 인한 괴로움, 그 괴로움에서 기인한 바깥현상과의 함수관계는 놀라울 만큼 정교하게 작동했다. 이렇게 수행은 나에게 몸의 회복과 얼룩진 마음의 치유를 선물해줬다. 이전에는 "난 아무 문제가 없는데 상대방이 이상하다"는 논리에 갇혀 매사 주변 탓, 환경 탓만 하던 매력 없는 인간이었다. 물론 지금 매력이 넘친다는 얘기는 아니다. 이제야 겨우 남들과 비슷해진 정도다. 스스로 만든 괴로움으로 병들고 삐뚤어진 상태를 수행을 통해 하나씩 바로잡을 수 있었다. 그 덕에 몸마음이 가벼워졌고,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볼 여유도 생겼다.

명상은 독실한 불자들만 한다는 생각은 편견이다. 난 전혀 독실하지 않다. 명상수행은 종교 이념에 맞추기보다는 인문학, 과학과 많이 닮아있는 영성치유의 한 방편이다. 불교는 모든 종교 중 유일하게 '신(神)'이 없는 종교다. 그런 관점에서 종교로 분류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부처는 신적 존재가 아닌 현존했던 인간으로서 '고집멸도(苦集滅道)' 즉, 무지(無知)에서 비롯된 괴로움을 멸해 지고한 평안에 이르는 길에 대해 49년간 설법한 선각자다. 진정한 행복은 아파트값이 올랐을 때의 기쁨이나 승진했을 때의 성취감이 아닌, 오직 '마음 비움'으로만이 얻어지는 희열이다.



지난 12일은 불기 2563년 '부처님오신 날'이었다. 국내 종교 중 불교 비율은 35%로 전체 중 3분의 1이 넘게 차지한다. 조계종의 경우 사찰수 3185개, 승려수 1만3327명에 신도수가 1200만명에 달한다. 우리나라 불교는 상당 부분 '기복(祈福)신앙' 차원으로의 발전이 크다. 하지만 이젠 변화해야 한다. 복을 바라기만 하는 의타적 자세가 아닌, 내면을 고요히 두어 스스로 복을 짓는 작복(作福)신앙으로써 종교를 마주할 필요가 있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미추홀구, ‘시 특색 가로수길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4.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5.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1. 대전상의, 청양지회-홍성세무서장 소통 간담회 진행
  2.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3. 이장우 시장 맞은 충남대병원, "암환자 지역완결형 현대화병원 필요" 건의
  4.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5. 공공사업 낙찰 규모 계룡건설산업 연말에 1위 탈환할까

헤드라인 뉴스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민선 8기 대전시가 도시 체질을 완전히 개선하며 'NEXT대전' 만들기에 집중하고 있다. 근대도시를 거쳐 철도 중심 도시와 과학도시를 거치면서 150여만명의 인구가 살아가는 대전에 공간은 물론 산업과 문화 구조를 변화시키며, 미래 일류도시로 나아가고 있다. 대전시는 기존에 갖고 있던 대덕특구를 기반으로 한 과학도시에서 6대 전략 산업 'ABCD+QR(나노·반도체, 바이오, 우주, 국방, 양자, 로봇·드론)'을 중심으로 육성하면서 기술 사업화에 초석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를 뒷받침 할 수 있게 안산, 교촌, 원촌, 장대도첨, 탑립·..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