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 등 굽은 소나무

  • 오피니언
  • 세상읽기

[세상읽기] 등 굽은 소나무

윤희진 경제사회부장

  • 승인 2019-08-14 10:57
  • 신문게재 2019-08-15 15면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1윤희진(온라인용)
윤희진 부장
소나무(Pine Tree)의 이름은 다양하다.

백과사전에는 ‘솔’과 ‘솔나무’, ‘소오리 나무’를 모두 소나무로 쓴다. 한반도를 비롯해 중국 북동부와 일본 등에 주로 많다. 3국의 질기고 질긴 인연으로 뿌리를 내린 나무가 아닐까 한다.

하늘로 시원하게 뻗으면 높이 35m에 달하고 지름도 2m에 육박한다. 바늘처럼 생긴 잎은 2개씩 있으며 줄기는 단단하다. 송진이 들어 있어 잘 썩지 않으며 깊은 향이 배어 있다.

5월에 꽃이 피는데, 노란색인 수꽃이 먼저 핀 후에 자주색의 암꽃이 자태를 드러낸다. 꽃이 만발하면 온 세상은 노란 꽃가루(송화)로 뒤덮인다. 열매는 알다시피, 솔방울이다. 겨울에도 가지에 매달려 있을 정도지만, 색깔은 붉은 갈색에서 검은 갈색으로 바뀐다.



쓰임새도 다양하다.

당뇨를 비롯해 산후풍, 신경통, 소화불량, 골다공증, 종기, 고혈압, 두통 등을 완화하는 데 좋다고 해서 약용으로도 많이 쓰인다. 물론, 차(茶)나 술, 그리고 식초, 다식 등에도 빠질 수 없다. 송진은 고약의 원료이기도 하다.

생김새에 따라 다른 생(生)을 살기도 한다.

보면서 즐기는 위한 관상용을 비롯해 정자목(亭子木), 신목(神木), 당산목(堂山木)처럼 보호받는 특별한 ‘숙명’을 가진 소나무가 있다. 하늘로 곧게 뻗은 소나무는 가구나 건축, 선박, 차량, 악기 등 인간의 도구로 이용되기도 한다.

소나무 중에 가장 볼품없고 인기가 없는 건 ‘등 굽은 소나무’다.

말 그대로, 잘 생기도 못하고 곧게 뻗지도 못해 인간에게 외면받는 소나무다. 산(山)에서 태어나 산에서 생을 접는 소나무 대부분은 등이 굽은 야산의 소나무다.

비록 볼품없고 흔하지만, 오랫동안 한반도의 산을 지켜온 건, 등 굽은 소나무들이다. 능력 있고, 잘난 수많은 소나무가 떠났지만, 묵묵히 땅을 지탱해왔다. 숱한 고난과 풍파에도 등 굽은 소나무들은 서로를 의지하며 어려움을 극복해왔다.

인류가 태동한 이후 한겨레가 한반도를 지켜오고 지탱해온 것과 마찬가지다. 지금은 중국땅이 된 요동과 요하, 간도는 물론 러시아 연해주까지 잃을 정도로 시련의 역사였지만, 그 땅에 발을 딛고 사는 사람은 한(韓)민족이다.

고구려와 신라, 백제 혹은 그 이전부터 고려, 조선, 대한제국, 대한민국 등 이름은 달라졌지만, 이 땅에 뿌리를 내리고 사는 이들은 한민족이다. 바로, 내세울 것 없는 민초(民草)이다.

잃을 게 많은 숱한 귀족과 인텔리들은 명분과 대세를 내세우면서 무릎을 꿇었지만, 내세울 것 없는 민초는 꿋꿋이 땅을 지켜왔다. 그래서 민들레와 같은 잡초가 무섭다. 밟고 밟아도 살아나고 뽑고 뽑아도 이듬해 새싹이 돋기 때문이다.

‘경제왜란’이라고 한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일제강점기에 이어 네 번째다. 일본이 한반도를 짓밟던 혼돈의 시기, 그때마다 사익을 얻기 위해 '백성', '국민'을 남발하며 항일을 막아선 세력들이 있었다.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로 촉발된 지금도, 화살을 내부로 겨누고 있는 이들이 있다. 국난 때마다 맞서 싸우지 않고 항상 무릎을 꿇어왔던 과거의 그들과 달라 보이지 않는다.

그래도 문제는 없다. 언제나 그랬듯이 민초가 나라를 지켜왔기 때문이다. 등 굽은 소나무처럼 말이다.

윤희진 경제사회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행정수도 개헌' 이재명 정부 제1국정과제에 포함
  2. 대덕공동관리아파트 이재명 정부에선 해결될까… 과기인 등 6800명 의지 모여
  3. 대전 죽동2지구 조성사업 연내 지구계획 승인 받을까
  4. '팔걷은 대전경찰' 초등 등하굣길 특별점검 가보니
  5. '시가 총액 1위 알테오젠' 생산기지 어디로?… 대전시 촉각
  1. 충남대병원 등 48개 공공기관,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
  2. 대전대, 70대 구조 중 숨진 故 이재석 경사 추모 분향소 연다
  3. 대전교도소 금속보호대 남용·징벌적 사용 확인…인권위 제도개선 주문
  4.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5. [2026 수시특집-대덕대] 교육수요자 중심의 미래형 인재를 양성하는 직업교육 중심 대학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공공기관 2차이전 로드맵 지방선거 前 확정 시험대

李정부 공공기관 2차이전 로드맵 지방선거 前 확정 시험대

이재명 정부가 16일 국정과제를 확정한 가운데 이에 포함된 공공기관 제2차 이전 로드맵을 내년 지방선거 전 확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국가균형발전 마중물인 이 사안을 두고 선거용으로 활용한 역대 정부 전철(前轍)을 되풀이 하지 않고 이재명 정부 균형발전 의지를 증명하기 위함이다. 이와 함께 1호 국정과제인 개헌 추진과 관련해 560만 충청인의 염원인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수도조항 신설을 정치권에 촉구하는 것도 충청권의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는 이날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지난달 13일 국정기획위원회..

`시가 총액 1위 알테오젠` 생산기지 어디로?… 대전시 촉각
'시가 총액 1위 알테오젠' 생산기지 어디로?… 대전시 촉각

코스닥 시가총액 1위, 국내 탑클래스 바이오 기업 알테오젠이 첫 생산 기지 조성에 시동을 걸면서 대전시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대전과 인천 송도 중 신규 공장 부지를 놓고 고심하는 알테오젠을 지역으로 끌어오기 위해 행정당국은 지속해서 러브콜을 보내는 것이다. 국내 굴지의 바이오 기업 알테오젠 생산기지 확보는 고용창출과 세수확충 등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것으로 보여 성사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16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대전에 본사를 둔 바이오 기업 알테오젠이 자체 공장 건립에 나선다. 현재 알테오젠은 자체 생산 시설이 없다...

대전 삼계탕 평균 1만 7000원 육박... 1만원으로 점심 해결도 어렵네
대전 삼계탕 평균 1만 7000원 육박... 1만원으로 점심 해결도 어렵네

대전 외식비 인상이 거듭되며 삼계탕 평균 가격이 1만 7000원을 목전에 두고 있다. 지역 외식비는 전국에서 순위권에 꼽히는 만큼 지역민들의 부담은 갈수록 커지는 모습이다. 16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8월 대전 외식비 평균 인상액은 전년 대비 많게는 6%에서 적게는 1.8%까지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가장 큰 상승폭을 보인 건 김치찌개 백반이다. 직장인들이 점심시간 가장 많이 찾는 대전 김치찌개 백반 가격은 8월 1만 200원으로, 1년 전(9500원)보다 7.3% 상승했다. 이어 삼계탕도 8월 평균 가격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한민국 대표 軍문화축제 하루 앞으로 대한민국 대표 軍문화축제 하루 앞으로

  • ‘청춘은 바로 지금’…경로당 프로그램 발표대회 성료 ‘청춘은 바로 지금’…경로당 프로그램 발표대회 성료

  •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