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고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고

김명주 충남대 교수

  • 승인 2019-09-30 09:55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김명주-충남대-교수
김명주 충남대 교수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는 말은 폭력적이다. '부분'을 보면 '전체'를 파악할 수 있다는 말인데, 이는 오류고, 그런 오류는 십중팔구 폭력을 초래한다. 물론 부분을 보면 전체를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는 경우도 있긴 하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추측일 뿐, 추측을 확실시하면 독선과 오만에 빠진다.

선생으로서 내가 항상 경계하는 것이 있다. 내 강의에 기울이는 관심과 집중이라는 '부분'으로 학생의 '전체' 인격을 판단하지 않는 것이다. 당연한데 종종 잊을 때도 많다. 비록 내가 가르치는 수업에서 딴전피고 시험도 엉망일지라도, 졸업 후 어디선가 훌륭하게 제 몫을 다하는 경우를 수없이 보았다. 내 강의에서 보여준 무관심은 그들의 작은 조각일 뿐, 그들 인격의 전부는 아니었던 것이다.

얼마 전 지인의 추천으로 마셜 B. 로젠버그의 책, 『비폭력 대화』라는 책을 읽었다. 일상적인 말들이 왜 폭력적일 수 있는지 깨닫게 해주었다. 이를테면, 아이가 실수로 꽃병을 깼다고 치자. 그럴 때 만일 부모가 "너는 왜 그렇게 조심성이 없니"라고 말했다면, 이는 꽃병을 깨는 일회적/부분적 사실을 가지고 아이를 '조심성 없는 아이'로 일반화시켜버린 것이다. 이 말은 아이에게 큰 상처를 준다. 실수 하나로 졸지에 "조심성 없는 아이"로 낙인이 찍혔기 때문이다. 일회적 실수로 인격 전체를 초토화당하는 경우는 아주 흔하다. 부부관계에서 일어나는 많은 분쟁은 언어에서 촉발되는 경우가 많다. 사소한 일로 시작된 언쟁이 "당신은 이기적이야," "당신은 무능해," 등등 부분적 일화를 전체 인격으로 확장하는 폭력적 일반화는 결국 서로에게 깊은 상처를 남기고, 결코 사소하지 않는 분쟁으로 끝나고 만다.

최근, 한 지식인에게 한 작가가 쏟아낸 트위터 비난을 읽고 나는 정말이지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난 평소 그 작가를 좋아했다. "의자놀이" "무소의 뿔처럼" 등등 그녀의 용감한 지성에 늘 찬사를 보내왔다. 그런데 이게 어인일인가. 그가 오랫동안 싸워온 민주주의란 설사 의견이 달라도 존중할 수 있는 품위와 예의가 아니던가. 서로 의견이 다르다는 이유로, 상대방에게 박사도 못 딴 것을 보니 머리가 나쁘다는 둥, 돈과 권력만 주면 자한당에도 가겠다는 둥, 동양대학을 먼 시골대학이라 부르면서 지방대학을 은근히 폄하하기도 했다. 진영논리도 싫고, 제 허물은 아랑곳없이 후벼대는 후안무치도 싫으니, 이도 저도 지지할 수 없는 지식인의 딜레마를 비난하는 그는 자기 맘에 들지 않는 '부분'을 인격 '전체'으로 확장하여 초토화하려는 폭력성의 전형이었다.



신념의 관철을 위해서는 인신공격도 서슴지 않는 것이 그의 이념이었나? 중심/주변, 남자/여자, 이성/감성, 인간/자연, 서울/지방, 지배층/피지배층, 엘리트/대중, 제국/식민지, 각각의 대립 쌍에 각인된 오래된 위계를 해체하는 것, 그래서 좀 더 자유롭고 평등한 복지사회를 만들어 보자는 것이 진보이념이 아니었던가? 소위 진보를 자처하는 인사의 입에서 시골대학과 학력을 운운하고, 돈과 권력 추구라는 도무지 당치 않은 비방은 그의 평소 명민한 지성이 어디로 실종된 것인지 의아하지 않을 수 없었다.

나는 새삼 '지성'이 무엇인지 묻게 된다.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고 확신하고, 자신의 입장만 옳다고 확신하는 사람은 위험하다. 그런 확신은 교조주의와 광신주의의 본질이다. 롤로 메이는 이렇게 말한다. "확신에 찬 사람은 반대를 진정시키기 위해서 뿐 아니라 자신의 무의식적 의심을 진정시키기 위해서 갑절로 저항해야 한다," "갑절의 저항"이 바로 인신공격으로 표현된 건 아닐까. 지성은 부분과 전체를 구분하고, 자신의 신념에 전념하면서도 의심할 수 있는 능력이다. 그런 지성이 그립다.

김명주 충남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지역 9개 대학 한자리에… 대전 유학생한마음대회 개최
  2. "준비 안된 채 신입생만 받아"… 충남대 반도체 공동 연구소 건립 지연에 학생들 불편
  3. [편집국에서]배제의 공간과 텅빈 객석으로 포위된 세월호
  4. '복지부 이관' 국립대병원 일제히 반발…"역할부터 예산·인력충원 無계획"
  5. "광역교통망 수도권 빨대 효과 경계…지역주도 시급"
  1. ‘수험생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2. 태권도 무덕관 창립 80주년 기념식
  3. [건강]대전충남 암 사망자 3위 '대장암' 침묵의 발병 예방하려면…
  4. '수도권 대신 지방의료를 수술 대상으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우려'
  5. 설동호 대전교육감 "수험생 모두 최선의 환경에서 실력 발휘하도록"

헤드라인 뉴스


조선선박 600년만에 뭍으로… ‘태안 마도4호선’ 인양 완료

조선선박 600년만에 뭍으로… ‘태안 마도4호선’ 인양 완료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현존 유일의 조선시대 선박이 '마도4호선'이 600여 년 만에 수면 위로 올라왔다.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이하 연구소)는 지난 4월부터 태안 마도 해역에 마도4호선의 선체 인양 작업을 진행해 지난달 완료했다고 10일 밝혔다. 마도4호선은 10년 전인 2015년 처음 발견됐으나 보존 처리를 위해 다시 바닷속에 매몰했다가 10년 만에 인양됐다. 연구소에 따르면, 이 선박은 15세기 초에 제작된 조운선(세곡 운반선)으로, 전라도 나주에서 세곡과 공물을 싣고 한양 광흥창으로 향하던 중 침몰한 것으로 추정된다...

"불꽃축제, 대전 하늘에 수놓는다"...30일 밤 빛의 향연
"불꽃축제, 대전 하늘에 수놓는다"...30일 밤 빛의 향연

이장우 대전시장은 10일 주재한 주간업무회의에서 한화 불꽃축제 개최의 안전대책과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 확대, 예산 효율화 등을 지시했다. 이 시장은 대전시 한화 불꽃축제 개최와 관련해 "축제 방문자 예측을 보다 넉넉히 잡아 대비해야 한다"며 "예측보다 더 많은 방문객이 몰리면 안전과 교통에 있어 대책을 담보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화구단은 30일 한화이글스 창단 40주년과 한국시리즈 준우승을 기념해 대전 엑스포과학공원 및 엑스포다리 일원에서 불꽃축제를 개최한다. 불꽃놀이와 드론쇼 등 대규모 불꽃 향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이 시장은..

[대전 유학생한마음 대회] "코리안 드림을 향해…웅크린 몸과 마음이 활짝"
[대전 유학생한마음 대회] "코리안 드림을 향해…웅크린 몸과 마음이 활짝"

8일 대전시사회서비스원이 주최한 2025년 제9회 대전 유학생 한마음 대회를 방문했다. 대전 서구 KT인재개발원 실내체육관에 도착했을 때 우리가 마주한 건 엄청난 활기였다. 제기차기, 딱지치기, 투호 등의 한국 전통 놀이를 850명 가까운 유학생들이 모여 열중하고 있었다. 곳곳에서 터져 나오는 환호와 아쉬움의 탄성, 그리고 땀과 흥분으로 데워진 공기에 늦가을의 추위가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 후끈 달아오른 공기는 식을 틈이 없었다. 이어진 단체 경기, 그중에서도 장애물 이어달리기는 말 그대로 국제 올림픽의 현장이었다. 호루라기가 울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

  • ‘보행자 우선! 함께하는 교통문화 만들어요’ ‘보행자 우선! 함께하는 교통문화 만들어요’

  • ‘수험생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수험생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 ‘황톳길 밟으며 가을을 걷다’…2025 계족산 황톳길 걷기대회 성료 ‘황톳길 밟으며 가을을 걷다’…2025 계족산 황톳길 걷기대회 성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