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3강 엄이도령(掩耳盜鈴)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3강 엄이도령(掩耳盜鈴)

장상현 / 인문학 교수

  • 승인 2020-01-21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엄이도령(掩耳盜鈴)은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고사성어는 '얕은 꾀를 써서 남을 속이려하나 아무 성과가 없다는 것과 남의 말을 듣지 않고 독선적이고 어리석은 사람'을 비유한 내용을 포함한다.



사건의 내용을 요약해본다.

춘추(春秋)시대 진(晉)나라의 범(范)씨 가문이 몰락하자, 어떤 어리석은 도둑이 범씨가 소유했던 귀중한 종(鍾)을 훔치러 들어갔다. 종을 등에 지고 가려고 했으나 종이 너무 커서 짊어질 수가 없었다. 이 사람은 고민을 거듭하다가 자기만의 지혜를 발휘하여 종을 깨뜨려 조각내어 가져가기로 하고 망치로 종을 내리쳤다.



그러자 갑자기 종에서 천지를 진동하는 듯한 소리가 나자 다른 사람이 듣고 빼앗아갈까 봐 급히 자기 귀를 틀어막았다. 남이 듣는 것이 싫은 것은 그럴 수 있다지만, 자기가 듣는 것을 싫어하는 것은 도리에 어긋난 일이다.

백성들의 왕이 되어 그 잘못을 간언(諫言)하는 것을 듣기 싫어하는 것이 어찌 이와 같은 경우와 다르겠는가! 백성들이 왕의 잘못을 말하는 것은 오히려 나라의 부흥을 일으키는 조언이다.

여씨춘추(呂氏春秋) 불구론(不苟論)에서는 이 이야기를 쓴 후에 임금이 바른 말을 하는 신하를 소중히 여긴 실례로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위문후(魏文侯)가 신하들과 술을 마시며 대부들에게 위문후 자신에 대해 논하도록 했다. 어떤 사람은 왕이 지혜롭다고 말했다. 임좌(任座)의 차례가 되었다.

"왕께서는 불초(不肖)한 왕입니다. 중산(中山)을 멸한 뒤 공로가 지극한 왕의 동생을 봉(封)하지 않고 아무 공(功)이 없는 아들을 봉했습니다. 이로써 왕이 불초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문후가 불쾌한 표정을 짓자 임좌는 그곳을 뛰쳐나갔다. 적황(翟黃) 차례가 돌아오자 적황은"왕은 어진 왕입니다. 왕이 어질어야 신하가 바른 말을 할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방금 임좌가 바른 말을 하는 것을 보니 이로써 왕이 어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문후는 곧 다시 임좌를 부른 후 몸소 계단 아래까지 나가 그를 맞이하고 상좌에 앉게 했다.

우리는 여기서 왕은 독단적인 강행을 금하고, 소통의 시간을 많이 갖고 실천하여야 함과 자신의 행위를 뒤돌아보고, 잘못을 고쳐 나간다는 작은 지혜를 얻을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일어난 웃지 못 할 또 하나의 이야기는 이렇다.

지하철 안은 대체로 조용하다.

모두들 고개를 아래로 하고 휴대폰만 들여다본다. 그러한 자세이므로 서 있는 사람은 1인이 아니라 1.3인 정도의 공간을 차지한다. 가방까지 멘 경우는 더하다.

어느 한 사람이 이어폰을 꽂고 앉아 동영상을 보며 낄낄거리며 재미있는지 혼자 웃기도 하면서 즐기다가 문득 고개를 들고 주위를 두루 살핀다. 그는 방귀를 참다가 동영상의 음악이 가장 시끄러운 대목에서 이때다 하고 힘주어 한방 내 질렀다. 그런데 사방에서 눈총을 쏘는 것이 아닌가! 그 친구는 "어! 어떻게 알았지?" 이어폰을 낀 자기만 방귀소리를 듣지 못했던 것이다.

'꿩은 머리만 풀에 감춘다.'는 속담이 있다.

맹금(猛禽)에게 쫓기던 꿩이 제 몸을 숨긴다는 것이 겨우 머리만 풀 속에 묻는다는 뜻이다.

어리석은 자는 자기가 현명하다고 생각하고,

현명한 사람은 자기가 어리석은 사람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셰익스피어)

위의 고사는 임금이 바른말을 하는 신하를 소중히 여겨야 한다는 것이다. 자기가 듣지 못한다고 남도 자기의 잘못을 모르는 줄 아는 지도자는 엄이도령(掩耳盜鈴)의 도둑과 똑같다.

비슷한 말로 엄목포작(掩目捕雀) 폐목포작(閉目捕雀)을 들 수 있다.

눈을 가리고 참새를 잡는다는 뜻인데, 제 눈을 가리면 참새가 나를 못 본다고 생각하는 어리석음을 말한다.

눈 가리고 아웅, 눈 감고 아웅, 눈 벌리고 아웅, 귀 막고 아웅, 다 비슷한 속담이다.

良藥苦口而利於疾忠言逆耳而利於行(양약고구이리어질충언역이이리어행)

몸에 좋은 약은 입에 쓰나 병에는 이롭고, 충언(忠言)은 귀에 거슬리나 행함에 이롭다.

쓴 소리 듣기 좋아하고 자기 뜻에 거스르는 사람을 좋아할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되겠는가? 그러나 큰일을 이루고 정의롭고 안정된 조직을 반석에 세우기 위해서는 언로를 개척하고, 바르고 사심 없는 신실한 사람을 모아야 한다. 그리고 그들에게 맘껏 일하고 바른 말 할 여건을 마련해줘야 한다.

성경말씀에도 "너는 마음을 다하여 여호와를 의뢰하고 네 명철을 의지하지 말라…. 스스로를 지혜롭게 여기지 말지어다. …. 네 몸에 양약이 되어 네 골수를 윤택하게 하리라"(잠 3:5~8)고 말씀하고 있다.

현대의 어리석은 사람들이 꼭 마음에 새겨들어야할 덕목(德目)임에 틀림없다.

장상현 / 인문학 교수

5-장상현-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안양시, 평촌신도시 정비 ‘청신호’ 가속
  2.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3. 위기 미혼한부모 가정에 3000만 원 후원금 전달
  4. 자립준비청년 자기계발비 300만원 후원
  5. 천안시, '담헌달빛관' 개관
  1. 장애인 보조견 환영합니다
  2. 유성구장애인종합복지관 '2025년 활동지원사 힐링나들이'
  3. “웃으며 배우는 가족 소통법”
  4. 대전시사회복지협의회-유한킴벌리 대전공장 사랑의 김장 나눔
  5. 취약계층 지역주민 위한 ‘사랑의 김장나눔’ 행사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민자 4000억 유치 `K-모빌리티 허브` 만든다

충남도, 민자 4000억 유치 'K-모빌리티 허브' 만든다

충남도와 당진시가 국내 기업과 손잡고 당진항 일원에 대한민국 자동차 수출을 이끌어갈 최첨단 복합물류단지를 조성한다. 조성이 성공적으로 완료된다면, 민선8기 도가 중점 추진 중인 '베이밸리 건설'과 '당진항 수출 전진기지 육성' 전략이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17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오성환 당진시장, 이정환 SK 렌터카 대표이사 등과 '케이(K)-모빌리티 오토 허브 일반물류단지 조성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전국 처음으로 자동차산업과 항만물류를 결합시킨 K-모빌리티 오토 허브 일반물류단지는 당진..

대전 청약시장 쏠림현상 뚜렷… 옥석가리기 심화되나
대전 청약시장 쏠림현상 뚜렷… 옥석가리기 심화되나

올해 대전 아파트 청약시장에서는 특정 지역으로 수요가 집중되는 쏠림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입지와 분양가 등 경쟁력을 갖춘 인기 단지가 선별되면서 '옥석 가리기'가 한층 심화되는 분위기다. 17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분양에 나선 '도룡자이 라피크'가 침체된 분양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끌었다. GS건설이 공급한 도룡자이 라피크는 1~2순위 청약에서 214세대 모집에 3636건이 접수되며 평균 16.9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84㎡B형은 59.16 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며 대부분 1..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2026년 6월 3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이 공천을 위해 모든 당원에게 ‘1인 1표’를 부여하는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에 착수한다. 그동안 대표나 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20:1 미만으로 했던 규정을 개정해 모든 당원에게 투표권을 동등하게 부여하겠다는 것이다. 정청래 대표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내년 6·3지방선거에서 열린 공천 시스템으로 공천 혁명을 이룩하겠다"며 "19일과 20일 이틀간 1인 1표 시대 당원 주권 정당에 대한 당원 의사를 묻는 역사적인 전 당원 투표를 실시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