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3강 엄이도령(掩耳盜鈴)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3강 엄이도령(掩耳盜鈴)

장상현 / 인문학 교수

  • 승인 2020-01-21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엄이도령(掩耳盜鈴)은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고사성어는 '얕은 꾀를 써서 남을 속이려하나 아무 성과가 없다는 것과 남의 말을 듣지 않고 독선적이고 어리석은 사람'을 비유한 내용을 포함한다.

사건의 내용을 요약해본다.

춘추(春秋)시대 진(晉)나라의 범(范)씨 가문이 몰락하자, 어떤 어리석은 도둑이 범씨가 소유했던 귀중한 종(鍾)을 훔치러 들어갔다. 종을 등에 지고 가려고 했으나 종이 너무 커서 짊어질 수가 없었다. 이 사람은 고민을 거듭하다가 자기만의 지혜를 발휘하여 종을 깨뜨려 조각내어 가져가기로 하고 망치로 종을 내리쳤다.



그러자 갑자기 종에서 천지를 진동하는 듯한 소리가 나자 다른 사람이 듣고 빼앗아갈까 봐 급히 자기 귀를 틀어막았다. 남이 듣는 것이 싫은 것은 그럴 수 있다지만, 자기가 듣는 것을 싫어하는 것은 도리에 어긋난 일이다.

백성들의 왕이 되어 그 잘못을 간언(諫言)하는 것을 듣기 싫어하는 것이 어찌 이와 같은 경우와 다르겠는가! 백성들이 왕의 잘못을 말하는 것은 오히려 나라의 부흥을 일으키는 조언이다.

여씨춘추(呂氏春秋) 불구론(不苟論)에서는 이 이야기를 쓴 후에 임금이 바른 말을 하는 신하를 소중히 여긴 실례로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위문후(魏文侯)가 신하들과 술을 마시며 대부들에게 위문후 자신에 대해 논하도록 했다. 어떤 사람은 왕이 지혜롭다고 말했다. 임좌(任座)의 차례가 되었다.

"왕께서는 불초(不肖)한 왕입니다. 중산(中山)을 멸한 뒤 공로가 지극한 왕의 동생을 봉(封)하지 않고 아무 공(功)이 없는 아들을 봉했습니다. 이로써 왕이 불초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문후가 불쾌한 표정을 짓자 임좌는 그곳을 뛰쳐나갔다. 적황(翟黃) 차례가 돌아오자 적황은"왕은 어진 왕입니다. 왕이 어질어야 신하가 바른 말을 할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방금 임좌가 바른 말을 하는 것을 보니 이로써 왕이 어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문후는 곧 다시 임좌를 부른 후 몸소 계단 아래까지 나가 그를 맞이하고 상좌에 앉게 했다.

우리는 여기서 왕은 독단적인 강행을 금하고, 소통의 시간을 많이 갖고 실천하여야 함과 자신의 행위를 뒤돌아보고, 잘못을 고쳐 나간다는 작은 지혜를 얻을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일어난 웃지 못 할 또 하나의 이야기는 이렇다.

지하철 안은 대체로 조용하다.

모두들 고개를 아래로 하고 휴대폰만 들여다본다. 그러한 자세이므로 서 있는 사람은 1인이 아니라 1.3인 정도의 공간을 차지한다. 가방까지 멘 경우는 더하다.

어느 한 사람이 이어폰을 꽂고 앉아 동영상을 보며 낄낄거리며 재미있는지 혼자 웃기도 하면서 즐기다가 문득 고개를 들고 주위를 두루 살핀다. 그는 방귀를 참다가 동영상의 음악이 가장 시끄러운 대목에서 이때다 하고 힘주어 한방 내 질렀다. 그런데 사방에서 눈총을 쏘는 것이 아닌가! 그 친구는 "어! 어떻게 알았지?" 이어폰을 낀 자기만 방귀소리를 듣지 못했던 것이다.

'꿩은 머리만 풀에 감춘다.'는 속담이 있다.

맹금(猛禽)에게 쫓기던 꿩이 제 몸을 숨긴다는 것이 겨우 머리만 풀 속에 묻는다는 뜻이다.

어리석은 자는 자기가 현명하다고 생각하고,

현명한 사람은 자기가 어리석은 사람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셰익스피어)

위의 고사는 임금이 바른말을 하는 신하를 소중히 여겨야 한다는 것이다. 자기가 듣지 못한다고 남도 자기의 잘못을 모르는 줄 아는 지도자는 엄이도령(掩耳盜鈴)의 도둑과 똑같다.

비슷한 말로 엄목포작(掩目捕雀) 폐목포작(閉目捕雀)을 들 수 있다.

눈을 가리고 참새를 잡는다는 뜻인데, 제 눈을 가리면 참새가 나를 못 본다고 생각하는 어리석음을 말한다.

눈 가리고 아웅, 눈 감고 아웅, 눈 벌리고 아웅, 귀 막고 아웅, 다 비슷한 속담이다.

良藥苦口而利於疾忠言逆耳而利於行(양약고구이리어질충언역이이리어행)

몸에 좋은 약은 입에 쓰나 병에는 이롭고, 충언(忠言)은 귀에 거슬리나 행함에 이롭다.

쓴 소리 듣기 좋아하고 자기 뜻에 거스르는 사람을 좋아할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되겠는가? 그러나 큰일을 이루고 정의롭고 안정된 조직을 반석에 세우기 위해서는 언로를 개척하고, 바르고 사심 없는 신실한 사람을 모아야 한다. 그리고 그들에게 맘껏 일하고 바른 말 할 여건을 마련해줘야 한다.

성경말씀에도 "너는 마음을 다하여 여호와를 의뢰하고 네 명철을 의지하지 말라…. 스스로를 지혜롭게 여기지 말지어다. …. 네 몸에 양약이 되어 네 골수를 윤택하게 하리라"(잠 3:5~8)고 말씀하고 있다.

현대의 어리석은 사람들이 꼭 마음에 새겨들어야할 덕목(德目)임에 틀림없다.

장상현 / 인문학 교수

5-장상현-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학 교직원 사칭한 납품 주문 사기 발생… 국립한밭대, 유성서에 고발
  2. [내방] 구연희 세종시교육청 부교육감
  3.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026년 장애예술 활성화 지원사업 공모 접수 시작
  4.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5. 재난위기가정 새출발… 희망브리지 전남 고흥에 첫 '세이프티하우스' 완공
  1. 수능 앞 간절한 기도
  2. [문화 톡] 대전 진잠향교의 기로연(耆老宴) 행사를 찾아서
  3. 대전특수교육수련체험관 마을주민 환영 속 5일 개관… 성북동 방성분교 활용
  4. 단풍철 맞아 장태산휴양림 한 달간 교통대책 추진
  5. 대전 중구, 교육 현장과 소통 강화로 지역 교육 발전 모색

헤드라인 뉴스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에서도 태평양전쟁을 겪은 세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80년이 지났고, 전쟁의 참상과 평화를 교육할 수 있는 수단은 이제 전쟁유적뿐이죠. 그래서 보문산 지하호가 일본군 총사령부의 것이었는지 규명하는 게 중요합니다."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후쿠오카 시즈야(48) 서울지국장은 5일 대전 중구 보문산에 있는 동굴형 수족관 대전아쿠아리움을 찾아왔다. 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올해만 벌써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의 종결을 앞두고 용산에 있던 일본군 총사령부를 대전에 있는 공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하호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올해 고1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첫 학기를 경험한 응답자 중 10명 중 8명 이상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은 진로 탐색보다 대학입시 유불리를 기준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과 학부모 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5.5%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4.3%, '매우 만족한다'는..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돌아온 산불조심기간